• Title/Summary/Keyword: 스테로이드 호르몬

Search Result 16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시상하부 GnRH 뉴런의 신경내분비학적 연구

  • 김경진
    • The Zoological Society Korea : Newsletter
    • /
    • v.16 no.1
    • /
    • pp.17-50
    • /
    • 1999
  • 시상하부에 극히 적은 수로 존재하는 신경분비세포인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뉴런은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GnRH 뉴런은 배아 발생과정 중에 후판에서 유래하여 시상하부의 여러 영역으로 이동하며, 생후와 사춘기를 거치면서 분화를 계속한다. GnRH 뉴런에서 합성, 분비되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작은 신경호르몬인 GnRH는 맥동적으로 분비되어 뇌하수체 성선자극 세포막에 존재하는 GnRH 수용체와 결합한 후 일련의 신호전달과정을 거쳐 성선자극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제어하게 된다. GnRH의 합성과 분비는 글루탐산, 노르에피네프린, GABA와 같은 각종 신경입력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액성 피드백 신호에 의해 조절되나 이들의 GnRH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GnRH 뉴런의 분화와 발생에는 다양한 신경영양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나 그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단에서는 신경호르몬인 GnRH와 그 수용체에 관하여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nd Steroids on In vitro Germinal Vesicle Breakdown in the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난모세포 성숙(GVBD) 유도를 위한 HCG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in vitro 효과)

  • Baek Hea-Ja;Kim Yoo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9 no.1
    • /
    • pp.57-63
    • /
    • 1996
  •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teroids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was investigated in vitro using the isolated oocytes (folliculated oocytes) from the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Among the steroids tested, $17\alpha-hydroxy,\;20\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was more effective than progesterone (P4) and $17\alpha-hydroxyprogesterone\;(17{\alpha}OHP$). In comparing $17\alpha,\;20{\beta}OHP$ with HCG, both $17\alpha20{\beta}OHP$ and HCG were effective in inducing GVBD at all concentrations : $17\alpha20{\beta}OHP$ was effective even at lower concentrations ($10\~50$ ng/ml). HCG at three concentrations used (50, 100, 500 IU/m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ucing GVBD.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on Ovarian Function in Early and Late Follicular Phase of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PMS G) -Pretreated Immature Rats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및 후기 난포기에 있어서 GnRH Agonist가 난소 기능에 미치는 상이 효과)

  • Yun, S.K.;Yu, W.J.;Yun, Y.W.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3 no.3
    • /
    • pp.261-27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GnRH가 과배란 처치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와 후기 난포기에서 난소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30IU PMSG와 10IU hCG로 전처치된 미성숙 래트에 있어서 배란반응, 배란 난자의 형태학적 이상 유무 및 핵 성숙도, 난소 중량, 난소의 조직학적인 변화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17$\beta$-estradiol, progesterone 및 testosterone) 농도에 대하여 GnRH agonist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GnRH agonist는 PMSG 전처치 후 초기 난포기 (PMSG 투여 후 6시간부터) 또는 후기 난포기(PMSG 투여 후 54시간부터)에 4시간 동안 20분 간격으로 경정맥 카테타를 통해 혈관내로 투여하였다. 각 실험동물은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PMSG 투여 후 54시간, 72시간에 혈액을 채취하고 72시간에 희생시켰다.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GnRH agonist를 투여하지 않은 군(대조군)에 비해 과배란 억제, 형태학적 비정상 배란난자의 증가, 난소 중량의 감소, 난포폐쇄의 증가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감소가 보였다. 한편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대조군에서의 반응과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 PMSG 및 hCG 처치로 과배란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을 전반적으로 억제하지만,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Expression of Vitellogenin Gene by Androgens in Ras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웅성호르몬에 의한 무지개송어의 vitellogenin 유전자 발현)

  • 권혁추;윤종만;이종영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3 no.1
    • /
    • pp.79-85
    • /
    • 2000
  • The effects of estrogen and androgens on Vg gene expression were examined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 and livers of the immature male trout. Specific primers of Vg cDNA were designed with already reported Vg gene nucleotide sequences. PCR product was sequenced and verified with Vg cDNA of rainbow trout.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hepatocytes and livers of steroid-treated rainbow trout and then it was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The Vg mRNA and Vg protein synthesis were increased in rainbow trout in vivo and in vitro with E$_2$ and methyltestosterone (MT) There were dose and time-related effects of E$_2$ and MT on vitellogesis. Androgens such as progesterone androsterone and testosterone also stimulated Vg mRNA expression in vitro. The results show that androgens as well as E$_2$ can induce expression of Vg mRNA in trout in vivo and in vitro.

  • PDF

Effects of insect growth regulators(IGRs) on vitellogenesis in insect (곤충의 난황형성에 대한 곤충성장조절제의 작용)

  • Lee, Hee-Kwon;Lee, Jong-Jin;Kim, Moo-Key;Lee, Hoi-Seo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5 no.4
    • /
    • pp.11-19
    • /
    • 2001
  • This review discusses the effects and roles of insect hormones and insect growth regulators (IGRs) on vitellogenesis in adult insects. Insect vitellogenesis is regulated by hormones such as juvenile hormone (JH), ecdysteroids, and neurosecretory hormones (ovaryecdysteroidogenic hormone : OEH) released by neurosecretory cells, diet, and other elements(male specific protein of sperm fluid). In the fat bodies, the vitellogenins are synthesized by the stimulation of JH released by corpus allatum (CA) and ecdysteroids produced by follicle cells with the ovary in most insects. Furthermore, vitellogenins are released into the hemolymph, transported to the ovarioles by carrier protein, and incorporated into oocytes for the developing ovary. Of IGRs, juvenile hormone and its mimics such as methoprene and pyriproxifen appear to have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membrane lysis, destruction of salivary grand and midgut epithlial cells, fat body cells, and ovarian tissue, and also anti-juvenile hormone such as precocenes I and II appear to have specific cytotoxicity such as inhibition of corpus allatum and oocytes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Rs may be useful as agents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

  • PDF

LHRH-a 콜레스테롤 펠렛에 의한 농어의 성숙/배란유도 효과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변화

  • Baek, Hye-Ja;An, Chul-Min;Kim, Kyung-Gil;Myoung, Jung-In;Kim,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00-301
    • /
    • 2000
  • 고급단백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양식어류개발의 필요성이 가중되면서 유용어종을 대상으로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대량종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성숙/산란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 과제이다. 이러한 방법에는 적합한 호르몬제를 사용하던지 또는 사육 환경조건을 변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는데(Donaldson and Hunter, 1983) 호르몬제를 사용할 경우, 자연산란과 비교해볼 때 난질이 좋지않아 수정률 저하를 초래할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양식현장에서는 HCG(태반선성선자극호르몬)가 널리 사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GnRH (gonadotropin hormone-releasing hormone)를 이용한 성숙/배란유도가 성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투여방법도 및 가지로 연구되고 있다 (Okumura and Sakae, 1993; Leu and Chou, 1996).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