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큐어모피즘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뉴모피즘 디자인이 적용된 UI 디자인 트렌드 분석 연구 (A Study on UI Design Trends Analysis with Neumorphism Design)

  • 박지혜;오나예;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48-160
    • /
    • 2021
  • 최근 UI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뉴모피즘 디자인의 관련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UI 디자인 트렌드인 스큐어모피즘, 플랫, 머티리얼 디자인과 새롭게 등장한 뉴모피즘 디자인을 중심으로 GUI 디자인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서 뉴모피즘의 UI 디자인 트렌드로서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기존 UI 디자인 트렌드인 스큐어모피즘, 플랫, 머티리얼 디자인이 적용된 실제 사례와 UI 디자인 트렌드들의 특징 및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뉴모피즘 디자인의 정의와 특징을 바탕으로 가장 최근의 UI 디자인 트렌드이자 뉴모피즘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머티리얼 디자인과 그림자 스타일 방식을 비교하였으며, 뉴모피즘이 새로운 UI 디자인 트렌드가 될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해당 디자인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를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아직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새로운 뉴모피즘 디자인이 앞으로 UI 디자인 트렌드가 될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모바일 플랫폼의 미학적 특징과 UX 평가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UX Evaluation of Mobile Platforms)

  • 정동훈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71-80
    • /
    • 2015
  • 미니멀리즘은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 배제성을 특징으로 장식을 배제한 절제의 미학을 의미하고, 스큐어모피즘은 복고와 기능, 그리고 감성을 특징으로 어떤 대상물을 이해하기 쉽도록 유사한 형태로 디자인한 미학적 관점을 의미한다. 모바일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두개의 미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학적 특징을 갖는 대표 사례로써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iOS6과 iOS7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다. 통해 이용자는 어떻게 경험하는 지를 평가한 결과, iOS6을 스큐어모피즘으로, iOS7을 미니멀리즘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변인으로 살펴보았을 때, 타이포그래피와 정체성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변인에서는 타이포그래피 변인에서는 심미성 변인만이 그리고 아이콘 디자인 변인에서는 이해가능성을 제외한 정확성, 심미성 그리고 일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iOS6는 정확성에서는 더 뛰어났지만, iOS7은 나머지 차원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연구참여자들은 iOS7에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Phone7을 중심으로 한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Icon Design of iPhone7)

  • 김정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367-386
    • /
    • 2014
  •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디지털 기기의 콘텐츠 및 디자인의 다양성과 변화로 이어졌으며 여기에서 파생되는 UI, UX, GUI 디자인은 세분화된 디지털 디자인의 창조 및 발전으로 거듭났다. 이런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디자인은 도스 이후의 윈도우의 시작과 함께 생겨났으며 이는 마우스라는 혁신적인 도구의 개발로 인해 가능했다. 이러한 환경 안의 디지털 매체 디자인의 중심에는 모든 콘텐츠 및 버튼, 입구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있으며 모바일, 앱, 윈도우환경에서 필수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아이콘은 윈도우 초기 시절부터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 디자인 트렌드분석은 스큐어모피즘에서 부터 플랫된 형태 그리고 미니멀리즘으로 되돌아오기까지의 아이콘의 디자인의 변천을 분석한다. 분석 범위는 트렌드와 기기의 성능에 민감한 모바일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의 분석틀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iPhone의 IOS7디자인이 애플의 대표 디자인 트렌드인 스큐어모피즘을 접고 미니멀리즘, 플렛 디자인을 채택해 큰 변화를 겪는 현 시점에서 모바일 앱시장의 GUI 디자인 기초 동향 파악 자료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스마트 폰 UI의 디자인 철학에 따른 잠재적 사용자 확보 (Securing of Potential Users of Smartphone UI due to the Philosophy of its Design)

  • 김수희;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03-513
    • /
    • 2016
  • 지금까지 스마트 폰 사용자는 Innovator, Early Adopter가 주 고객이었다면 가격 안정화와 인터넷을 즐기는 노인세대가 등장하면서 소외계층에 대한 중요성 및 체계적인 분류와 집중, 전략의 필요해졌다. 그리고 노년계층만으로 국한된 소외계층이 아닌 자신의 의지에 따라 사용자가 될 수 있는 잠재적 사용자에 대한 세분화와 그들을 확보할 수 있는 UI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들을 확보하기 위해 iPhone의 스큐어모피즘, MS 메트로UI, Google 머티리얼 UI가 변하는 과정에서 UI의 기본구성요소(WIMP)가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큐어모피즘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외면 받았던 부분을 보완 개선하는 방식으로 천천히 잠재적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고 메트로 UI는 터치UI개념으로 처음부터 잠재적 사용자를 고려하였지만 새롭고 획기적인 UI로 그들을 확보하지 못했다. 하지만 Google의 머티리얼 UI는 스큐어모피즘 UI와 메트로 UI의 단점을 보완하고 가성비를 내세워 잠재적 사용자 중 최종수용자까지 확보할 수 있는 UI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잠재적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왜(why)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용자 스스로가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직접적인 대화와 관찰의 피드백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UI연구로 접근해야 함을 제언한다.

스큐어모피즘을 적용한 패션 에듀테크 XR 콘텐츠 연구 (Research on Fashion Edutech XR Content Applying Skeuomorphism)

  • 김향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0-567
    • /
    • 2023
  •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industrial value of a borderless service in the hyper-connected era by producing fashion content at the forefront of the cultural industry as XR content and contributing to developing fashion content for edutech.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design aesthetic theory, while the empirical proposal utilized scientific knowledge information to build a framework for 3D convergence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tent exhibitions that apply the neumorphism technique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 virtual space that produces clothing culture by type. Africa, where dyeing and crafts are developed, selects a product-oriented exhibition type; Asia, where weaving and textiles are excellent, selects a random movement type; and Europe, where the evolution of clothing design over time is evident, selects a guided movement typ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fashion edutech. The goal was to produce content. The second is creative reproducibility, which combines a new fashion design that embraces the aura of the original with a trendy sense. The realistic folk costume style of the original allowed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 AR exhibition space using historical traditional style techniques such as weaving and textiles. The third is building organic, modular content. By designing and then saving/editing/arranging the basic VP zone for each style,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freely edit the content for each fashion class topic and create various presentations to ensure that it functions as non-face-to-face edutech content around the world.

국내 웹 디자인 변천사 - 디자인 표현기법과 기술적 변화를 중심으로 - (History of Domestic Web Design - Focused on Design Expression Techniques and Technological Changes -)

  • 이현주;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00-208
    • /
    • 2020
  • 웹의 활용과 기술의 발전으로 웹 디자인 영역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웹 디자인의 변천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웹 디자인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표현기법 발현과 진화 배경과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의 흐름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 변천 과정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웹 디자인 영역 확장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 범위로는 웹의 역사 30년을 기준으로 1990년부터 2000년대 초까지는 당시 이슈가 되었t던 웹 사이트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2000년대 중반부터는 웹 어워드 코리아의 대상 수상작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디자인 표현기법의 조형적 특성과 웹 디자인에 영향을 준 정보기술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표현기법의 변화는 미니멀리즘과 스큐어모피즘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웹 디자인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디바이스의 출현과 영상 콘텐츠 활성화로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 지속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무게 (Visual Weight of Interface Design)

  • 박찬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61-4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무게에 따라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우선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스큐어모피즘의 시대를 거쳐 플랫디자인에서 머티리얼 디자인 또는 머리티얼 디자인 일부를 차용해 심도와 차원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는 심도와 차원을 표현하기 어려운 메트로 UI와 플랫디자인의 특징에 의한 것이지만 머티리얼 디자인에서는 시선 유도를 위한 별도의 장치는 없었기에 게슈탈트 이론에서 시각적 무게를 구분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영역의 크기와 배치, 근접성, 폐쇄성 그리고 관념성이 시각적 무게와 방향에 대해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그를 통해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