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케일링 공포도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Vital Sign 변화 (Changes i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caling Patients)

  • 김해선;한지연;황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96-407
    • /
    • 2017
  • 본 연구는 일개 대학 치위생과에 스켈링을 받으러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스켈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되었다.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과 Vital Sign을 측정하여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불안 및 공포에 대한 항목 중 '마취용 주사바늘을 볼 때 두려움을 느낀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케일링 전과 후에 각각 2.84점, 2.51점으로 조사되었다. 스케일링 전 맥박은 분당 77.48회에서 스케일링 후 분당 74.36회, 혈압은 스케일링 전 수축기 혈압이 124.86mmHg에서 122.34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의 경우 스케일링 전에 여자는 2.40점, 남자는 1.86점, 스케일링 후에는 여자 2.16점, 남자 1.65점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Vital Sign의 경우 스케일링 전 수축기혈압이 남자가 133.59mmHg, 여자가 118.31mmHg으로 조사되었으며, 스케일링 후에는 수축기혈압이 남자가 129.36mmHg, 여자가 117.87mmHg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Vital Sign은 스케일링 후의 이완기 혈압의 경우 10대 69.63mmHg, 20대 76.48mmHg, 30대 이상은 79.29mmHg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완기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은 변화가 있으며, 성별, 거주지, 연령 직업 등이 불안과 Vital Sign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치과에 방문하는 환자들의 불안과 공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방처치경험이 진료만족도 및 치과공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ventive Treatment Experience 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Dental Fear)

  • 김수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85-492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의 예방처치경험 여부가 진료만족도 및 치과공포도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29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 t-test(검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성인의 예방처치경험은 불소도포가 가장 많았으며, 불소도포경험이 있는 경우 진료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예방적 스케일링경험이 있는 경우 치과 공포도는 낮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불소도포경험이었으며, 치과공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구강건강상태, 예방적 스케일링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방처치경험이 있는 경우 진료만족도는 높아지고 치과공포도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구강건강교육을 통한 예방처치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인식시키고 치과예방처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강건강증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성인의 예방처치경험에 따른 스케일링 공포도 (Level of fear on scaling according to preventive treatment experiences in the adults)

  • 김수경;구지혜;김예진;박유진;윤희경;이다정;정은아;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9-38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ventive treatment experience on scaling fear level. Methods: A total of 259 adults who had visited the dental clinic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0.0 statistical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caling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Frequency of scal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Scaling fears according to treatment experience were tested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scaling fears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of dental hygienist.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caling fear. Results: Level of fear during scaling was higher in females (3.03) than in males (2.54) and that after scaling was scored higher in females (2.68) than in males (2.34) by general characteristics (p<0.001). The adults who were not healthy in oral health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fear during (3.29) and after (3.00) scaling by oral health status (p<0.001). Adults who had 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showed lower fear level than those who did not after scaling (p<0.01)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preventive treatments.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of trust level to the dental hygienists with the scaling fears, it showed higher in the trust level (-0.688) as lower level of scaling fear (-0.642) in the scaling (p<0.01). Confidence level of dental hygienist (-0.661), 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0.121), and oral health status (-0.121) were influenced upon th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ygiene education are increasing. It is thought that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promote and maintain oral health.

일부지역 성인 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ated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on Dental Fear in Some Areas Adult Patients)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일부지역치과에 내원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과공포감을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치과공포에서 회피요인은 여자, 40대, 고졸이하, 주부, 300-399만원, 생리적 반응요인은 여자, 40대, 주부, 200-299점, 자극유발유인 여자, 30대, 주부, 전체공포수준은 30대, 주부, 400-499만원에서 높았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공포감에서 치료회피요인은 구강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질방법이 틀린 경우, 생리적 반응요인과 자극반응요인은 검진을 하지 않고, 스케일링 경험이 없는 경우, 전체공포감은 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교환시기가 4개월 이상인 경우에서 치과공포감이 높았다.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준, 성별, 나이, 정기검진유무,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치과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인식을 개선하고 정기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발생하는 소음특성 (Characteristics of Noise Radiated at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3-1128
    • /
    • 2009
  • 치과병원에서 가동되는 기기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치료시(스케일링, 치아제거) 및 비치료시(기기만 가동) 소음특성(소음도,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PSIL, NR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분석하고 환자들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도의 범위는 67.7~78.3 dB(A)로 4 k (Hz) 이상의 고주파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음에 민감한 반응(기분이 거슬리거나, 병원방문을 망설임, 소름이 돋움, 깜짝 놀람)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SIL에 의한 소음 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환자와 치과종사자의 대화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NRN에 의한 각 실의 소음기준(ISO) 중 작업장의 소음기준(NRN 60~70 dB(A))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방음보호구 제공,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마스킹 효과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 제공하면 치과의료서비스 질을 개선하고 치과병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치석제거 시 음악중재가 공포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al intervention on the fear and anxiety reduction during scaling)

  • 남용옥;주온주;이광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5-40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patient's fear and anxiety during scaling. Methods: 360 patients who had visited W University dental hygiene laborator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71.9%) and the experimental group (75.1%) had experiences avoiding dental treatment due to fear. In the control group (37.6%) and experimental group (40.6%), the highest influencing factor was the sound of machine and followed by pain. The experimental group preferred classical music, followed by pop songs, trot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In the experimental group (83.3%), fear and anxiety were alleviated by music, and 77.9% of the patients mentioned they would recommend music for scaling to other patient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p=0.014)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lowest blood press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lse before and after pulse measurement (p=0.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ion between groups (p=0.042) and before and after respiration (p=0.030). Conclusions: Study results showed that music intervention that utilizes music during scaling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lleviation of fear and anxiety, affecting Pulse number among vital signs. Therefore, more systematic program is to be required to alleviate dental fear and anxiety with music therapy not only for scaling, but also for dental clinic in the future.

치과병원의 소음특성과 적절한 대화거리 (The Noise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 Talk Distance in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16-2523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가동되는 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진료 시(스케일링, 보존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에 소음도와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NR곡선과 NRN을 이용한 실내소음 수준 및 PSIL을 이용하여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대화거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료 시 소음레벨dB(A)의 범위는 69.3~81.5dB(A)이고 고주파성분(4K(Hz)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작업장의 소음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으며 PSIL에 의한 환자와 치과병원근무자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는 1m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고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만족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여건 조성을 위하여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ANC기술개발, 마스킹 효과, 흡음재 부착, 별도의 대화공간 확보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므로 치과의료 서비스 질 및 치과병원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