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커트 선호도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선호 성향 조사

  • 석혜정;김인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5-85
    • /
    • 2003
  • 기성복은 근래에 들어 유행의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디자인이 더욱 다양화, 전문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여 소비자들의 개인적 취향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의복의 맞음새는 개인의 기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성별, 연령, 체형, 선호하는 패션 경향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현실적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성복 정장(재킷, 스커트, 바지)의 맞음새 선호 성향을 조사하여 연령대ㆍ비만도별 각각의 선호 경향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대학생의 의복소재 선호도에 태와 감성 이미지가 미치는 영향 -스커트용 직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Hand and Sens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Clothing textiles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Skirt-)

  • 김희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3-141
    • /
    • 2005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and and a sens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skirt textiles. 13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nd 10 kinds of preferred fabrics were used each as a specimen for all 4 seasons. Factor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WI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spring/fall season, 6 factors including 'elasticity/flexibility' were extracted as a hand factor, and 2 factors including 'modern elegance' were extracted as a sensibility factor in skirt textiles. 2. In summer season, 5 factors such as 'unevenness/stiffness' were extracted as a hand factor and 2 factors such as 'modern elegance romantic' as a sensibility image. 3. In winter season, 7 factors including 'elasticity' were extracted as a hand factor and 2 factors including 'modern elegance romantic' as a sensibility image. 4.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ed between a hand and a sensibility image in spring/fall, summer, and winter. 5. A sensibility image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reference to skirt textiles in spring/fall, summer, and winter.

  • PDF

서울시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의 바지교복에 대한 착용실태 및 인식 (The perception of girls'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on the usage of trousers as school uniform)

  • 김성실;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7-148
    • /
    • 2010
  • 바지교복의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시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바지교복 착용현황과 바지교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하의교복으로 동복과 하복 모두 '스커트만 착용'이 가장 많았으며, '바지만 착용'은 하복보다 동복에서 높게 나타났다. 스커트를 착용하는 이유는 동복과 하복 모두 '다수의 친구들이 스커트를 입어서'가 가장 많았고, 하복의 경우 '바지교복이 없어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바지교복은 동복은 '온도변화에 대처할 수 있어서', 하복은 '활동이 편리해서' 주로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교복 착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지교복 디자인과 색상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바지통이 좁은 스타일'과 '스트레이트 스타일'의 디자인을 선호하고, 색상은 동복과 하복 모두 검정색, 다음으로 베이지와 청색계열을 선호하였다. 여학생들은 바지교복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동복과 하복 모두 바지를 착용하는 집단은 필요성을 높게, 스커트만 착용하는 집단은 낮게 인식하였다. 바지교복은 추위에 견디기 좋으며 활동하기에 편하지만 외모를 돋보이게 하거나 개성을 잘 표현할 수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바지를 착용하는 집단은 스커트만 착용하는 집단보다 바지교복이 옷차림에 신경을 떨 쓰게 하고, 방과 후에 입고 다니기 좋다고 하였다. 바지교복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디자인과 색상의 개선, 기능성의 증가, 홍보의 필요성 등이 나타났다.

  • PDF

스커트 형태에 따른 남녀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The Image Evaluation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the Shapes of Skirts)

  • 이영주;최경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26-632
    • /
    • 2010
  • The results of the image evaluations by various shapes of skirts which are typical female's lower garment were as follows; 1. The composition factors of images by the shapes of skirt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The 1st factor is lovely image factor, the 2nd is attractive image factor, the 3rd is practical image factor, the 4th is slim-looking image factor and the 5th is long-looking image factor. 2. In the 1st factor- lovely image factor, tiered skirt, $360^{\circ}$ flared skirt and $180^{\circ}$ flared skirt were evaluated to express lovely images. In the 2nd factor- attractive image factor, $180^{\circ}$ flared skirt was evaluated to express refine and attractive images. In the 3rd factor- practical image factor, $360^{\circ}$ flared skirt and gathered skirt were evaluated to express easy and practical images. In the 4th factor- slim looking image factor, males evaluated 8gored skirt and females evaluated gathered skirt to express fat images. In the 5th factor- long looking image, $180^{\circ}$ flared skirt was evaluated to express long looking images by both sexes. 3. In the lovely image factor, gathered skirt was evaluated most differently between the sexes. Both in the attractive and practical image factor, tiered skirt was evaluated most differently between the sexes. 4. In the preferenc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shapes of skirts, both the sexes prefered flared skirt. But the low prefered shapes of skirts were differently evaluated between the sexes; the male students' was A-lined skirt and the female's was pleated skirt and wrap skirt.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노년 여성의 의복 선호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인식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1유형의 경우 부드러운 니트 소재와 천연소재, 파스텔 색상, 스커트 착용을 선호하였다. 제2유형의 경우 체형을 커버해주고 젊어 보이는 바지를 선호하였다. 제3유형은 착용감이 편안한 의복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단순한 스타일과 착용감이 편안한 옷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5유형은 디자인이나 색상이 중요하고 젊어 보이는 스타일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노년 여성의 ZIGTECHnology의복 개발을 위해서는 등의 굽음, 허리의 굽음 등의 체형을 커버하면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고, 움직임에 장애가 없는 동작 기능성을 고려한 의복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별 신체 인지도와 만족도 차이 비교 (제2보) - 팬츠와 스커트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by Consumers' Pants and Skirt Preference and Wearing Style)

  • 박숙현;권미정;이경림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4호
    • /
    • pp.511-52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mparison of preference style and wearing style of pants and skirt by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is research was done by a survey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Coefficients MANOVA, Two-Way ANOVA, t-test and Duncan's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dissatisfaction about waist girth prefer high waist pants. The subjects with longer waist wear high waist pants. The subjects with wider hips wear narrow down pants. The subjects with the thickest thighs prefer narrow pants but wear narrow down pants.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dissatisfaction about calf thickness prefer narrow pants but wear wide pants.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about leg length prefer and wear calf length pants. The subjects with the thinnest calves prefer and wear tight pants. 2) The subjects with the thickest thighs prefer straight skirt but wear narrow down skirt.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dissatisfaction about thigh thickness wear A-line skirt.

  • PDF

대학생이 선호하는 의복 소재의 특성 연구 - 슬랙스와 스커트용 직물의 비교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Clothing Textiles of college Students - A Comparison of Slacks and Skirt)

  • 김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3-55
    • /
    • 2005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clothing textiles for slacks and skirt of college students. One hundred five subjec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were surveyed and the subjects selected three favorite materials among 120 samples presented in a swatch book. The subject's weighted frequencies were added tv order of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spring and fall seasons, black twill cotton drill was preferred foremost as a textile for slacks, and medium gray basket weaved cotton pinhead with stripe pattern was preferred as a textile for skirts. 2. In summer, dark bluish gray plain linen crash wa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for slacks, and pale yellow plain linen tropical cloth was preferred for skirts. 3. In winter, olive gray cotton corduroy was the most favorite textile for slacks, and moderate brown twill wool hound check was preferred for the skirt. 4. In thickness and weight, textiles for winter were thicker and heavier than those chosen for other seasons, and textiles for skirts showed various thicknesses and weights as compared with those of slacks. 5. In fiber content,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and wool were preferred for an seasons. 6. In the weave of textiles, twiu we,3ve was preferred for spring, fall and winter season, and plain weave was preferred for summer. 7 The most preferred colors for slacks were B and PB, and those for the skirts were YR and PB. For color characteristics, solid fabrics were generally preferred, and patterned fabrics were preferred for skirts as compared with slacks.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Attitudes of Physician, Nurse and Patient towards Physician's and Nurse's Uniform)

  • 정연희;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24-346
    • /
    • 1996
  •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1일부터 1996년 3월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사 130명, 간호사 147명과 입원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상의 복장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기존 코트 형태의 가운보다 다른 형태의 가운을 선호하였고, 특히, 의사보다 간호사들이 더 선호하였다.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기존 형태와 다른 형태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형태의 가운을 더 선호하였다(p<0.01). 의사의 가운 색상에 있어 의사와 간호사의 73.6%는 흰색을 선호하였으며, 환자는 86.3%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남자의사가 여자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흰색을 더 선호하였고(p<0.01), 환자에서는 색상 선호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료시 넥타이를 착용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이 남자의사, 40세 이상 의사, 내과계 근무 의사, 그리고 교수에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환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60세 이상군이 다른 연령군보다, 초등졸 이하군이 다른 학력군보다, 기타 시지역 거주자와 군지역 거주자가 대구시 거주자보다 더 높았다(p<0.01). 주말 및 휴일 진료시 의사의 캐주얼 복장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었고, 의사의 연령이 젊을수록 유의하게 선호도가 높았다(p<0.05). 간호사 복장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78%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고, 간호사는 96%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지원 및 행정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100% 선호하였다. 환자들은 학력이 낮을수록 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고학력군일수록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다. 간호사의 가운 색상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46.7%가 흰색을 선호하였고, 의사들은 흰색을, 간호사들은 다른 색을 더 선호하였다(p<0.01). 환자들은 79.1%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캡 착용에 대한 문항에서 간호사들은 95.9%가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및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전원 캡을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환자들은 77.7%가 캡을 착용하여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와 색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 본인들과 환자들의 의견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현실감각에 맞게 가운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