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에너지

Search Result 944,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저복잡도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 연구 (Energy Consumption of Low Complexity Bluetooth Mesh Networks Study)

  • 김우현;최승규;손일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6-157
    • /
    • 2023
  • 사물인터넷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농장, 스마트 건물, 스마트 공장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인 블루투스 메쉬는 비동기 동적 스캐닝을 이용하여 저전력 통신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계산 복잡도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저전력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효과적인 에너지 최적화를 실현한다.

GRU 기반의 농장 내 전력량 관리 및 이상탐지 자동화 시스템 설계 (Designing an GRU-based on-farm power management and anomaly detection automation system)

  • 김현서;이명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18-23
    • /
    • 2024
  • 스마트팜의 전력 효율 관리는 기후 변화와의 연계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기후 변화가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미래의 농업은 스마트팜을 활용하여 기후 영향을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스마트팜의 전력 소비는 현재의 전기 생산 체제로 인해 기후 위기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 장비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GRU를 활용하여 1시간 뒤의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CT 센서를 설치하여 전력량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상 패턴을 탐지하고 예방한다. 또한 IoT 기술과 결합하여 전체 전력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전력 사용을 최적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스마트팜의 에너지 관리뿐아니라 전반적인 에너지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경량화 태양광 모듈의 내구성 보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bility Complement of Lightweight Photovoltaic Module)

  • 정태웅;박민준;김한준;송진호;문대한;홍근기;정채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110-114
    • /
    • 2021
  • In this study, we fabricated light-weight solar module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BIPV), vehicles, trains, etc. 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ETFE) film was applied as a material to replace the cover glass, which occupies more than 65% of the weight of the PV modul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RP) was applied to the ones with a low durability by replacing the cover glass to ETFE. Moreover, to achieve a high solar power conversion in this study, we applied a shingled design to weight reduced solar modules. The shingled module with GRP shows 183.7 W of solar-to-power conversion, and the output reduction rate after weight load test was 1.14%.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 of Smart Green City : Focus on Application Condition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 오덕성;박소연;이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68-6375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린시티의 목표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에너지 측면의 계획기법과 적용기술을 정리하고, 국내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을 수립한 행복도시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의 실현방안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시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3개 목표, 3개 부문, 6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과 스마트 그린시티 목표와 계획기법의 기대효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18개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셋째, 행복도시를 대상으로 도출된 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기반여건 조성과 기술 및 시스템 도입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그린시티 조성을 위한 주요 계획기법은 '도시 에너지 통합관리 센터 구축',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녹색교통 체계 구축', '지능형 교통 시스템',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등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절감과 지능형 녹색 교통 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계획기법으로 도출되었으며 향후 개선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 홈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보호 방안 연구 (A Study on Smart Grid Security in Smart Home)

  • 김미주;정현철;이재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6-1319
    • /
    • 2010
  • 스마트 홈은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댁내 다양한 기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격 에너지 관리, 방범, 의료 등 자동화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하여 효율적인 전력 에너지의 송 배전 및 실시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보안 문제 발생 시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및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안전한 스마트 홈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보호 방안을 도출한다.

녹색 에너지 자립섬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 운영 프레임워크 (Smart Grid Operating Framework For Renewable Energy Island)

  • 박지헌;류광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25-28
    • /
    • 2014
  • 에너지 자립섬은 외부 전력의 유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풍력/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 에너지를 주요 발전원으로 운영하는 섬이다. 에너지 자립섬의 운영을 위해서는 전력 수요와 공급량을 예측하여 발전기, 송배전 시스템, ESS 등의 운영 계획 수립이 필요한데 수요 및 공급의 예측은 기상 상황 및 시간 등의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으므로 예측이 어렵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효율적인 전력망 운영을 위해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그리드 운영 프레임워크의 활용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립섬 운영 계획 수립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요소들 간의 연계 관계를 분석하여 운영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설계안을 제시한다.

  • PDF

차세대 태양전지의 활용 동향 및 스마트 텍스타일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 산업 소재와의 융합 중심 (A Study on the Application Trends of Next-Generation Solar Cell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Smart Textile Hybrid Energy Harvesting Devices : Focusing on Convergence with Industrial Materials)

  • 박붕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1-15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대표되는 유기, 염료 감응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최신 연구 동향과 건축, 조형예술, 의류패션 등 분야를 막론한 다양한 산업의 소재로의 과제와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웨어러블 IoT 장치와 결합하여 자연 및 인공광과 우리 몸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크고 작은 진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될 '스마트 텍스타일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새로운 미래전망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차세대 태양전지와 마찰·압전소자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텍스타일 에너지 하베스팅 디바이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웨어러블 IoT 기기에 소재 자체로 결합하여 새로운 '융합 일체형 스마트 의류'로 발전할 것이다. 이 연구가 제안한 차세대 나노기술과 소자가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섬유 소재 분야에 적용되고, 미래 의류 산업에 융합되어 의료,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AI 서비스 제공하는 창의적인 제품으로 진화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

소비자 에너지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의 분석 (Analysis of Energy Savings using In-Home Display(IHD))

  • 최태섭;고경록;박성찬;임상국;윤용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535_536
    • /
    • 2009
  • 에너지 관련 자원 가격의 급등으로 전력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전력 회사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생산 비용과 판매가격의 왜곡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제안된 여러 방법 중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은 에너지 소비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고 자율적인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시스템의 보급을 위해 2008년 실효성 검증을 위한 실증 연구 과제를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8년 수행한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실증 과제에서 개발된 한국형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을 소개하고 실증을 통해 에너지 정보 표시 장치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검증한다. 실증 연구는 2008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약 2개월동안 청주와 서울에서 77가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는 실증을 통해 얻어진 에너지 절감 효과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스마트폰 기반의 풍력에너지 효율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Wind Energy Based on Smart Phone)

  • 류창수;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3-476
    • /
    • 2012
  • 에너지는 인간사회가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자원중의 하나로서 에너지개발과 이용의 역사는 인류역사의 한 줄기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풍력의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초소형 수직축 풍력발전기에서의 에너지 생산량 및 효율을 기상청 기후변화 시스템의 풍속과 블레이드의 폭과 그 재질에 따른 실시간 에너지 생산 효율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