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섬유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초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압축거동 특성을 반영한 기둥의 내폭해석 (Numerical Study on Columns Subjected to Blast Load Considering Compressive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 김재민;이상훈;김재현;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105-112
    • /
    • 2023
  • 강섬유보강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에너지 소산 능력을 보이며, 폭발하중 작용 시 균열 전파 및 파편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에 SFRC 재료물성을 구현하고자 콘크리트 비선형 재료모델인 K&C 모델의 파괴 곡면(Failure surface) 및 손상 함수(Damage function)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를 제안하였다. 제안 파라미터 검증을 위하여 단일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제안 파라미터가 적용된 재료모델은 SFRC 재료시험 거동을 상당히 유사하게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SFRC 기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폭해석을 수행하였으며, KOSHA 규정을 참조하여 섬유 혼입률에 따른 SFRC 기둥의 내폭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신문기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친환경 섬유의 추이에 관한 연구 (The Trends of Eco-Friendly Textiles Using Big Data from Newspaper Articles)

  • 조남범;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2호
    • /
    • pp.95-107
    • /
    • 2024
  • 환경에 친화적인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은 시대적인 트렌드가 되었고, 경제적 가치를 가진 친환경 섬유의 개발과 활용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주목받고 있다. 친환경 섬유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기업, 정부,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섬유패션 분야를 주로 다루는 신문의 기사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친환경 섬유'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기사 총 12,331건을 수집하였고, 추출된 데이터에서 형태소 분석을 진행 후 연도별 토픽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 디리클레 할당과 동적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섬유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침과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친환경 섬유의 연구와 개발, 그리고 상용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슈즈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향상을 위한 복합재료 프레임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Frame for Enhancing Energy Harvesting Function of a Smart Shoes)

  • 이호석;정인준;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6호
    • /
    • pp.400-40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인장 시 에너지 하베스팅을 하는 Polyvinylidene Fluoride(PVDF) 리본 하베스터를 신발에 접목한 스마트 슈즈의 에너지 하베스팅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합재료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프레임의 하중방향 변형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방성 재료인 탄소 연속 섬유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제작하였다. 보행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안창과 중창의 변형량을 계산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를 이용하여 안창과 중창을 모델링 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사용하여 보행 시 스마트 슈즈에 장착된 리본형 하베스터의 인장량을 계산하였다. 예측된 하베스터의 최종 인장 길이 정보는 스마트 슈즈의 에너지 하베스팅 효율 증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섬유기업의 스마트섬유 개발 동향 - 대구경북지역 업체를 대상으로 - (Examination of Development State of Smart Fiber in Korean Textile Industry - Focused on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

  • 유화숙;박광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262-12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smart fiber by textile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examin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fields of smart fiber, investment size, information sources and the use degree of those, research-related infra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ests in smart fiber.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4 areas and 12 development products) of smart fiber followed ones of Smart Fiber Technology Roadmap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program for frequency, means, t-test, and $X^2$-test. Among respondents, the numbers of dying and finish companies and export traders were the highest. It revealed that 19.6% of companies were developing smart fibers. Within 12 development products, vapor permeable/waterproof fiber showed to be most being developed, while medical fiber for human has not been developed and wasn't made an investment plan for developing. It was discovered that the biggest problem of smart fiber development was the lack of experts and the best outcome of smart fiber development was preoccupation of future market. It showed that companies got information from textile fairs but didn't often use information sources. The companies appeared to have a weak intention about research of smart fiber. The more important a company considered functionality of textile products and the more innovative and stabler the company was, the higher interest in smart fiber companies had. It was concluded that textile companies in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mart fiber development but they were not strongly interested in it and not enthusiastic in taking action on it.

액정 엘라스토머 섬유의 이해와 연구동향 (Understanding and Research Trends in Liquid Crystal Elastomer Fibers)

  • 김영빈;김대석
    • 공업화학
    • /
    • 제34권4호
    • /
    • pp.347-356
    • /
    • 2023
  • 액정 엘라스토머 섬유는 1차원 형태로서 소프트 로봇, 생체모방 구동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액정 엘라스토머는 액체의 유동성과 고체의 질서도 그리고 고무의 탄성을 포함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자극-응답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형상가변 측면에서 열, 빛, 전기장, 자기장 등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응답성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하면 높은 자유도와 더불어 물건 들어올리기, 꼬임, 회전 등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엘라스토머 섬유는 인공근육, 소프트로봇, 웨어러블 기술, 센싱 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액정 엘라스토머 섬유의 연구는 기존 단순 섬유를 넘어서는 다양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는 스마트 소재로서 도래한 4차 산업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도가 높다고 평가된다. 본 총설에서는 액정 엘라스토머 섬유의 구조 및 기본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 배향 기반 제작법과 이를 이용한 인공근육, 스마트 패브릭, 소프트 로봇 등, 다양한 응용에 대해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수면 무호흡증 관리를 위한 섬유센서 기반의 슬립 모니터링 스마트 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leep Monitoring Smart Wear based on Fiber Sensor for the Management of Sleep Apnea)

  • 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2권1호
    • /
    • pp.89-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서, 이를 위한 표준화된 수면다원검사가 고가이며 측정이 불편함을 고려하여, 환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스트레치 섬유센서를 이용한 무구속 상태의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의복과 일체화된 디자인으로 제품화하여 그 유용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인 남성용 롱 슬리브 티셔츠 형태로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수면무호흡 진단 지표 중 섬유형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하는 호흡수(breathing rate)측정용 섬유센서,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호흡기류(airflow)를 실시간 측정하였다. 최적의 조합비 샘플 4가지를 통한 gauge factor를 측정한 결과, gauge factor 20.3을 확인하였고, 3회 숨을 크게 내쉴 때 호흡유량이 최대 2048ml였다. 산소포화도 69.45%로 최소 측정 가능 산소포화도 70% 정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탁 후 인장에 따른 센서 성능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gauge factor 18 수준의 값으로,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는 문제에 대해,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호흡수, 호흡유량, 산소포화도의 3가지 지표를 측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플라즈마 표면 개질과 CNT 함침공정을 통한 고전도성의 재생PET사 전자섬유 (Manufacture of Recycled PET E-Textile by Plasma Surface Modification and CNT Dip-Coating)

  • 장준혁;김상운;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79-8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PET를 재활용하여 만든 물질재생 PET사를 함침공정을 통해 고전도성의 E-textile로 제작하는 것이다.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PET사는 virgin과 recycled 모두 함침공정을 통해 전자섬유로 제작되었을 때에 높은 전도성을 부여하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다. 함침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FEMTO SCIENCE사의 Covance-2mprfq 모델을 사용하여 재생 PET사로 이루어진 시료를 50w 5분, 10분간 플라즈마로 표면 개질하였다. 이 후 SWCNT 분산액(.1wt%, cobon 사)에 5분간 시료를 담근 후 패딩기(Padder, DAELIM lab)를 통해 시료 안쪽으로 용액이 잘 스며들도록 Dip-coating 진행하였다. 공정이 완료된 후 저항측정을 양끝점에서 멀티미터를 통해 측정하고 좀 더 넓은 전극을 통해 정밀하게 다시 측정하였다. 고찰한 결과 플라즈마 표면 개질을 통해 함침공정을 통한 고전도성 부여가 가능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분간 표면 개질한 경우 저항이 최대 2.880배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웨어러블 분야에서 활용되는 E-textile 또한 recycle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석유자원을 절약하고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딥러닝 기반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색상 결과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edicting dyeing color results of polyester fibers based on deep learning)

  • 이우창;손현식;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3호
    • /
    • pp.74-89
    • /
    • 2022
  • 섬유 소재의 염색은 기업별로 고유의 레시피와 공정으로 인하여 결과물 간의 차이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예측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염색 공정에서의 색상구현 최적화를 위해 딥러닝 기반의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딥러닝 기반 모형인 다층퍼셉트론, CNN 그리고 LSTM 모형을 선정하였다. 총 376건의 데이터 세트를 수집하여 3개의 예측 모형을 학습시켰다. 교차검증 방법을 이용하여 3개의 예측 모형에 대해 비교 및 분석하였다. LSTM 모형의 예측 결과에 대한 CMC(2:1) 색차의 평균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라미드 섬유시트로 기둥 보강된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of Piloti-Type Structures with Columns Strengthened with Aramid Fiber Sheets)

  • 양근혁;문주현;임채림;노광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201-210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필로티 건축물에서 아라미드 섬유시트의 연성보강 효과를 평가하는데에 있다. 필로티 구조물은 총 2개가 제작되었으며, 반복 횡하중 정적 실험으로 휨 거동을 평가하였다. 연성보강 효과는 횡하중-변위관계, 변위연성비, 일손상지수 및 비틀림 거동으로부터 검증되었다. 실험결과 기둥이 아라미드 섬유시트로 보강된 필로티 건축물은 최대하중 이후 기둥에서 효과적인 구속효과로 전단파괴 방지 및 비틀림이 최소화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둥이 아라미드 섬유시트로 보강된 필로티 건축물의 변위연성비 및 일손상지수는 보강되지 않은 필로티 건축물보다 각각 4.63배 및 42.81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