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 질병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폰 사용 패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 예방 시스템 (A Smartphone Addiction and Disease Prevention System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Patterns)

  • 류명운;류요한;현우석;임지영;유일선;정해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5-10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과 잘못된 이용습관은 '스마트폰 중독(smartphone addiction)'과 '스마트폰 질병(smartphone disease)'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의 패턴을 방향센서를 이용해서 수집하고 분석해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형태와 사용시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사전에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의 의지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스마트폰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이 질병관련지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mart Phone Video Educational Program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김현;최진숙;황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91-400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폰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이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관련지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대학부속병원에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28명, 대조군 30명 총 58명이었다. 실험처치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스마트폰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으로 입원 중에 개별화된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전,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질병관련지식과 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의 질병관련지식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질병관련지식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나, 심리적 요인에 대한 중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심리적 요인에 대한 중재방안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건강 (亞健康) 고령 소비자를 위한 치유식 앱 개발의 중요성 (Importance of Food Therapy Application Development for Older Populations under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 박동삼;주현목;정보미;권기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1호
    • /
    • pp.30-38
    • /
    • 2017
  • 아건강 (亞健康)은 확실한 병의 (病義)를 밝히기는 힘드나 병의 증상이 있는 경우를 이야기 한다. 아건강 환자들을 치료는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아트테라피 (Art Therapy)의 일종인 푸드아트테라피 (Food Art Therapy)로 중재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푸드아트테라피는 치료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는 재료를 통해 음식을 만들고 섭취함으로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주고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고령층도 스마트폰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적절히 활용 할 수 있는 앱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이에 고령층 아건강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고전 의료 서적에서 발췌한 약재를 소개하는 앱개발의 중요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통 약재 중 식물성 약초만을 선별하여 직접 음식을 만들고 섭취 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의 자신감을 높이고 더불어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음식 섭취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SVM 기반 망막 질병 진단을 위한 지능적인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An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etinal Disease Diagnosis based on SVM using a Smartphone)

  • 이병관;정은희;유슬리나 티파니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373-383
    • /
    • 2015
  • 이 논문은 망막 질병을 인지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시스템의 기초로써 스마트 폰 플랫폼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한다. 마이크로 렌즈는 사용자의 망막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 사용자 망막 이미지를 캡쳐 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서 생성된 후에 스마트 폰에 설치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의 역할은 스마트 폰에 있는 시스템과 클라우드에 있는 시스템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은 분류하기 위해 클라우드 시스템에 망막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분류기로써 OCFE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망막 이미지는 두 개의 안과학 데이터베이스 DIARETDB1 v2.1과 STARE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평균 에러율을 12%인 반면에, 이 시스템 평균 정확도는 88%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Usage Time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 문원희;권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507-5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행복감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를 통해 제13차(2017)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설문조사 원자료 사용 승인절차를 거쳐 만 12-18세 54,60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연한 후 복합 샘플 계획 파일을 생성하여 분석하였다. 행복한 그룹과 행복하지 않은 그룹의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신체, 심리적 특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복하다고 인식한 청소년 그룹과 행복하지 않다고 인식한 청소년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행복도를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MobileNetV3 기반 요검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Urinalysis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MobileNetV3)

  • 박기조;최승환;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1-46
    • /
    • 2023
  • 인체 소변은 혈액 내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과정으로 채취가 쉽고 다양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요검사는 이를 통해 질병, 건강상태, 요로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요검사에는 물리적 성상 검사, 화학적 검사, 현미경 검사의 세 가지 방법이 있으며, 화학적 검사는 요검사지를 사용하여 쉽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요검사지에는 다양한 항목들을 검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질병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요검사지 판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요검사지의 색 변화를 감지하고 판독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RGB값과 색 차이 공식을 사용하여 판별한다. 그러나 다양한 환경 요인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을 적용한다. 특히, 경량화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모델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내에서 요검사지의 색 판별을 개선한다. CNN은 이미지 인식과 패턴 찾기에 유용한 모델로, 경량화된 버전도 사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딥러닝 모델을 운영하고 정확한 요검사지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요검사지는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하여 딥러닝 모델 학습 이미지를 준비 하였으며 MobileNet V3을 사용하여 요검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공감 $365^+$: 쇠고기 이력제 - 고도화된 쇠고기 이력시스템으로 국내 소 산업을 스마트하게 관리

  • 남승엽
    • KAPE누리
    • /
    • 통권190호
    • /
    • pp.12-13
    • /
    • 2012
  • 쇠고기 이력제(www.mtrace.go.kr)의 전산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는 축산물품질평가원 이력사업본부에서는 구제역 등 질병발생 시 신속한 방역차단을 지원하고 스마트폰 등 신기술을 현장에 접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 쇠고기 이력시스템 고도화 구축" 사업을 작년 9월부터 8개월간에 걸쳐 사업을 추진하였다. 추진 사업 중 소 사육농가 및 유통업종사자 관련한 부분을 소개코자 한다.

  • PDF

스마트폰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및 진료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Hospital Reservation System And Appointment System Using Smartphone)

  • 서승범;이재상;구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1호
    • /
    • pp.29-33
    • /
    • 2017
  • 스마트폰 국내 사용자가 약 80%을 넘게 사용하고 있는 현재 일상 생활에 편이성을 주는 많은 Application이 개발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건강과 관련된 Application을 많이 찾고 있다. 사용자들이 건강관리를 위해 헬스케어 Application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으로 병원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Application을 개발하고 건강 및 질병을 관리하며 환자들이 백석대학병원 Application을 통해 온/오프라인 진료 예약과 진찰을 받을 수 있는 Application을 연구하였다.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 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전재희;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29-7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374명의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46.2세였다. 만성 B형간염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로는 인터넷(41.3%), 의료진(23.8%), TV(15.6%) 순이었고 스마트폰은 6.2%에 불과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이유는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이 없어서'(75.9%), '정보를 믿을 수 없어서'(15.0%)로 답하였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사용 의도는 '활발히 사용하겠다'(59.9%), '필요시 사용하겠다'(33.2%)로 조사되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요구되는 기능은 '질병 관련 지식 전달'(27.1%), '투약달력'(16.8%), '정보에 대한 참고문헌'(15.5%), '검사결과 기록'(14.6%) 등이었다. 나이 및 교육 정도에 따른 스마트폰 활용능력은 차이가 있었으나 스마트폰 개발 필요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나이 및 교육 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요구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이에, 나이와 교육수준을 고려한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바탕으로-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olescent - Based on 2020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 이윤영;서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79-286
    • /
    • 2022
  •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 시기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에서 공동으로 실시한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를 이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범불안장애는 신체활동과 부적(-)인 관계가 있고 신체활동 역시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은 유의미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은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 스포츠활동보다는 팀스포츠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을 높이는 것은 스마트폰사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