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 서비스

검색결과 2,041건 처리시간 0.033초

스마트폰 사용 보행자의 안전성 제공을 위한 알람서비스에 관한 연구 : Depth-based alarming 적용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larm service for providing safety for pedestrian using smartphone: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depth-based alarming)

  • 김지윤;조영화;정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96-1099
    • /
    • 2014
  • 스마트폰의 보급률에 맞물려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이에 관한 연구 또한 꾸준히 증가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인구대비 스마트폰 보급률이 세계 최고인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중 교통사고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젊은층의 산만 보행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과학 분야의 주의 네트워크 연구를 바탕으로 보행자의 안전도 향상은 물론,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한 depth-based alarming 서비스를 제안한다.-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국내 20대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피험자내 설계로 진행되었고, 보행자의 안전도에 관련한 무선조종 자동차에 대한 반응속도와 충돌여부를 측정하였고, 또한 앱 사용성에 관련한 방해도 및 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alarm 을 제공하기 전에 미리 pre-alarm 을 제공하는 depth-based alarming 을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pre-alarm 제공시 alarm 에 대한 보행자의 반응 속도가 1.446 초 향상됨을 통계적 유의성을 통해 입증함으로써 pre-alarm 을 제공하는 depth-based alarming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시력보호를 위한 스마트폰 앱의 개발 (Developing a Smart-phone App for Sight Protection)

  • 김성훈;박민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321-322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최근 각광 받는 의료 융합 IT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로써 안과 병원을 찾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의 개발을 다룬다. 개발하려는 서비스를 통하여, 자신의 눈 상태를 체크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시력검사 및 색맹/색약, 난시/근시 등의 질환을 검사하고 동체시력운동, 원근법 눈운동, 눈체조 등 눈이 좋아지는 운동과 눈이 좋아지는 그림을 통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검사 결과에 따른 개인별 검사 관리표, 시력 예방 관리 그래프 제공하여 자가진단 및 시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 하도록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한다.

  • PDF

플랫폼 독립적인 스마트폰 응용 개발을 위한 SOA 기반구조 (SOA Infrastructure for Platform Independent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 최민;정영식;이용주;정성태;임승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333-336
    • /
    • 2010
  • 현재의 스마트폰 응용은 플랫폼별로 별도의 SDK를 통해 응용을 개발하고 전용 앱스토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독립적 스마트폰 응용을 목표로 한다. 한번 구축하면 스마트폰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웹 서비스 기반의 SOA 기반구조를 구축하고, 그 위에 공통서비스/요소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폰 앱 실행환경이 서로 호환되지 않아 유사한 기능의 앱을 처음부터 세가지 다른 플랫폼으로 구현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 PDF

스마트폰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추론/예측기반 지능형 합성 캐릭터 (An Intelligent Synthetic Character Based on User Behavior Inference/Prediction for Smartphone)

  • 이두호;한상준;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475-477
    • /
    • 2004
  • 이동전화 가입자 수의 폭발적 증가와 전송속도 향상으로 고성능 이동전화인 스마트폰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마트폰상에서 작동하는 지능형 서비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지능형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지능형 캐릭터를 제안한다. 캐릭터는 사용자가 친숙하게 느낄 수 있어 지능형 서비스의 좋은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제안하는 캐릭터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추론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 바쁨의 정보 등의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상태에 기반하여 행동 선택을 행동 선택을 하여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한다. 실제 작동 예를 통해 제안하는 캐릭터의 유용성을 보인다.

  • PDF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서비스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 CJ 티빙서비스를 중심으로 (Studying a Regulation for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s in Smartphone - the Case of CJ's Tving Service)

  • 이치형;박성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32
    • /
    • 2012
  •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에 대해 지상파 혹은 케이블 수준의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과 별도의 규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CJ 티빙서비스를 중심으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방송서비스에 대해 규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를 위해 방송 및 콘텐츠 기업, 규제기관, 정책연구소, 컨설팅기업 간부급 1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했다. 인터뷰 분석 결과 스마트폰 방송서비스는 콘텐츠 형식으로 보면 방송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당분간 규제가 필요 없다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이다. 근거로 규제의 실효성이 낮고, 대부분의 콘텐츠가 이미 다른 플랫폼에서 검증 받았으며,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력이 아직 미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분간 스마트폰 방송서비스는 인터넷과 같이 자율규제가 적합하며, 현행법에서 전기통신사업법의 부가통신사업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폰 관광 정보 시스템 (A Tour Information System on Smart Phon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 김석현;김지욱;김현정;박동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77-691
    • /
    • 2012
  • 스마트폰의 위성항법장치(GPS) 수신기능과 이동식 네트워크 기능을 응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와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위치기반의 상황인지 모델을 통한 스마트폰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나 이 위치정보와 POI간 거리를 이용한 정적인 정보만을 주로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POI와의 거리를 인식하여 해당 관광지 전문해설사의 음성과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적인 관광해설 스마트폰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느낀 점을 텍스트 형식과 함께 동영상이나 사진의 형태로 업로드하여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TTA와 함께한 ICT표준자문서비스 - 브로드웨이브, IoT 국제 표준으로 스마트폰 업사이클링

  • TTA 표준화본부 표준확산부
    • TTA 저널
    • /
    • 통권167호
    • /
    • pp.124-127
    • /
    • 2016
  • Smart Connectivity를 위한 IoT, 네트워킹,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브로드웨이브는 자사만의 경쟁력을 통해 벤처기업 인증, 이노비즈기업 인증,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등 내실있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특히, 개방과 공유로써 성공적인 IoT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해 국제 표준 기반의 개방형 IoT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사용하지 않는 중고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IoT 표준화를 통해 다른 스마트폰이나 PC, 노트북 간의 게이트웨이로서 기능케 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관점을 전달받는 것이 중요했고, 고민 끝에 TIA의 중소 중견기업을 위한 표준 자문서비스의 도움을 청하게 되었다.

  • PDF

DGPS 다원화 서비스 기술개발 연구

  • 김희태;이병곤;구자헌;최용권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9-361
    • /
    • 2012
  • DGPS 다원화 서비스 기술은 중파기반 DGPS 정보제공에서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DGPS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DGPS 개요와 다원화 서비스 현황, 인터넷을 통한 보정정보 제공방법과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소개와 사용방법, 핵심기능 등을 다루고자 한다.

  • PDF

복합 통계지리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앱 설계 (A Design of App for Providing Composit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 박혜민;전근환;정동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83-186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즉 어플리케이션(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통계 분야에서도 스마트폰을 위한 통계지리정보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서비스는 웹을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 국내 통계청에서 S-통계내비게이터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닌다. 특히 단순 통계지리정보서비스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복합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지리정보 앱을 제안한다. 제안한 통계지리정보 앱은 다양한 복합 통계 분석 결과를 지리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통계지리정보서비스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스마트폰 센서 기반 위험상황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Based on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sing Smartphone Sensor.)

  • 최재현;장혜선;임양원;임한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13-1716
    • /
    • 2012
  • 최근 우리 사회에는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개인 위치확인 및 안전에 대한 서비스들이 최근 재조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가 시작된 기간에 비해 아직도 높은 단말기 가격대와 월 사용료, 그리고 위험상황에서의 사용성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나마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어 해당 서비스들의 가격이 조금씩 인하되고, GPS를 활용한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꺼낼 수 없는 위험상황에서 사용자가 위험상황에서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켜, 인지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개인 안전에 대한 서비스가 발전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