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수과학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남.북한 문학 분야의 쟁점들-순수과학을 중시하는 북한의 학풍

  • Lee, Jae-Seu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5
    • /
    • pp.13-13
    • /
    • 1998
  • 분단 이후 반세기 세월이 흐르는 동안 과학기술 분야에도 이질적인 문제가 산재해 있다. 남한이 응용과학을 토대로 삼고 있는데 비해 북한은 순수과학을 중시한다는 점, 북한이 발표했던 연구실적에 대한 진위 여부, 북한 과학자들과의 처우 문제 등은 통일 이후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런 예상되는 쟁점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비하면 거의 없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DF

종수 적고 번역서 의존 높은 기술과학서들

  • Lee, Seong-S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4
    • /
    • pp.7-7
    • /
    • 1998
  •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과학서 중 컴퓨터 관련서가 대종을 이루며 순수과학이 기술과학의 그늘에 가려지는 경향까지 보인다. 또 번역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큰 데다 미국과 일본에 편중돼 있음도 지적된다.

  • PDF

An Analysis of Disparity between Korean Farms: measuring production efficiencies by farm size (농가계층간 격차 확대의 비교 분석 : 생산기술효율의 계측)

  • Gim, Uhn-S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2 no.2
    • /
    • pp.169-179
    • /
    • 2005
  • 이 연구는 근래 한국 농가계층간에 경쟁력 수준의 격차가 확대되는 원인을 생산기술효율 측면에서 계측하고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모수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농지규모계층별 농가의 생산기술효율을 측정하고, 이는 다시 순수기술효율과 규모효율로 분리 계측되어 농가계층간 격차의 원인을 비교분석하였다. 1998-2002년 기간에 한국농가평균 순수기술효율은 0.54, 규모효율은 0.93으로 계측되었고, 대농층으로 갈수록 순수기술효율은 높은데 비해 규모효율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5년(1998-2002년)기간 동안 대농층일수록 순수기술효율과 규모효율 모두 여타의 계층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대농층과 여타농과의 기술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한국최초 미니 ㆍ컴퓨터 개발 성공

  • An, Byeong-S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8 no.11 s.78
    • /
    • pp.8-9
    • /
    • 1975
  •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소장 산상준)는 최근 순수한 우리 기술로 첫번째의 미니ㆍ컴퓨터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우주공업은 민수용에서 산업용으로 도약하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상황요소 분석)

  • Kim, Young-Ae;Sung, Min-W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1
    • /
    • pp.47-5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frequency(%) for five kind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for six kinds of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ll the elem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process achievement level such as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introduced firstly in the 7th curriculum. Five elements of the inquiry context categories appeared as pure scientific context(61.8%), everyday context(22.2%), natural environmental context(7.7%), techno-industrial context(5.9%), and social context(2.4%) in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Social context wasn'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In five elements of inquiry context, total elements appeared 7,139(85.5%) kfrequencies in the basic level and 691(8.1%) frequencies in the further level. However total elements appeared 529(6.4%) frequencies in the supplementary level. The kinds and frequencies of the elements for the inquiry context suggested in the basic level were more than those in the supplementary and in the further level. The social context was no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However five inquiry context elements were all appeared in the basic and further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