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숙주-기생 관계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에 기생하는 피부흡충, Entobdella hippoglossi의 기생밀도와 숙주 점액 세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nogenean Skin Parasite Entobdella hippoglossi and Mucous Cell Distribution of its Host the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 윤길하;크리스티나 소머빌;조재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38
    • /
    • 1999
  • 피부흡충인 Entobdella hippoglossi가 숙주인 Atlantic halibut의 피부에 기생할 때 기생 부위별 밀도와 숙주의 피부 점액세포 밀도를 조사하여 E. hippoglossi의 기생이 피부점액 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숙주인 Atlantic halibut 복측과 배측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는 비슷하였으나 기생충의 크기는 복측이 배측보다 더 컸으며, 배측내에서는 배측의 머리부분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가 배측의 중앙부나 꼬리부분에서보다 높았다. 숙주의 점액세포 크기, 밀도 그리고 표피 점액층의 두께는 대체로 기생충의 밀도와 비례하였고, 숙주내에서 기생충의 선택적 기생은 점액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었다.

  • PDF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적조 (Physiological Ecology of parasitic Dinoflagellate Amoebophrya and Harmful Algal Blooms)

  • 박명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81-194
    • /
    • 2002
  • 기생은 공생하는 두 생물사이에 한쪽(기생생물)은 이득을 얻는 반면에 다른 한쪽(숙주)은 해를 입는 관계를 말한다. 이러한 기생관계가 생물학적으로 적조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적조생물을 숙주로 하는 기생성 와편모류인 Amoebophrya spp.는 그 잠재력이 큰 것으로 오랫동안 주목받아 왔다. Amoebophrya spp.는 유독성 및 유해성 적조를 일으키는 종을 포함하여 24속 40여종 이상의 와편모류들을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는 포자(dinospore)의 분산 및 감염 단계,감염 후 숙주 세포내에서 성장단계 (trophont), 그리고 숙주 세포 밖의 생식단계(vermiform) 등의 간단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산 및 감염을 담당하는 dinospore는 각 숙주-기생생물 관계에 따라 감염능력, 생존능력 및 감염 성공률 등 서로 다른 생물학적 차별성을 보인다. 각 숙주기생생물 관계 기원 dinospores의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 교차 감염실험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결과 등으로 보아 Amoebophrya ceratil가 숙주 특이성이 없는 단일종이라는 이전의 주장보다는 아마도 숙주 특이성을 갖고 있는 여러 분류군으로 구성된 종 복합체 (species complex)라는 가설이 타당하다. 숙주 와편모류들은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에 의해 일단 감염되고 나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생식능력을 잃고 모두 사망하게 되는데, 이 감염 과정동안 해당 플랑크톤 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독립영양성 와편모류들이 감염될 경우 그들의 광합성 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감염위치(핵 또는 세포질)에 따라서 영향받는 속도가 다르다. 이 기생성 와편모류에 의한 감염은 광주성 및 유영속도 등에 영향을 미쳐서 숙주 와편모류의 일주 수직이동 양상과 같은 동태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기생성 와편모류의 감염으로 인한 숙주의 사망은 자연 사망할 때보다 시간적으로 더 빨리 숙주로부터 다량의 유기물이 방출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생물에 의한 감염은 감염기간 동안에도 숙주로부터 상당한 양의 용존 유기물이 인위적으로 방출되게 할 가능성이 있다. 기생생물에 감염시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숙주 와편모류의 생체량이 사망과 동시에 크기가 작은 수많은 포자들로 생물학적 전환이 일어나고, 이어서 이들 포자들은 섬모류 등의 포식자들에게 먹이로서 이용i소화될 수 있으므로, 숙주 와편모류가 지녔던 물질과 에너지가 미소생물고리내에서 보다 오랜기간 동안 머무를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숙주-기생생물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 여타의 생물학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는 플랑크톤 생태학과 적조역학에서 기생성 와편모류의 역할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생충 감염에 의한 안질환과 예방 (Ophthalmic diseases caused by parasitic infections and its prevention)

  • 주경복;노병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3-228
    • /
    • 2002
  • 기생충의 감염에 의하여 기생충증(parasitosis)이 유발하게되며 특히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기생충에는 원충류(Protozoa), 선충류(Nematodes), 조충류(Cestodes) 등이 있으며 이들 기생충들은 기생충과 매개체(Vector), 기생충과 숙주(Host), 숙주(Host)와 숙주(Host)의 연결고리가 있으며 이들의 관계가 오염이 되었거나 환경이 불량하여 숙주(Host)인 사람에게 기생하게되면 기생충의 독성, 숙주(Host)의 저항성 등에 따라 조직의 파괴나 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을 일으켜 질환을 일으키며 심하면 실명까지 유발케 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깨끗한 환경과 청결을 생활하여야 한다.

  • PDF

Aspergilli에 기생(寄生)하는 Penicillium rugulosum에 대(對)하여 (Penicillium rugulosum Parasite on Aspergilli)

  • 이배함;채희병;이복권;심성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2
    • /
    • 1976
  • 기생미생물(寄生微生物)에 대한 연구(硏究)에서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을 분류동정(分類同定)하고 성장과정(成長過程)과 그 처리조직학적(處理組織學的)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構造)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을 통하여 관찰(觀察)하고, 이종간(二種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은 Aspergillus niger와 Penicillium rugulosum으로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2. 기생균(寄生菌)은 숙주(宿主)의 Sterigmata에 기생(寄生)하고 있는 것을 관찰(觀察)하였다. 3. 기생상태(寄生狀態)의 진행(進行)에 따라 숙주(宿主)의 세포(細胞) 내용물(內容物)이 소실(消失)되어 간다. 4. 기생균(寄生菌)은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도 배양(培養)되므로 활물기생(活物寄生)이 아니다.

  • PDF

근교계 마우스에서 간흡충 기생기간과 산란력의 변동 (Egg Produc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 Different Strains of Inbred Mice)

  • 김종인;정동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69-176
    • /
    • 1992
  • 여섯 계통의 근교계 마우스떠에 상흡충의 기생기간과 경시적 산란력을 근거로 하여 숙주 기생충 관계의 계통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마우스찰 20개의 간흡충 피낭유충을 경구적으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간흡충의 충란이 처음 검출될 때까지의 기간은 DDY 마우스에서 평균 21.2일로 가장 짧았고, GPC 21.48, BALB/c 및 DS 23.2 5, ICR 및 nude 23.4일의 순이 었다. 총산란기간 역시 DDY 마우스에서 164일로 가장 길었으며, GPC 132R, BALB/c 97일, nude 37일, DS 32일 및 ICR 28일의 순이었다. DDY 및 GPC 마우스에서는 간흡충의 산란수가 비교적 높고 안정적이었으나 나머지 4계통의 마우스에서는 관찰기간 동안 불규칙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마우스의 계통에 따라 간흡충의 숙주 기생충 관계의 차리를 확인하였고 DDY 마우스가 6계통중 가장 호적숙주임을 알았다.

  • PDF

간흡충종 환자의 혈청내 IgE 열 간흡충 특이 IgE 항체의 상승 (Elevation of Specific IgE Antibody in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득영;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27-31
    • /
    • 1983
  • 21명의 간흡충 감염환자 및 15명의 건강인으로부터 혈청을 수집하여 혈청내 IgE와 간흡충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RIST와 RAST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흡충 감염환자 및 건강인의 혈청 IgE와 특이 IgE는 각각 2,372 lU/ml과 364IU/ml 그리고 52.0%와 4.4%로 간흡충 감염자에서 모두 유의하게 상승되어 있었으며 (p<0.001 및 p<0.01), 혈청 IgE의 상승과 특이 IgE의 상승은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r=0.9451), 혈청 IgE와 EPG(r=0.6056), 특이 IgE와 EPG(r=0.5693) 역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흡충 감염은 인체 혈청내 IgE 및 특이 IgE항체를 상승시키며, IgE 및 간흡충에 대한 특이 IgK는 숙주-기생충간의 면역반응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중소하천에서 피라미 (Zacco platypus)의 복강 기생충 감염특성 (Infestation Characteristics of Parasite (Ligula intestinalis) in Abdominal Cavity of Zacco platypus in the Small Stream of Korea)

  • 신재기;강복규;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3호
    • /
    • pp.215-227
    • /
    • 2016
  • 담수생태계에서 어류기생충의 종류와 감염경로는 다양하고, 중형 또는 고등동물을 숙주로 하여 생활환을 이어가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그중에서 어류의 복강에 기생하는 충류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07년 2월부터 10월까지 섬강에서 생긴 피라미의 기생충에 관한 민원을 해결하고자 생태계의 감염특성을 조사하였다. 섬강에서 복강기생충이 관찰된 시기에 감천, 대포천, 양산천 및 율하천도 동일하게 조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수서곤충류와 패류가 각각 90.4%, 7.7%로써 주종을 이루었다. 수서곤충류는 하루살이류 (46.8%)와 날도래류 (29.8%)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패류는 복족류였다. 어류는 잉어과와 피라미 (Zacco platypus)가 각각 85.7%, 48.8%로써 가장 풍부하였다. 물새 조류는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와 쇠백로 (Egretta garzetta)가 높은 밀도로 우점하였다. 어류기생충은 복강에 주로 기생하는 편형동물문 조충류 Ligula intestinalis로써 분류 동정되었다. 10월에 섬강과 양산천에서 우점 서식한 피라미로부터 각각 1개체, 15개체 관찰되었다. 복강기생충의 감염률은 1.4~15.8% 범위였다. 수서생태계의 조사결과로부터 기생충-숙주 관계의 감염 생활사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의 육수학적 관점에서 복강기생충의 생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납자루아과(Pisces: Acheilognathinae) 담수어류 3종의 숙주조개(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 크기에 대한 산란양상 (Spawning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es (Pisces: Acheilognathinae) in Relation to the Shell Size of Host Mussels (Unio douglasiae sinuolatus))

  • 최희규;이혁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2-215
    • /
    • 2019
  • 본 연구는 2015-2018년 5월 기간 동안 납자루아과 어류의 서식 집단 중 강원도 홍천 내촌천(HN), 덕치천(HD), 정선 골지천(JG) 및 조양강(JJ)을 대상으로 기 개발된 제한절편 길이 다형성(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숙주조개 속 난 및 치어에 대한 정확한 종 동정을 수행 후 납자루아과 어류의 숙주조개 크기에 대한 산란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 내 납자루아과 어류는 내촌천과 골지천에서 1종(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덕치천에서 3종(각시붕어; Rhodeus uyekii, 묵납자루; A. signifer,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조양강에서 2종(묵납자루, 줄납자루)으로 확인되었고, 네 지역에서 모두 동서하고 있는 숙주조개인 작은 말조개(Unio douglasiae sinuolatus) 982개체를 채집하였다. RFLP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가 확인된 작은말조개(N=163; 16.6%)에서 총 646개체의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묵납자루 454, 줄납자루 43, 각시붕어 149개체)를 확인하였다. 각 지역 숙주조개 크기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난 및 치어가 확인된 숙주조개(mussels with [presence] eggs/fry)와 확인되지 않은 숙주조개(mussels without [absence] eggs/fry)의 각장(shell length), 각고(shell height) 및 각폭(shell width)의 평균 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3종의 납자루아과 어류가 동서하는 덕치천의 경우 난 및 치어가 확인된 숙주조개가 확인되지 않은 숙주조개보다 각장(1.98mm), 각고(0.85mm), 각폭(0.73mm)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Mann-Whitney U tests, P=0.002, P=0.012, P=0.009), 다른 세 개의 지역에서도 난 및 치어가 확인된 조개의 각장, 각고, 각폭의 크기가 큰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추가적으로 종 간 숙주조개 당 평균산란 난 및 치어의 수를 분석한 결과 각시붕어 $9.31{\pm}5.94$개, 묵납자루 $2.86{\pm}2.45$개, 줄납자루 $2.50{\pm}1.32$개로 각시붕어는 묵납자루와 줄납자루보다 숙주조개 당 평균 6.45~6.81개 더 많이 산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Kruskal-Wallis test, P<0.001). 이 결과는 본 연구 대상 납자루아과 어류 3종에서 크기가 큰 작은말조개를 산란을 위한 숙주로서 선호함을 의미하고, 조개 크기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동서하는 납자루아과 종의 수가 많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또한, 묵납자루와 줄납자루의 경우 많은 숙주조개에 적은 양의 난을 추가적으로 고르게 산란하는 반면에 각시붕어는 비교적 적은 수의 숙주조개에 많은 양의 난을 산란하는 번식전략을 나타내었다. 2종 이상의 납자루아과 어류가 서식하는 덕치천(HD)과 조양강(JJ)에서 묵납자루와 줄납자루 2종이 동일한 조개에 산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N=4). 이는 납자루아과 어류가 2종 이상 동서할 때, 동일한 자원인 작은말조개를 자신의 산란숙주로 이용하기 위한 종간경쟁(interspecific competition)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된 생태학적 연구에 유전학적인 방법을 추가하여 각 집단 간, 종 간 숙주조개 크기에 대한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여 숙주조개를 이용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의 생태적 적응양상을 명확히 파악하고 더 나아가 숙주조개와 납자루아과 어류의 공생(mutualism) 혹은 숙주-기생의 상호관계(host-parasite relationship)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산 식용 이매패류에 기생하는 요각류 -II. 양식 이매패류에 기생하는 요각류- (Copepod Parasites of Commercial Bivalves in Korea -II. Copepods from Cultured Bivalves-)

  • 주세이 호;김일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69-396
    • /
    • 1991
  • 한국산 양식 이매패류 9종으로부터 9종의 요각류가 발견되어 이들을 기재한다. 이들 요각류 중에는 신종 Lickonnolgus simillis도 포함되어 있다. 그 외의 다른 8종은 다음과 같다 Conchyliurus quintus, Pseudomyicola spinosus, Myicola ostreae, Ostrincola koe, O. japonica, Hemannella longicaudata, Modiolicola bifidus, M. gracilicaudus. 이들 요각류와 숙주와의 관계도 기록한다

  • PDF

Dimethylsulfoxide로 분화시킨 HL-60 세포의 yoxoplasma 파괴 효과 (Toxoplasmacidal Effect of HL-60 Cells Differentiated by Dimethylsulfoxide)

  • 최원영;남호우;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29-238
    • /
    • 1988
  • HL-60세포에서 Toxoplasma gondii의 in vitro배양과 HL-60세포를 DMSO로 처리하여 과립세포로 분화시킨 세포에서 Toxoplasma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 기능을 검토하였다. 먼저, HL-60 세포를 여러 농도의 DMSO로 처리하였는데, 1.3%(V/V)로 3일간 처리하였을 때, HL-60 세포 의 적정 분화가 이루어졌다. 분화의 정도는 형태적, 생리적, 및 기능적 관점에서 검사되었는데, DMSO를 처리한 경우, 3H-thymidine의 흡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DNA 합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적으로는 주화성 물질인 FMLP에 대해 이동하는 성질을 보였으며, 형태적으로는 핵1세포질의 비가 큰 promyelocyte에서 작은 비를 갖는 과립 세포로 변화하여 분화를 입증하였다. 이후, HL-60 세포나 DMSO로 분화를 유도한 HL-60 세포와 Toxoplasma를 같이 배양하면서 이들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Lysosome에 선택적으로 흡입되는 형광 물질(acridine orange)로 전처리한 표본은 형광현미경하에 서 관찰하였으며, 다른 표본은 Giemsa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HL-60 세포에서는 72시간의 배양으로 Toxoplasma가 세포질내에서 증식하여 rosette를 형성하였으며, DMSO로 분화시킨 HL-60 세 포에서는 배양 초기 1시간째에 phagocytosis가 일어났으며 이후 세포내 소화가 이루어져 72시간째에는 lysosome이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Toxoplnsma의 숙주 세포내에서의 기생 혹은 면역 세포에 의한 감수성에 phagosome 과 Iysosome의 융합이 결정적인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HL-60 세포에서의 Toxoplasma의 증식 가능성과 DMSO로 분화시킨 HL-60 세포의 Toxoplasma 파괴 효과가 원충 기생충과 숙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 좋은 모델임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