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숙주-기생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9초

Aspergilli에 기생(寄生)하는 Penicillium rugulosum에 대(對)하여 (Penicillium rugulosum Parasite on Aspergilli)

  • 이배함;채희병;이복권;심성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2
    • /
    • 1976
  • 기생미생물(寄生微生物)에 대한 연구(硏究)에서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을 분류동정(分類同定)하고 성장과정(成長過程)과 그 처리조직학적(處理組織學的)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構造)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을 통하여 관찰(觀察)하고, 이종간(二種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주(宿主)와 기생균(寄生菌)은 Aspergillus niger와 Penicillium rugulosum으로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2. 기생균(寄生菌)은 숙주(宿主)의 Sterigmata에 기생(寄生)하고 있는 것을 관찰(觀察)하였다. 3. 기생상태(寄生狀態)의 진행(進行)에 따라 숙주(宿主)의 세포(細胞) 내용물(內容物)이 소실(消失)되어 간다. 4. 기생균(寄生菌)은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도 배양(培養)되므로 활물기생(活物寄生)이 아니다.

  • PDF

학술자료 - 한국산(韓國産) 박쥐류(類)의 흡충류(吸蟲類)

  • 이재구;김현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1호
    • /
    • pp.63-72
    • /
    • 2010
  • 지구상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강(Class: Mammalia), 박쥐목(Order: Chiroptera)에 속하는 박쥐류는 1,00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포유류 중에서 1/4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2/3는 곤충류를 포식하는 식충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박쥐류는 관박쥐과(Family:Rhinolophidae) 2종, 애기박쥐과(Family: Vespertilionidae) 28종, 큰귀박쥐과(Family: Molossidae) 1종으로서 총 31종이며, 모두 식충성 동물이다. 흡충류라고 하는 것은 편형동물문에 속하는 기생성 동물의 한 군으로서, 항온동물의 장이나 그 밖에 조직에 기생하는 것은 모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중간숙주를 필요로 하는 이생 흡충이다. 제1중간숙주는 고둥이지만 제2중간숙주는 여러 가지 변온동물로서 그 대부분은 생활사에 있어서 수서 생활을 하는 시기가 있는 것에 한정되지만 이는 제1중간숙주의 체내에서 형성된 꼬리유충이라고 하는 흡충류의 유생이 보통 물 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제2중간숙주에 침입하게 된다. 박쥐류는 여러 가지 땅강아지나 개똥벌레를 포식하기 때문에 이들 유생이 물 속에서 흡충류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었을 경우 박쥐류가 흡충류의 종숙주로서 적합하면 그 체내에서 피낭유충이 장에서 탈랑하여 드디어 성충으로 된다. 만일, 감염된 수서 곤충의 유생이 우화되면 그 유생 시대에 감염된 피낭유충이 그 숙주의 변태와는 상관없이 그 기생이 이어져 적당한 종숙주에게 섭취되기를 기다리게 된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박쥐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조사 연구는 일찌기 도쿄문리과 대학 동물학 연구실의 Ogata(1938)에 의하여 이루어진 이래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의 Park(1939a,b)과 후쿠오까대학 의학부의 Kifune et al.(1983, 1997)이 있을 뿐 우리나라 학자에 의한 연구 보고는 접할 수 없는 형편이다. 그럼으로, 우리나라 학자도 이에 관한 더욱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할 것으로 생각하는 바 이에 지금까지 보고된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즐거운 기생충

  • 이순형
    • 건강소식
    • /
    • 제32권7호
    • /
    • pp.14-15
    • /
    • 2008
  • '기생충'하면 가장 먼저 지저분하다, 느리다 등의 생각이 떠오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기생충에 대해 연구하다 보면 어느새 기생충으로부터 낙관주의를 배우게 된다. 어미 기생충이 알이나 애벌레를 아무리 많이 낳아도 그것이 무사히 숙주에 들어가 성충(成蟲)으로 자랄 확률은 아주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생충은 조급하게 걱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부지런히 제 할 일을 하면서 참고 견딘다. 우리도 기생충의 낙관적인 생활방식을 닮는다면 마음이 조금은 편안해지지 않을까.

  • PDF

노린재류의 알에 기생하는 Trissolcus 속(벌목: 납작먹좀벌과)의 숙주 (Host Records of Trissolcus (Hymenoptera: Platygasteridae: Telenominae) Parasitizing Eggs of Stink Bugs in Korea)

  • 김경용;최덕수;최준열;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7-92
    • /
    • 2017
  • 납작먹좀벌과(Platygasteridae)의 큰검정알벌속(Trissolcus)에 속하는 T. japonicus (Ashmead) (썩덩큰검정알벌, 신칭)이 과수원에서 과일에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해충인 썩덩나무노린재의 알에 기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생물적 방제인자로써 가능성이 기대된다. 또한 천마큰검정 알벌(T. itoi Ryu)이 북쪽비단노린재 알을, 검은다리큰검정알벌(T. nigripedius Nakagawa)이 알락수염노린재 알을 숙주로 각각 기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동정을 위한 진단형질 및 영상자료와 한국에 분포하는 큰검정알벌속(Trissolcus)의 종들에 관한 숙주목록을 제공하였다.

스쿠치카에 대한 단클론항체의 생물학적 특성

  • 정성주;오명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7-518
    • /
    • 2001
  • 스쿠치카는 넙치에 기생하는 섬모충으로 스쿠치카에 대한 숙주의 면역반응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숙주의 스쿠치카에 대한 방어 메카니즘을 알기 위하여 스쿠치카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만들어 스쿠치카에 대한 항체의 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중략)

  • PDF

근교계 마우스에서 간흡충 기생기간과 산란력의 변동 (Egg Produc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 Different Strains of Inbred Mice)

  • 김종인;정동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69-176
    • /
    • 1992
  • 여섯 계통의 근교계 마우스떠에 상흡충의 기생기간과 경시적 산란력을 근거로 하여 숙주 기생충 관계의 계통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마우스찰 20개의 간흡충 피낭유충을 경구적으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간흡충의 충란이 처음 검출될 때까지의 기간은 DDY 마우스에서 평균 21.2일로 가장 짧았고, GPC 21.48, BALB/c 및 DS 23.2 5, ICR 및 nude 23.4일의 순이 었다. 총산란기간 역시 DDY 마우스에서 164일로 가장 길었으며, GPC 132R, BALB/c 97일, nude 37일, DS 32일 및 ICR 28일의 순이었다. DDY 및 GPC 마우스에서는 간흡충의 산란수가 비교적 높고 안정적이었으나 나머지 4계통의 마우스에서는 관찰기간 동안 불규칙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마우스의 계통에 따라 간흡충의 숙주 기생충 관계의 차리를 확인하였고 DDY 마우스가 6계통중 가장 호적숙주임을 알았다.

  • PDF

기생체 숙주 이론 기반의 경쟁 공진화 신경망 (Competitive Co-Evolving Neural Network : Host and Parasites)

  • 박정은;박민재;오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142-144
    • /
    • 2003
  •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의 가중치를 학습하는 방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유전자 알고리즘 역시 전역 탐색이 아니기 때문에 실세계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어려운 가장 큰 장애 요소인 지역 최소점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다. 이러한 지역 최소점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생체-숙주 공진화 현상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쟁 공진화 신경망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경쟁 공진화는 서로 다를 개체간의 경쟁적인 진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보다 적합도가 높은 개체가 생성되는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 공진화를 통한 신경망 가중치의 학습이 일반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것보다 더욱 우수한 가중치 집단을 탐색할 수 있음을 두 종류의 기계 학습 데이터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산소 라디칼 관련 효소의 폐흡충 발육 단계별 활성도 변화 (Activities of scavenging enzymes of oxygen radicals in early maturation stages of Paragonimus westermani)

  • 정영배;이희성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55-358
    • /
    • 1992
  • Oxygen radical은 생물체의 산소대사 과정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세포내 여러 성분을 불환성화시키거나 미생물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작용한다. 기생충에 존재하는 antioxidant enzyme은 숙주의 방어기전에서 유리하는 oxygen radical의 독성을 제거하므로 이 효소의 활성도는 기생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폐흡충은 피낭유충이 종숙주에 침입한 다음 숙주내 조직이행 시기를 거쳐서 폐에 도달하여 성충이 되므로 이 과정에서 각 시기별 산소독성과 이에 대항하는 효소의 환성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였다. 폐흡충의 피낭유충과 감염후 4주, 8주, 12주에 얻은 충체의 추출물을 조효소(조효소)로 하여 SOD, catalase, peroxid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효소의 비환성도(specific activity) 중 catalase는 피낭유충에서 최고치였으며, SOD 와 peroxidase는 4주 충체에서 가장 높았고, glutathione peroxidase는 8주 충체에서 높았다. 이들 4가지 antioxidant효소의 비환성도는 감염 12주인 성충에서 모두 낮게 측정되어 조직 이행시기의 충체에서 더 높은 효 소 활성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