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숙주식물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캄보디아 프놈보콜국립공원의 Balanophora fungosa var. indica의 숙주식물에 대한 DNA barcoding 기법을 통한 동정 (Identification of host plant species of Balanophora fungosa var. indica from Phnom Bokor National Park of Cambodia using DNA barcoding technique)

  • 김주환;원효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2-262
    • /
    • 2013
  • 캄보디아 캄폿주 프놈보콜국립공원에 대한 식물상 조사 중 열대성 전기생식물인 B. fungosa var. indica를 발견하였다. 이들의 숙주를 확인하기 위해 숙주의 뿌리와 더불어 주변에 위치한 목본 식물을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DNA barcoding 방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DNA barcode 마커로는 엽록체 rbcL 및 matK 유전자 구간을 적용하였으며, 15개의 숙주 뿌리와 7개의 주변 목본식물로부터 성공적으로 PCR 증폭 및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숙주 뿌리로부터 얻어진 숙주의 염기서열은 앵초과, 노박덩굴과, 도금양과, 그리고 물푸레나무과로 식별되었으며, 주변의 목본식물은 물푸레나무과, 도금양과, 무환자나무과, 장미과, 물레나물과, 철쭉과와 녹나무과였다. 속 수준에서 앵초과는 Myrsine, 노박덩굴과는 Euonymus, 도금양과는 Syzygium, 물푸레나무과는 Olea 등으로 각각 식별되었으나, 종 수준에서의 동정은 불가능하였다. 앵초과 Myrsine와 물푸레나무과 Olea는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B. fungosa var. indica의 숙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인 채집 조사 및 비교 연구, DNA barcoding을 통해 해당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Balanophora속 식물의 숙주 식물 및 진화에 대해 좀더 명확하게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랭이류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생물다양성 및 지리적 양상 (Geographical Patterns and Bio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Scirpus L. s.l. in Korea)

  • 어주경;박은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3-50
    • /
    • 2019
  • 고랭이류의 숙주식물인 Bolboschoenus planiculmis와 Schoenoplectustriqueter에서 내생균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체의 숙주식물에서 85개의 내생균을 분리하였고, ITS 지역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19개의 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92%는 Dothideomycetes에 속하였고, 4.8%는 Sordariomyetes, 1.6%는 Agaricomycetes, 0.8%는 Eurotiomycetes에 속하였다. B. planiculmis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내생균은 Cladosporium perangustum이고 S. triqueter에서는 Macrospora scirpicola였다. 염생식물에서 내생균의 연구는 매우 드물며, 이전에 목본식물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내생균의 군집 구조를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내생균 의 생물다양성 연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늘 잠복 바이러스의 순수분리 및 증식 (Purification and Amplification of Garlic Latent Virus)

  • 최진남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1992
  • 한국 마늘에 감염되어 있는 주된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마늘 잠복 바이러스 (GMV)의 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부 감염 숙주 식물인 Vicia faba에 연속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마늘 잠복 바이러스를 정제하였고, GMV에 대한 전신 감염성 숙주 식물로 생각되는 leek에서 GLV를 대량으로 증식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마늘 바이러스들의 입자의 길이는 200-2000 nm의 분포를 보였으나 입자의 대부분은 600-900 nm의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 반면 순수 분리된 GLV 입자는 평균 690 nm의 길이를 보여주었고, 유연한 실 모양이었다. SDS-PAGE 분석으로 혼합 감염된 마늘 잎으로부터 분리된 마늘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분자량 24,500-38,000 Da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GLV 껍질 단백질의 분자량은 34,000 Da으로 나타났다.

  • PDF

수종(數種)의 비두과(非豆科) 식물(植物)로 부터의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분리(分離)에 관(關)한 연구(硏究) (Isolation of N2-fixing Microorganism from the Root of Non-leguminous Crops)

  • 안상배;포생탁마;육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7-72
    • /
    • 1990
  • 수종(數種)의 비두과식물(非荳科植物)의 뿌리로 부터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을 분리(分離)하여 분리(分離)된 균(菌)에 대(對)해서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접종실험(接種實驗)을 하여 유효균(有效菌)의 선발(選拔)을 한 결과(結果) 1. 9개(個)의 식물(植物)에 대(對)해서는 시금치, 배추, 오이, 갓 및 가지에서 비교적(比較的) 높은 아세칠렌 환원능(還元能)을 가진 균주(菌株)를 얻었고 2. 그 중(中)에서 아세칠렌 환원능(還元能)이 큰 4개(個)의 숙주식물(宿主植物)중 시금치, 배추, 오이에서 양호(良好)한 생육(生育)을 하는 균주(菌株)를 찾았다. 특(特)히 시금치에서 접종효과(接種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3.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부터 비두과식물(非荳科植物)의 뿌리에도 약한 협생(協生)을 하는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이 생육(生育)되고 있어 뿌리의 생장(生長) 및 분화(分化)를 촉진(促進)시켜 지상부(地上部)의 생육(生育)을 왕성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알팔파근류균(根瘤菌)의 분리(分離) 및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의 비교(比較) (Isolation of Alfalfa Nodule Bacteria ana Assessement of their Nitrogen Fixing Capacities)

  • 최우영;김성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66-172
    • /
    • 1979
  •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증산(增産)과 질산비료(窒酸肥料)의 소비절약(消費節約)을 위(爲)하여 근류균(根瘤菌)의 실용화(實用化)를 위(爲)한 일련(一連)의 연구(硏究)를 시도(試圖)하고 그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알팔과군(群)을 대상(對象)으로 근류균(根瘤菌)을 분리(分離)하고 우수균주(優秀菌株)를 선발(選拔)하였다. 1. 대관령(大關嶺), 제주도(濟州道) 및 기타지역(其他地域)에서 수집(蒐集)한 근류(根瘤)로부터 47주(株)의 근류균(根瘤菌)을 분리(分離)하였다. 2.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형태적(形態的) 및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는 동시(同時)에 항원(抗原)의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 lysogeny 여부(與否)를 확인(確認)한 결과(結果) : (1) yeast mannitol broth 및 agar 상(上)에서의 생육형태(生育形態) 및 증식속도(增殖速度)를 달리하였으며 congo red에 의한 착색정도(着色程度)에도 차이(差異)가 있었고 (2) 항원성(抗原性)의 상호(相互) 근연성(近緣性)이 인정(認定)적는 균주(菌株)는 M-11/SU47, M-13/M-15 및 M-3/M-5 이었으며 (3) latent phage의 감염균주(感染菌株)가 발견(發見)되지 않았다. 3. 항온조명실내(恒溫照明室內)에서 행(行)한 시험관법(詩驗管法)에 의한 식물접종시험(植物接種試驗)을 통(通)하여 분리균주(分離菌株)의 근류형성(根瘤形成) 및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을 비교한 결과(結果), 공시숙주식물(供試宿主植物)에 대(對)하여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하지 못하는 즉(卽) 친화력(親和力)이 없는 균주(菌株), 근류(根瘤)는 형성(形成)하나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는 무효균주 그리고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을 크게 촉진(促進)하는 유효균주등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특(特)히 유효균주중에서 M-8, 9, 14, 20, 21, 25 및 34균주등(菌株等)은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 수준(水準) 또는 그 이상(以上)으로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에 유효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 PDF

출하용 숙주나물의 세척 유무에 따른 형태 및 색상 변화 (Washing Effect of Marketing Mungbean Sprout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ir Color)

  • 홍동오;전승호;이창우;김홍영;강진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7
    • /
    • 2008
  • 전래적으로 숙주나물은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척하지 않고 탈수시켜 이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생산된 숙주나물의 수분 함량과 관련된 세척이 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장하기 직전 물에 씻거나 씻지 않는 세척 유무가 5일간 저장중 숙주나물의 형태 및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세척 숙주나물에 비하여 세척시킨 숙주나물은 저장 4일 후까지 수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세척 숙주나물은 세척시킨 숙주나물에 비하여 저장중 형성된 개체당 세근수가 많았던 반면, 하배축과 뿌리 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 부분의 직경,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에서는 세척 유무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무세척 숙주나물은 세척시킨 숙주나물에 비하여 하배축 및 뿌리의 탁도, 하배축의 전단력이 높았던 반면, 색도 a와 b에서 세척 유무간 차이가 없어 저장중 무세척 숙주나물의 품질 저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세척 숙주나물에서 세근수, 하배축 길이, 하배축 중간부분의 직경, 하배축과 전체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저장 후 3일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무세척 숙주나물에서 하배축의 전단력은 저장 4일 후부터, 하배축의 명도와 색도 b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문안산의 목본식물과 공생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f Woody Plants in Mt. Munan)

  • 박상희;어주경;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지상균근균(AMF)의 형태적 및 분자 생물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문안산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AMF 시료는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쪽동백(Styrax obassis), 노린재나무(Symplocos sawafutagi)의 뿌리와 뿌리 부근의 토양에서 채취하였으며, 수수(Sorghum bicolor)를 숙주식물로 사용하여 포자를 배양하였다. 추출된 포자들의 형태 형질과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aulospora longula, A. mellea, Ambispora leptoticha,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occultum 등 4속 5종이 동정되었으며, 숙주식물에 따른 수지상균근균의 분포는 수종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생강나무에서는 A. longula가, 국수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에서는 A. leptoticha가 우점종이었다.

환경변화에 따른 내생균근 포자증식의 변화 (Population Changes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s in the Different Soil Environments)

  • 이석구;엄안흠;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4-143
    • /
    • 1992
  • 내생균근 2속 4종 (Scutellospora heterogama, Sc. verucosa, Sc. calospora, Gigaspora magarita)의 포자가 분포한 토양을 채집하여 Pots를 구성하고 그 토양내 환경(거름의 종류와 농도)을 달리하여 숙주식물(수수)을 키우면서 시간별 포자수 증가 상태와 식물 성장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자수 증가면에 있어서 최고 4배이상의 증가치를 관찰하였고 포자종에 따라서는 5배 이상의 포자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포자증가치가 가장높게 나타나는 시기는 종간, 인산의 농도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개 30-40일경에 나타났고 이러한 높은 포자증식 상태가 주기적 경향을 띰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숙주식물의 생체량은 거름의 종류에 따라 2-3배 이상의 성장도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으나 전체 포자수 증가에 있어서는 별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감소된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식물병원균 Bipolaris sorokiniana로부터 제초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결정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Phytotoxins from a Phytopathogenic Fungus Bipolaris sorokiniana)

  • 임치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2호
    • /
    • pp.91-97
    • /
    • 2002
  • 식물병원균 Bipolaris sorokiniana 배양 추출물로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논피의 유근신장을 억제하는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분자식이 $C_8H_8O_3$인 benzenoid 화합물인 3-methoxybenzoic acid와 3-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로 숙주식물의 유근신장을 1000ppm에서 90% 이상 저해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식물체의 잎과 줄기에서 분리되어 항균활성 및 항류마티스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바 있으나 B. sorokiniana로부터 분리되어 제초활성에 관하여 보고하기는 본 논문이 처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