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확후생리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stimation of MA(Modified Atmosphere) condition and changes of quality during the MA storage on the oyster mushrooms (느타리버섯의 MA 조건 예측 및 저장 중 품질 변화)

  • Lee, H.D.;Yun, H.S.;Lee, W.O.;Chung, H.;Cho,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73-279
    • /
    • 2003
  • 버섯은 수확 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2$0^{\circ}C$에서 200-500mg$CO_2$/kgㆍhr로 호흡속도가 아주 높은 편으로 저장이나 유통 중에 호흡속도를 낮추는 것이 버섯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저장고 또는 포장내의 기체조성을 변화시켜 신선 농산물의 호흡속도를 조절하여 저장하는 CA(Controlled Atmosphere)저장법이나,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저장법을 버섯 저장에 이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환경기체조성이 저장중인 버섯의 생리적인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Establishing an Appropriate Ridge Width for Mechanization of Ligularia stenocephala Field Culture Harvesting Work (곤달비 노지재배 수확작업 기계화를 위한 적정 이랑폭 설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2-72
    • /
    • 2020
  •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전남 홍도가 특산 자생지라고 하며 주로 강원도, 경북 경주, 전북 남원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곤달비는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국거리, 튀김, 묵나물로 식용한다. 특수 성분으로는 Isopropenyl, dimethoxybenzofuran, Liguhodgsonal, Ligujapon, Ligularinone A, Ligularinone B 등이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정기를 보익하고 허약함을 보하는 기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가 신경통, 유종(乳腫) 등에 쓰인다. 곤달비는 주로 시설하우스나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임간에서 재배되어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활성화를 위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는 곤달비를 저비용 대량 생산을 위한 노지재배 생력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해발 500m)에서 곤달비 노지재배를 대상으로 이랑폭 90cm, 120cm, 180cm 3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생육특성, 수량성, 생리장해 등을 조사하였다. 2019년 4월 정식 후 활착률은 180cm 처리구에서 92.1%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90.2%로 가장 낮았으며, 생존율 또한 180cm 처리구에서 87.2%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84.4%로 가장 낮았다. 생육특성 결과 1차년도에는 초장, 엽장, 엽폭은 생육 초기부터 후기까지 90cm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엽수는 120cm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2차년에는 180cm 처리구에서 초장 61.2cm, 엽장 32.6cm, 엽폭 31.3cm, 엽수 12.7개/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생육상태를 보였다. 이랑폭별 수확량은 180cm에서 1,073.7kg/10a로 120cm 955.7kg/10a, 90cm 923.3/kg/10a 비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생리장해는 2020년 3월 저온으로 인한 냉해를 출현 초기에 모든 처리구에서 받았다. 곤달비 노지재배 발생하는 병해충은 나비·나방류, 노린재류 3종류이며 그 중 점무늬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30% 이상 피해가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Foliar Spray of Calcium Agents on the Calcium Concentration, Fruit Quality and Anthracnose Occurrence in Water Melon (수박에서 칼슘제 엽면살포가 과실의 칼슘농도, 과실품질 및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 Moon, Byung-Woo;Koo, Ja-Jun;Nam, Ki-Woong;Lee, Young-Cheul;Moon, Young -J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24-925
    • /
    • 2011
  • 수박 '스피드'에서 칼슘제를 착과 14일 후에 1회 엽면 살포한 후 식물체의 칼슘농도, 과실품질 및 탄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부위별 칼슘농도는 엽병에서 ECa 500배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과피에서는 MCa 500배 및 염화칼슘 0.4%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과육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ECa, MCa 및 염화칼슘 모두 높았다. ECa 칼슘제 희석배수에 의한 엽병의 칼슘 농도는 500배, 250배, 125배에서 높았다. 수확 시 과중은 무처리 및 염화칼슘 0.4%에 비하여 ECa 및 MCa 처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당도 및 과피두께 차이는 없었다. 탄저병 발생은 무처리에 비하여 처리 칼슘제 모두 낮았다. 생리장해과 발생은 육안으로 전처리 모두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Physiology of Forage Crops (사료작물 생리)

  • 이호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70-73
    • /
    • 1992
  • 사료작물 저온발아성(低溫發芽性)은 수수 $\times$ 수단그라스잡종들이 좋았고 옥수수와 수단그라스는 비교적 저조하였고 PGE에 종자침지처리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저온발아에 효과적이었다. 간척지의 수수파종시 염해 방지에는 모래를 파종후 피복하여 제염(除鹽) 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수수류의 토양수분조건에 대한 광합성 연구는 포장용수량의 $60\sim80%$의 조건에서 광합성이 가장 왕성하였고 건물수량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옥수수의 광이용과 초형과의 관계연구는 이삭상부 엽각의 직립화는 밀식 조건에서 광이용성이 증가되었고 건물 및 종실수량에서 종수가 있었다. 또 밀식화에 따라 직립화 경향이 현저하였으며 옥수수의 다수성초형의 육성이 요청되었다. 질소시비에 대한 청예류의 생장 반응 연구들은 수단그라스에서 10a당 40Kg까지는 건물수량생산을 증가시켰으나 80Kg/10a 사용시는 질산태질소함량이 중독위험치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질산태질소의 중독위험은 6엽기까지 존재하였고 청산중독의 위험농도는 4엽기 이전까지, 또 18/$8^{\circ}C$의 저온조건에서 나타났다. 옥수수의 적정재식 밀도는 10a당 16.600본까지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가소화수량과 종실수량은 5.500본과 10Kg/10a 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질소 추비 효과는 대관령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맥류의 총체(總體)사료 이용성은 호밀, 밀, 보리 순(順)으로 저하하였고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수확적기는 출수후 24일경이었다. 호밀의 청예이용에는 월동후 2회예취와 12cm높이가 건물수량과 TDN수량을 높힐 수 있었다. 수수$\times$ 수단잡종의 출수기 이전 예취는 고사 경비율을 줄일 수 있었고 년 2회 예취와 예취높이 10cm가 가장 좋았다. 유채는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증가하였고 소화율의 감소도 현저하지 않았다.

  • PDF

마늘의 저장 및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함황화합물의 변화

  • Sin, Dong-Bin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7 no.1
    • /
    • pp.33-44
    • /
    • 2008
  • 마늘의 저장 중 생리활성과 향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의 변화를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마늘의 냄새를 최소화하고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식품의 소재개발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blanching)로 마늘 중의 효소를 모두 불활성화 시킨 후, 이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가하여 반응조건에 따른 alk(en)yl thiosulfinates 생성 및 이들의 분해산물인 휘발성 황함유화합물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수확한 마늘의 최종 저장물질로 알려진 -glutamyl-S-alk(en)yl-L-cysteines는 마늘중에 존재하는 -glutamyl-transpeptidase 및 oxidase의 작용에 의하여 감소한 반면 S-alk(en)yl cysteine sulfoxide는 감소한 만큼 증가하였으며, 이는 $-3^{\circ}C$ 및 실온($23^{\circ}C$)에서 보다도 냉장온도($4^{\circ}C$)에서 가장 많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 및 증가현상은 -glutamyl-S-(2-popenyl)-L-cysteine이 -glutamyl-S-(trans-1-propenyl)-L- cysteine이나 -glutamyl-S-methyl-L-cysteine보다 더 컸다. -glutamyl-S-(2-propen yl)-L-cysteine은 $4^{\circ}C$에서 저장 60일 만에 66%가 감소한 반면 이로부터 생성된 S-(2- popenyl)-L-cysteine sulfoxide는 그 만큼 증가하였다. -glutamyl-S-(trans-1-propenyl)-L-cysteine 및 -glutamyl-S-methyl-L-cysteine도 $4^{\circ}C$에서 150일간 저장한 경우 각각 81% 및 39%가 감소하고, 이들로부터 각각 생성된 S-(trans-1- propenyl)-L-cysteine sulfoxides 및 S-methyl-L-cysteine sulfoxide는 증가하였다. 한편 열처리 마늘에 alliinase를 가하여 함황화합물을 재생성 시킨 결과 8종의 S-alk(en)yl cysteine sulfoxides를 확인할 수 있었다. S-(2-propenyl)-L-cysteine sulfoxide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키면 각각 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25, 36, 66및 76% 씩 재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을 이용한 제품개발이나 연구를 할 경우 마늘의 저장조건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효소를 이용하여 적절히 반응시키면 마늘 냄새를 $30{\sim}80%$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Cultural Regions or Methods on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Paprika Fruits (재배지역과 재배방법이 파프리카 과실의 수확 후 생리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ang, Ho-Min;Choi, In-Lee;Kim, Il-Seop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7 no.4
    • /
    • pp.325-32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 paprika cultivars; 'Special', 'Fiesta' grown in 2 regions: Chuncheon(plain region) and Hwacheon(semi-high land region), and by 2 cultural methods; soil and hydroponic(rock wool culture). Respiratory rate of paprika fruit was higher in soil culture, and ethylene production was higher in Chuncheon region of both cultivars. As the thickness of fruit flesh showed thicker in Hwacheon region and hydroponic culture, the firmness of fruit was in proportion to thickness.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in red-cultivar, 'Special'. and in Chuncheon region. Soluble solids was higher in 'Special', but there was no different between cultural regions. The fruit of both cultivars was grown smaller in Chuncheon region, and the fruit shape of 'Fiesta' progressed faster in soil culture. The surface color of fruit was higher in Hwacheon, an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ultural method, both cultivars grown by hydroponics was shown vivid color. As above results, for the long term circulation and high quality of fruit, paprika may be cultivated by hydroponics in high-altitude region.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on the Postharvest Technology of Melon(Cucumis melo L.) (멜론(Cucumis melo L.) 수확 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 Oh, Su-Hwan;Bae, Ro-Na;Lee, Seung-Ko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8 no.4
    • /
    • pp.442-458
    • /
    • 2011
  • Among Cucubitaceae, melon (Cucumis melo) is one of the most diversified fruits, with various forms, sizes, pulps, and peel colors, In addition, it is a commercially important crop because of its high sweetness, deep flavor, and abundant juice. In the species, there are both climacteric and non-climacteric melons depending on the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patterns after harvest. Ethylene is also considered a crucial hormone for determining sex expression, Phytohormones other than ethylene interact and regulate ripening, There are some indice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optimum harvest maturity. The harvest time can be estimated after the pollination time,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determining the harvest maturity of the fruit. Besides the physiological aspects, the biochemical alterations, including those of sweetness, firmness, flavor, color, and rind, contribute to the overall fruit quality. These changes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 ethylene-dependent and ethylene-independent phenomena due to the ethylene-suppressed transgenic melon. After harvest, the fruits are precooled to $10^{\circ}C$ to reduce the field heat, after which they are sized and packed. The fruits can be treated with hot water ($60^{\circ}C$ for 60 min) to prevent the softening of the enzyme activity and microorganisms, and with calcium to maintain their firmness. 1-methylenecyclopropene (1-MCP) treatment also maintains their storability by inhibiting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The shelf life of melon is very short even under cold storage, like other cucurbits, and it is prone to obtaining chilling injury under $10^{\circ}C$. In South Korea, low-temperature ($10^{\circ}C$) storage is known to be the best storage condition for the fruit. For long-time transport, CA storage is a good method of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fruit by reducing the respiration and ethylene. For fresh-cut processing, washing with a sanitizing agent and packing with plastic-film processing are needed, and low-temperature storage is necessary. The consumer need and demand for fresh-cut melon are growing, but preserving the quality of fresh-cut melon is more challenging than preserving the quality of the whole fruit.

Effects of Postharvest Treatments of Calcium, Lysophosphatidyl ethanolamine (LPE), and 1-Methylcyclopropene (1-MCP) on the Fruit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in Asian Pears (Pyrus pyrifolia Nakai) (모의유통 환경에서 동양배 품질에 미치는 수확 후 칼슘, Lysophosphatidyl ethanolamine (LPE),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의 영향)

  • Lee, Ug-Yong;Choi, Jin-Ho;Lee, Jin-Wook;Kim, Joonyup;Kim, Ui-Dong;Chun, Jong-Pil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7 no.4
    • /
    • pp.312-318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f calcium chloride, lysophosphatidyl ethanolamine (LPE) or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ruit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in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Whangkeumbae' pear fruits were immersed in 0.25, 0.5 or 1.0% $CaCl_2$ solution with or without ultrasound (40kHz) at $25^{\circ}C$ for 3min followed by storage at $1^{\circ}C$ for 30 days simulated as abroad exportation. After simulated marketing at $25^{\circ}C$ and 80% relative humidity (RH) up for 10 days, quality parameters were evalu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ultrasound and $CaCl_2$ treatment had a synergic effect on keeping the green skin color which showed lower $a^*$ value.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ultrasound and 0.5% and 1.0% $CaCl_2$ significantly reduced internal browning disorders, although severe skin blemish disorder (20-23%) occurred in 1.0% $CaCl_2$ treatment. 'Wonhwang' pears were immersed in 1,000ppm LPE for 3 minutes or were fumigated in 1,000 ppb 1-MCP for 12 hour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fruit quality survey during the 21 days of distribution period are as follows. The 1-MCP treatment was maintained at a constant flesh firmness of 33N or higher during the distribution period. The LPE treated fruits had a lower physiological disorder index than the untreated group, but showed a relatively higher value than the 1-MCP treated group. In the case of 1-MCP treatment, the fruit respi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untreated control ($6.0mL{\cdot}kg^{-1}{\cdot}hr^{-1}$) during the simulaed marketing period. Consequently, it was expected that the postharvest treatments of 0.5% calcium chloride in pararell with ultrasound and 1-MCP fumigation can help to maintain Asian pear quality during distribution period.

Predicting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in Rice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이용한 벼 수발아율 예측)

  • Ban, Ho-Young;Jeong, Jae-Hyeok;Hwang, Woon-Ha;Lee, Hyeon-Seok;Yang, Seo-Yeong;Choi, Myong-Goo;Lee, Chung-Keun;Lee, Ji-U;Lee, Chae Young;Yun, Yeo-Tae;Han, Chae Min;Shin, Seo Ho;Lee, Seong-Ta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2 no.4
    • /
    • pp.239-249
    • /
    • 2020
  • Rice flour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wheat, and consumption of rice flour has been encouraged. damage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was occurring due to a weather disaster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e-harvest sprouting rate prediction system to minimize damage for pre-harvest sprouting. Rice cultivation experiments from 20 17 to 20 19 were conducted with three rice flour varieties at six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buk-do. Survey components were the heading date and pre-harvest sprouting at the harvest date. The weather data were collected daily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rainfall using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with the same region name. Gradient Boosting Machine (GBM) which is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and the training input variables were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otal rainfall. Also, the experiment for the period from days after the heading date (DAH) to the subsequent period (DA2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eriod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The data were divided into training-set and vali-set for calibration of period related to pre-harvest sprouting, and test-set for validation. The result for training-set and vali-set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a period of 22 DAH and 24 DA2H. The result for test-set tended to overpredict pre-harvest sprouting rate on a section smaller than 3.0 %. However, the result showed a high prediction performance (R2=0.76).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could be able to easily predict with weather components for a specific period using machin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