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형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31초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의 재보존처리에 사용할 복원재료 선정 실험 (Experiment to Select Material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 Glass Ewer, Korean National Treasure No.193)

  • 황현성;고민정;임수경;이다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5권
    • /
    • pp.26-37
    • /
    • 2014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에서는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봉수형유리병 본연의 색과 투명도를 되살리기 위하여 재보존처리를 하기로 하였다. 재보존처리에 앞서 유리 재질 보존에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광경화성 수지, 물유리에 대한 재료 실험을 하였다. 이 결과 접착제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광경화성 수지가, 복원 재료로는 아크릴 수지가 적합할 것으로 판정되었다. 단, 사용 방법에 있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단독 사용을 피하고 에폭시 수지는 착탈식으로 보존처리해야 한다.

다결정 CdTe 기반의 광계수형 X선 센서 제작 및 특성평가 (The Fabrication and Property Evaluation of Poly-crystalline CdTe based Photon Counting X-ray Sensor)

  • 강상식;박지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39-443
    • /
    • 2015
  • 종래의 방사선 의료영상 센서는 방사선에 의해 생성된 전하신호를 화소내에서 적분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선량에서 우수한 해상력이 가능한 광계수형 영상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진공 열증착법을 이용하여 다결정 CdTe(p-CdTe)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광계수형 센서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물리적 특성(SEM, XRD) 및 전기적 특성(leakage current, x-ray sensitivity, SNR) 평가를 하였다. 측정 결과, $1V/{\mu}m$ 이하의 인가전압에서 $5nA/cm^2$ 이하의 누설 전류밀도를 보였으며, X선 발생신호량은 $7{\mu}C/cm^2{\cdot}R$으로 광계수형 센서로의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신호대잡음비는 동작영역에서 5000 이상의 값을 보였다.

잣나무의 수형조절(VII) - 잣나무의 간벌과 수형조절이 종자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제1보) - (Crown Shape Control of Pinus koraiensis S. et Z. (VII) - The Influence of Thinning and Stem Pruning on Seed Component(The First Report) -)

  • 송재모;심태홈;이재선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87-96
    • /
    • 2001
  • 간벌과 수형조절이 종자생산량을 증가시키므로 이로 인해 잣 종자의 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각 처리별(간벌목, 무간벌목, 채종목, 1m 단간목 및 2m 단간목)로 종자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벌목과 무간별목의 일반성분(수분, 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두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간벌이 종자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종목과 수형조절목(1m 단간목, 2m 단간목)의 일반성분 역시 두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수형조절 또한 종자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간벌목과 무간별목의 지방산 분석은 함유량의 대부분(94% 이상)을 차지하는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 Palmitic acid(16:0)가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필수지방산 2종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간벌은 잣 종자의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종목과 수형조절목의 지방산 역시 함유량의 대부분(93% 이상)을 차지하는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 Palmitic acid(16:0)가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필수지방산 2종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수형조절은 잣 종자의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별과 수형조절에 따른 구과 생산량의 증대는 종자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ZigBee 준정밀수 데이터형의 표현 구간 개선 방안 (The Improvement of the Representation Scope of ZigBee Semi-Precision Number Data Type)

  • 이승재;김상경;김창화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133-135
    • /
    • 2006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에 가까워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소형센서를 무선네트웍으로 연결하여 일정 범위 내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는 무선센서네트웍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선센서네트웍 아키텍처는 IEEE 802.15.4에 제안된 MAC과 ZigBee Alliance에서 개발된 ZigBee를 이용한 것이다. ZigBee에는 네트웍계층, 응용프레임웍 등 많은 기능과 규격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응용프레임웍에는 각 센서장치들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 형이 정의되어 있다. ZigBee 응용프레임웍에 정의되어 있는 여러 데이터형 중 준정밀수형(semi-precision number type)은 수의 절대값이 작은 범위에서는 높은 해상도로 수를 표현할 수 있고 절대값이 큰 범위일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수를 표현할 수 있어, 빛의 강도, 소리의 크기 등 그 크기를 표현함에 있어 절대값에 반비례하는 해상도로 표현하여도 무방한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ZigBee에서 정의한 준정밀수형은 높은 해상도로 표현되어야 하는 구간 중 특정 구간에서 해당 값을 표현할 수 없는 구간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준정밀수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준정밀수형을 제안한다.

  • PDF

잣나무에 있어서 수형(樹形)이 결실량(結實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ree Form on Number of Cone Formation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 전상근;노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9-23
    • /
    • 1983
  • 잣나무 성숙목(成熟木)을 대상(對象)으로 수형(樹形)이 결실량(結實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조사분석(調査分析) 하였든 바, 잣나무의 착과수(着果數)는 수형(樹形)을 구성(構成)하는 여러 요인(要因)과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었다. 즉(即), 착과수(着果數)는 흉고직경(胸高直徑) 수관체적(樹冠體積)이 클수록, 그리고 주간(主幹)의 분간수(分幹數)가 많을 수록 증가(增加)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고(樹高) 수관장(樹冠長) 및 수관(樹冠)의 형상비(形狀比)는 착과수(着果數)와 상관(相關)이 없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신품종 '만풍배' 유목의 수형별 수체 생육특성과 생산성 비교 (Comparis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Young Trees of a New Cultivar 'Manpungbae' Trained to Trellis Systems)

  • 최장전;최진호;한점화;임순희;정석규;최현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393-401
    • /
    • 2017
  • 최근 국내에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만풍배' 배(Pyrus pyrifolia L.)나무 1년생을 재식(2001년)하여 정식 8년차까지 4가지 수형(Y자형, Y-II형, 평덕형, 평덕배상형)을 적용하여 남부지방에 적합한 수형을 제시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Y자형과 평덕형은 수관점유율이 높게 형성되었고 8년차에는 70-80%의 점유율을 보였다. 8년간 주당 누적수량은 소식이면서 주지가 다른 수형보다 1개 더 많은 평덕배상형에서 가장 높았다. 재식 5년차와 8년차의 누적 수량이용효율은 Y-II형과 평덕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8년간 ha당 누적수량은 Y자형과 평덕형이 각각 103톤과 101톤으로 Y-II형과 평덕배상형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재식 8년차에 평덕형은 평균과중과 과육당도를 증가시켰고 순소득도 가장 높았다. Y자형과 평덕배상형은 전정량 증가에 의한 노동량 및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낮은 수형으로 평가되었다.

광계수형 센서의 포톤계수효율 평가를 위한 포톤플루엔스 측정 (Measurement of the Photon Fluence for the Evaluation of Photon Detection Efficiency of Photon Counting Sensor)

  • 박지군;허예지;김교태;노시철;강상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16
  • 현재 CCD 및 TFT LCD 기반의 평판형 디지털 X선 센서를 이용한 많은 디지털 X선 영상장치가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포톤계수형 센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톤계수형 센서의 정량적 성능 평가 항목인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 입사되는 X선 플루엔스 측정하였다. IEC 61223-1-2 권고안의 RQA-M2 Radiation beam quality를 이용하여 포톤 플루엔스를 측정한 결과, $10{\mu}m$ 핀홀 영역에서 입사 광자 플루엔스는 $4photon/unit\;area{\cdot}{\mu}Gy$, $30{\mu}m$ 핀홀 영역에서 약 $50photons/unit\;area{\cdot}{\mu}Gy$, $100{\mu}m$ 핀홀 영역에서 $698photons/unit\;area{\cdot}{\mu}Gy$의 플루엔스로 규정할 수 있었다. 셋업된 입사 플루엔스를 이용하여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서의 X선 조사시 출력파형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잣나무의 수형(樹型) 조절(調節) (III) - III영급(齡級) 이하(以下) 인공림(人工林)에서 잣과 목재(木材) 생산(生産)을 위한 수형(樹型) - (Crown Shape Control of Pinus koraiensis S et. Z. (III) - Crown Shape Types for Seed and Timber Production from the Trees under Age Class III -)

  • 이재선;송정호;박문한;한상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95-204
    • /
    • 1999
  • 채종원(採種園) 관리를 위해 개발된 여러 수종의 다양한 수형 조절 방법의 검토 및 이미 수형 조절 작업을 받은 16년생 접목 잣나무의 성장 조사와 I영급~III영급 조림지 임목의 성장 조사를 통하여 잣나무 인공림에서 잣과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수형과 그 조절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1형은 I~II영급에 잣 생산만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상 1m 정도의 힘센 생지(生枝)를 포함하여 1m 정도 간격으로 4~5마디까지 남기고 단간(斷幹)하되 각 마디에 3~4개의 일차지(一次枝)를 윤생(輪生)으로 배치하는 변칙주간형(變則主幹型)이고, 제 2형은 잣과 목재 생산을 함께 도모하는 II영급~III영급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으로 힘센 첫 생지 (지표에서 4m~8m)의 아래 부분은 무절(無節) 주간(主幹)으로 성장시키고 그 위는 1m 정도 간격으로 최고 4~5마디까지 남기고 단간하되 각 마디에 3~4개의 일차지를 윤생으로 배치하는 변칙주간형이며, 제 3형은 목재 생산만을 위해 지하고(枝下高)가 9m를 넘는 잣나무를 강도(强度)의 가지치기로 주간형(主幹型)을 이루게 하여 곧고 빠른 주간의 성장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 PDF

가로수 선정 평가기준과 세부지표의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Prior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Detailed Index for Selecting Street Trees)

  • 김민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2-53
    • /
    • 2021
  • 가로수는 도시환경개선과 환경회복기능, 그리고 차단된 도시녹지의 연결통로로 소생태계 서식처 제공의 역할 등 녹색 네트워크의 핵심 및 자연성 회복의 수단으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가로수는 일반적으로 도시환경에 적응이 우수한 몇 가지 수종을 선별하여 대단위 식재를 해오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편중화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가로수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과 세부지표를 마련하고, 계층적 분석기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가로유형별 중요도를 보면 상업가로는 경관향상성이 0.2640, 세부지표는 수형이 0.1245로 가장 높았다. 업무가로도 경관향상성이 0.2496, 세부지표는 수형이 0.1177로 가장 높아 상업가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주거가로는 시민편의성이 0.2250, 세부지표는 수형이 0.0936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생활가로는 유지관리성이 0.2479, 수형이 0.1062이었다. 역사경관가로는 지역특성이 0.3488, 세부지표는 상징성이 0.1586, 기념성이 0.1095로 높았다. 생태네트워크가로는 생태계균형성이 0.4266, 세부지표는 종다양성이 0.1643, 자생종이 0.1556으로 높았다. 자동차중심가로는 대기오염저감성이 0.4639, 세부지표는 배기가스 저감이 0.1928, 미세먼지 저감이 0.1765, 이산화탄소 저감이 0.0945로 높게 나타났다. 가로유형별 세부지표 중 수형의 중요도가 공통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가로의 위치 특성 상 가로 경관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가로수 수종 선정 시 가로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기준과 세부지표를 설정하고 중요도의 정량적 기준 제시를 통하여 객관적 수종 선정 기준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