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행 평가

Search Result 22,341,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Study on the Vulnerable Ranking of Hydrological Safety on Existing Dams (기존댐 수문학적 안전성 취약 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Park, Jiyeon;Kim, Tae Hyung;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2-322
    • /
    • 2016
  • 국내 1, 2종 댐 시설물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 제7조에 의해 주기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상태평가 및 안전성평가에 의한 종합평가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정밀안전진단 중 안전성 평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는 댐의 구조형식과 현장진단 결과에 의한 댐의 상태평가에 따라 1차적으로 수행된다. 여유고 부족 또는 월류 발생 등의 1차적인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그에 따른 댐체의 구조적 안전을 검토(콘크리트댐)하고, 최종적으로 댐 붕괴 발생 시 하류에 미치는 인적, 경제적 위험요인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3단계 평가가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 단계적 평가가 수행된 기존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및 상태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1종 기존댐에 대한 수문학적 안전성 취약 순위를 선정하고자 한다. 취약 순위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기준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이하 MCDM)을 적용하였고, MC DM의 Payoff Matrix 설정을 위하여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외의 기준으로는 대상 댐의 연최대 강수량 값을 사용하였다. 연최대강수량값을 산정하기 위하여 기상관측소별 연최대 강수량 30년치의 평균값을 kriging 기법에 적용하여 대상댐에 대한 연최대강수량 값을 도출하여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지표 및 기존댐의 기상 관측값에 따른 댐별 수문학적 안전성 취약 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 결과를 활용하여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등급에 대한 검토 및 기후변화 적응 댐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Stream (하천 관련 사업평가를 위한 기법 개발 방안 연구)

  • Jang, Cho Rok;Song, Juil;Jang, Moon Yup;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6-226
    • /
    • 2019
  • 하천은 이수, 치수 및 환경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전국에는 총 3,836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하천유역을 개발 및 복구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각 사업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의 경우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하천사업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사업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를 토대로 매년 "자연환경대상" 공모전을 개최하여 기술적 사회적 평가 및 대내외적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해예방 및 환경개선,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소하천 정비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며 매년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공모전"추진을 통해 소하천정비 예산으로 추진한 사업들의 평가와 시상을 진행 중에 있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물 관리 기본계획인 '물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을 토대로 지방하천의 재해예방 및 수생태계 복원목적의 '지방하천정비사업 종합계획'을 수행 중에 있으며 하천재해 예방사업, 수계치수사업 등의 5가지 세부사업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천관리 전문가와 지역주민을 평가단으로 구성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각 부처는 하천유역의 환경개선 및 재해예방을 위해 여러 하천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각 기관별로 사업의 평가기법 또는 평가절차가 통일되지 않고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경우 하천사업의 사업계획부터 사후평가까지 사업의 전 절차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사업평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Ground Compaction Using SASW Testing (SASW 시험을 활용한 지반 현장 다짐도 평가)

  • Gunwo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22 no.4
    • /
    • pp.9-15
    • /
    • 2023
  • Compaction is performed in civil engineering site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ground and prevent settlement. While the process of compaction is crucial, it is also essential to evaluate the degree of compac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In domestic sites, the evaluation of compaction is mainly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spot using point-based tests such as plate load tests and sand cone tests. The methods presented so far allow assessment of surface compaction, but evaluating compaction in deeper layers poses challenges. Moreover, due to the limited coverage of point-based test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overall assessment of compaction. As a solution to these issues, the Spectral-Analysis-of-Surface-Waves (SASW) tests were utilized to evaluate compaction. SASW tests offer a broader measurement range compared to point-based tests, and depending on the test setup, this method can provide the stiffness of the ground at greater depths. In this study, SASW tests were conducted in a compacted soil site under different conditions to assess compaction. Additionally, Nuclear Density Gauge tests were conducted concurrently to compare and verify the results of SASW.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feasibility of evaluating compaction using SASW at the geotechnical site.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Standard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of Work Machine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 (공업고등학교 공작기계 과목의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 기준 개발)

  • Lee, Hyeon-Joong;Lee, Sang-Hyu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3 no.1
    • /
    • pp.92-11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 for right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of work machine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tandar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standar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of CNC Lathe from 13 technical high schools (11 public schools and 2 private schools). The developed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is verified by getting proper estimation from 26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s (2 teachers from each school) who are taking charge of CNC Lathe practice, and mean value between 3.77 and 4.77 is very high in validity. The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is redeveloped to evaluate the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as well as psychomotor domai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estimation field for practice subject is segmented for all practice processes and intends to do objective estimation which can be carried out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not only teachers. Third, the developed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has high validity and truthfulness because it is monitored by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technical high school.

A Preliminary Study on a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 With the Normal Elderly (수행기반 인지기능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 Kwak, Ho-Soung;Park, Ji-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8 no.3
    • /
    • pp.43-55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PCFT) to screen the elderly for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and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Methods: A draft version of the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PCFT) was developed and utilized in nine healthy elderly individuals. In order to verify its reliability, we analyz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CFT. In order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PCFT,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motor-cognitive dual task assessment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CFT for motor and cognitive tasks was 0.871 and 0.959 (Cronbach's ${\alpha}$), respectively. Concurrent validity of the PCFT, which was performed through motor-cognitive dual task assessments, ranged from 0.755 to 0.964 (Spearman's rho statistic, p < 0.05). In addition,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assessment tool and the MMSE-K ranged from 0.849 to 0.943 (p < 0.01).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and establish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CF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modified PCFT, for screening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s in the elderly.

A Study on the Accomplishment of Lecture Evaluation in University (대학 강의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 정진식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1
    • /
    • pp.93-115
    • /
    • 1999
  • This Study is the summary of studies in analysis of‘Lecture Evaluation’made at H university where such evaluation for every course established has been carried out since 1990. This contain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drawn up through OMR scanner which has 7 fields with 10 items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results, results of evaluation by lectures, different results of evaluation by fields, and the like. I applied such techniques of statistical analysis as T-test, analysis of variance table(Anova-table),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successful lecturing.

  • PDF

시스템 보안공학 능력 성숙도 모델 (SSE-CMM) 고찰

  • 김종기;이철원;이동호
    • Review of KIISC
    • /
    • v.11 no.6
    • /
    • pp.1-11
    • /
    • 2001
  • 정보보안 분야가 성숙해짐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법론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한 방법론들 중에서 본고에서는 품질 보증의 수단으로써 정보보안 제품/시스템의 개발기관의 보안공학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SSE-CMM에 대하여 살펴본다. SSE-CMM의 개념적 기초가 되는 보안공학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보안공학 수행 능력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의 체계와 구성과 함께, SSE-CMM을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평가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SSAM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SSE-CMM이 근거하고 있는 보안공학은 효과적인 정보보안을 도모하기 위한 개념적 틀이라는 점을 몇 가지 정보보안관리 지침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논의하였다. SSE-CMM은 현재 ISO 표준으로 상정되어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정보보안 분야의 여러 평가방법론들과 더불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정보보안의 효과성을 보증해주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st-Evaluation Techniques for Stream Project (하천사업 사후 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8-408
    • /
    • 2020
  • 「하천법」제3조는 국가는 하천에 대한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하천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합리적인 시책을 마련할 책무를 지게 하고 있다. 현재 전국에는 총 5,937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국가와 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기여를 한다. 국가하천의 경우 하천의 크기 및 지리적 위치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지방하천, 소하천보다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국토교통부의 예산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020년 예산서를 살펴보았을 때 '국토 및 지역개발' 예산 1조 1666억9600만원 중 76.53%를 차지하는 8928억7300만원이 '국가하천정비지원', '국가하천정비'에 활용된다. 이처럼 국가하천의 정비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여러 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나 사업종료 후 사업에 관한 적절한 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토부에서는 「하천에 관한 사무처리규정」에 따라 매년 6월 국가하천 제방정비에 관한 평가를 수행 중에 있으나, 이는 제방에 관한 평가만을 수행하며 사업 자체에 관한 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예산과 관심이 집중되는 국가하천사업이 완료되고 난 후 사업에 관한 평가를 통해 각 사업별 비교·분석이 가능한 표준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의 경우 사업이 진행되는 단계인 '기본계획수립 단계', '실시설계 단계', '시공 단계' 세 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총점이 100점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평가기법의 경우 우선 국가하천사업을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나 추후 지방하천, 소하천사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평가기법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est-bed 사업들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적용하였으며, 필요한 수정·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하천사업 사후 평가기술의 개발로 사업 간의 비교·분석이 가능해질것이며, 각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하천사업의 계획, 설계 시 벤치마킹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Skills on Driving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 Kwak, Ho-Sou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9 no.1
    • /
    • pp.45-55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on driving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visual training for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e evaluations, using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MT A&B(Trail Making Test A & B),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 and a driving simulator, were carried out with patients in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October 2014 to November 2014. Results : Driving performance was related to the ability of various visual perceptions of patients with stroke,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UFOV subtest 2, TMT B, and MVPT.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a sensitivity of 100.0%, specificity of 80.0%, and predicted the results of the driving simulator with 89.5% accuracy.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visual-perception skills influence driving performance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visual-perception skill training for drivi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교육시설의 안전인증 평가절차 개선 연구)

  • Seung-Hoon, Han;Seung-Ju, Cho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1
    • /
    • pp.99-11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adequacy and applicability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was implemented in 2021 and to derive possible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examined similar systems from abroad, conducted interviews with certification experts, and presented the proposed improved system to experts for review and advice. The proposed model replaced the current certification process with three stages of follow-up management. This allows for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mposition of evaluators to be prevented by applying a feedback system. In the review stage of the newly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certification experts recommended specifying the detailed standards of certification performance such as criteria for selecting examiners and arbitrators. They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fatal flaws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view,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improvement to the exis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