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사 학습 자료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tudy on Water Stage Predi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인공신경망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Yeo, Woon-Ki;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59-1163
    • /
    • 2010
  • 최근의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출량의 예측에 관한 사항은 치수 이수는 물론 방재의 측면에서도 역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강우-유출 관계는 유역의 수많은 시 공간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여 예측하기 힘든 요소이다. 과거에는 추계학적 예측모형이나 확정론적 예측모형 혹은 경험적 모형 등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예측하였으나 최근에는 인공신경망과 퍼지모형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기반의 모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출량을 예측하고자 할 때 학습자료 및 검정자료로써 사용되는 유출량은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으로부터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렇게 유도된 유출량의 경우 오차가 크기 때문에 그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우량 및 수위자료로부터 단시간 수위예측에 관해 연구하였다. 신경망은 과거자료의 입 출력 패턴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지식으로 보유하고, 이를 근거로 새로운 상황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인공지능분야의 학습기법으로 인간이 과거의 경험과 훈련으로 지식을 축적하듯이 시스템의 입 출력에 의하여 연결강도를 최적화함으로서 모형의 구조를 스스로 조직화하기 때문에 모형의 구조에 적합한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하천수위를 과거의 자료로 부터 학습된 신경망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통해 유출량의 예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적자생존의 생물학 원리에 바탕을 둔 최적화 기법중의 하나로 자연계의 생명체 중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좀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는 자연선택 과정과 유전자의 변화를 통해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자연 진화의 과정인 자연계의 유전자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탐색 알고리즘이다. 즉, 자연계의 유전과 진화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모델화함으로써 잠재적인 해의 후보들을 모아 군집을 형성한 뒤 서로간의 교배 혹은 변이를 통해서 최적 해를 찾는 계산 모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의 가중치를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시킨후 오류역전파알고리즘에 의해 신경망의 학습을 진행하는 모형으로 감천유역의 선산수위표지점의 수위를 1시간~6시간까지 예측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error type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e of dual numerals (이중 수사(數詞) 사용에서 나타나는 한국어학습자의 오류 유형 분석)

  • Do, Joo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8 no.2
    • /
    • pp.145-16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error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e of dual numeral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s of errors that appear in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targe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and mathematics. Error types that categorized errors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them frequently so that they can become familiar with the use of native language numerals, which often causes errors. Second,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ow-level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 how to use Chinese numera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ultiplicative numeral system of Chinese numerals. Third, it is necessary to teach children to accurately read foreign word classifiers used with Chinese numerals accurately in Korean and distinguish between the classifiers 'o'clock' and 'hours'. There is a need to provide guidance so that native language/Chinese numerals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succession along with Chinese classif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teaching numeration using dual numeral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vers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 Comparative Analy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lassifying by Content Area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초.중.고등학생의 수학과 내용 영역별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2003~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Lee, Bong-Ju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4
    • /
    • pp.59-8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few lessons for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ou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thematic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rimary sources for this resear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x-times national level tests performed annually by all level students from 2003 to 2008.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firstly, extract the lowest content area in terms of the annual average of the right answer ratio after examining the ratio of right answers to each math problem by classifying all multiple-choice question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tests from 2003 to 2008 into the relevant content area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rea which distinguish the lowest right answer ratio are qualitatively analyzed. Lastly, information on the content area which the school students of all classes feel very difficult to solve is provided via reckoning the average right answer ratio per each content area against all math questions at the last six-times of the national level tests.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in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0, 2011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 특성)

  • Jo, Yun-Do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3
    • /
    • pp.97-117
    • /
    • 2012
  • Our government has used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ith one of data to check and improve the existing curricula and educational policies. The reason to devote these efforts is for the purpose of boosting the students' academic ability. Here, one of works based on the growth of the students' academic ability is to grasp what contents they are vulnerable to. Next work is to improve the methods to teach the appropriate content. So, in this paper I grasped the tendencies of the whole students and male/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appear in the results of 2010, 2011 NAEA. On the basis of those I grasp what contents the whole students and male/female students are vulnerable and I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those contents.

Study on Water Stage Prediction using Neuro-Fuzzy with Genetic Algorithm (Neuro-Fuzzy와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위 예측에 관한 연구)

  • Yeo, Woon-Ki;Seo, Young-Mi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2-382
    • /
    • 2011
  • 최근의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출량의 예측에 관한 사항은 치수 이수는 물론 방재의 측면에서도 역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강우-유출 관계는 유역의 수많은 시 공간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여 예측하기 힘든 요소이며, 과거에는 추계학적 예측모형이나 확정론적 예측모형 혹은 경험적 모형 등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예측하였으나 최근에는 인공신경망과 퍼지모형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기반의 모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출량을 예측하고자 할 때 학습자료 및 검정자료로써 사용되는 유출량은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으로부터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는 이렇게 유도된 유출량의 경우 오차가 크기 때문에 그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위를 직접 예측함으로써 이러한 오차의 문제점을 극복 하고자 한다. Neuro-Fuzzy 모형은 과거자료의 입 출력 패턴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지식으로 보유하고, 이를 근거로 새로운 상황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인공지능분야의 학습기법으로 인간이 과거의 경험과 훈련으로 지식을 축적하듯이 시스템의 입 출력에 의하여 소속함수를 최적화함으로서 모형의 구조를 스스로 조직화한다. 따라서 수학적 알고리즘의 적용이 어려운 강우와 유출관계를 하천유역이라는 시스템에서 발생된 신호체계의 입 출력패턴으로 간주하고 인간의 사고과정을 근거로 추론과정을 거쳐 수문계의 예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적자생존의 생물학 원리에 바탕을 둔 최적화 기법중의 하나로 자연계의 생명체 중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좀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는 자연선택 과정과 유전자의 변화를 통해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자연 진화의 과정인 자연계의 유전자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탐색 알고리즘이다. 즉, 자연계의 유전과 진화 메커니즘을 공학적으로 모델화함으로써 잠재적인 해의 후보들을 모아 군집을 형성한 뒤 서로간의 교배 혹은 변이를 통해서 최적 해를 찾는 계산 모델이다. 이러한 유전자 알고리즘은 전역 샘플링을 중심으로 한 수법으로 해 공간상에서 유전자의 개수만큼 복수의 탐색점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교배와 돌연변이 등으로 좁아지는 탐색점 바깥의 영역으로 탐색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해에 빠질 위험성이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예측과 패턴인식에 강한 뉴로퍼지 모형의 해 탐색방법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해를 찾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우량 및 상류의 수위자료로부터 하류의 단시간 수위예측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항여 소속함수를 최적화 시키는 형태의 Neuro-Fuzzy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The Mean Formula of Implicate Quantity (내포량의 평균 공식과 조작적 학습법)

  • Kim, Myung-Woo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3
    • /
    • pp.121-140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one universal mean formula of implicate quantity for speed, temperature, consistency, density, unit cost, and the national income per person in order to avoid the inconvenience of applying different formulas for each one of them. This work is done by using the principle of lever and was led to the formula of two implicate quantity, $M=\frac{x_1f_1+x_2f_2}{f_1+f_2}$,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in this formula. The value of ratio of fraction cannot be added but it shows that it can b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tio. It is intended to solve multiple additions with one formula which is the expansion of the mean formula of implicate quantity. $M=\frac{x_1f_1+x_2f_2+{\cdots}+x_nf_n}{N}$, where $f_1+f_2+{\cdots}+f_n=N$. For this reason, this mean formula will be able to help in physics as well as many other different fields in solving complication of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