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육의 기초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 탐색 - 초3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 수학 결과 분석 - (In Search of Improvement Schemes on Textbooks and Teacher Guide Book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Mathematics : A Careful Analysis of the Results of Korean Elementary 3 Grade Students National Diagnosis Assessment on Basic Scholastic Ability in Area of Mathematics)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69-88
    • /
    • 2006
  •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일수록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의 미묘한 차이에 따라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4년에 실시된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한 영역인 기초 수학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동일한 성취기준에 속한 평가 문항일지라도 그 조직과 제시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정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으며,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 기초학력에 미도달한 학생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분석 내용에 비추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및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교재 집필에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구체적이면서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A Study on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through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in Engineering Freshmen)

  • 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513-5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의 교육방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A대학교 공과대학 2011년과 2015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기초학력평가와 수학에 대한 인식 및 대학수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를 고등학교 계열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응시유형별, 수학기초학력평가 성적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은 수학기초학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 신입생들은 2011년에 비해 자신이 느끼는 수학실력 수준이 향상되었고 대학수학 수업에서 더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2011년과 2015년 신입생 대부분이 대학수학은 전공을 위한 기초과목으로 인식하였고, 수업은 고등학교 중급 수준에서 시작하는 것과 교수가 이론설명 및 문제풀이도 해주는 수업방식을 선호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에서 수학기초학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태도를 강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유아의 쌓기 놀이 활동을 통한 기하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 홍혜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21-32
    • /
    • 2001
  • 쌓기놀이는 유치원에서의 주요 활동이며, 유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놀이일 뿐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쌓기놀이는 다양한 크기, 형태의 나무 적목을 사용하여 구성하게 되므로 공간 관계, 기하학적 도형, 대칭, 합동 등의 수학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의 쌓기놀이는 유아가 자유롭게 구조물을 만든 후 이를 극화놀이로 확장되어 전개되는데 그치고 있어 이를 통한 수학적 경험은 크게 기대할 수 없으며 우연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쌓기놀이를 보다 기하학적 사고와 탐색을 포함하는 교수-학습의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유아의 쌓기놀이 활동에 기초한 기하학습의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기초로 한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 PDF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 - 기초미적분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general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 Focused on Basic Calculus -)

  • 표용수;조성진;정진문;박진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823-8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의 교양수학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찾아보기 위하여, 기초미적분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실태 설문조사와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수준별 학급을 편성하고, 수준별 학습지도, 수학카페 및 홈페이지 운영과 함께 Webwork 시스템을 활용한 시범강의 등을 통하여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지도 방안과 수준별 학급 운영의 유의점을 제안한다.

  • PDF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69-379
    • /
    • 2013
  •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 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 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 (Study of Structural Scheme of Basic Mathematics Education in University - Focusing on life and nano-related areas -)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21-247
    • /
    • 2008
  •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과 그 방안을 찾기 위하여, 그 분야의 대학생들이 기본함수(2차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기본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분야와 관련된 전공 서적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본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정보에 대한 이해 및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각 전공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의 양과 내용의 깊이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 구성에서, 각 전공 분야의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기초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반영하고 각 전공에 따라 수학 내용의 양적인 면과 내용의 깊이를 다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low-Basic Students in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283-308
    • /
    • 2008
  • 기초학력의 부진은 교과 학습 및 사회생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2002년부터 실시된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평가'와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제', 보정교육 자료 개발 등 교육의 복지를 실현하고자 일련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목적은 학습 결손 원인에 대한 정보 및 개인적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담기간 축적된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나타난 미도달 학생들이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도달 학생들은 문항에 포함된 수치적 특징, 받아올림/내림의 여부, 문항의 배치 및 진술 방식, 정보 제시 방식, 개념의 전형적인 예, 친숙도, 일상생활에서의 사용 빈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도달 학생들의 지도 및 보정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Comparision on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29-5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우수학력 학생들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교급별로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비율,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전체, 내용 영역별, 행동 영역별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 영역별, 행동 영역별, 문항 유형별(서답형 문항)로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사지도를 통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 김영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대학수학의 기초학력 및 기본 소양교육이 부족한 대학 1학년 신입생들에 대하여 학사지도 및 진로지도를 통하여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