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사교육

검색결과 1,388건 처리시간 0.021초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의 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of two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Toward the above criteria)

  • 박미미;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79-198
    • /
    • 2022
  • 수학 수업의 질은 교사들마다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가지는 수학 수업을 운영하는 역량은 경력교사 뿐만 아니라 초임교사들에게도 요구된다.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이 질적으로 큰 상이함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보여주는 지를 확인하는 것은 교사교육의 현황을 가늠해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 및 근무 환경 등에서 유사점이 많은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을 edTPA의 수업 실행 규준 중 학습 환경, 학습 참여, 학습 심화, 표상 도구 규준의 네 가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모든 규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점수가 나타났으나, 다른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학습 환경 규준을 제외한 나머지 규준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등수학 임용시험 평가문항과 전국 수학교육과 교과목 분석

  • 김영록;김서리;정석영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09년도 제4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 /
    • pp.45-76
    • /
    • 2009
  • 본 연구는 1992학년도부터 2008학년도까지의 수학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2009학년도의 개정 시행된 시험(2008년 11월 9일), 그리고 이에 앞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한 2009학년도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모의평가(2008년 6월 14일 시행)을 분석하고 평가문항의 내용별 분포와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수학전공과목 임용시험 출제 평가문항의 내용영역별 분류는 어떠한가?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 문항들의 각 영역별 출제 빈도수는 어떠한가? 전국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임용시험 평가문항들이 사범대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향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겠는가? 각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문항들과 전국의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들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PDF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 한선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99-615
    • /
    • 2015
  •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이재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 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91-511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교사교육에서 한국수학사의 교육적 적용을 탐색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그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과 조선산학 프로그램이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산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88명을 포함한 총 17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수학사 활용의 실태, 효과, 개선방안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한국수학사의 활용을 수학사의 활용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에 한국수학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문화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은 후순위로 조사되었다. 한편 교사교육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전체 54개 문항 중 2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교사교육 참여경험이 인지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교육이 한국 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한국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의 활성화에 주요 변수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Korean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 김동원;이경화;박미미;박진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45-76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72명의 초등교사 및 중등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의 목적, 학생과 학습 및 교사에 대한 관점을 주요하게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들의 교사효능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만을 강하 게 지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사의 수업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에 관한 탐색

  • 허양순;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71-83
    • /
    • 2001
  • 교사가 효과적으로 수업을 하려면 계속해서 개선을 해야 한다.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계속해서 반성함으로써, 또한 교수와 학습에 대한 지식이 변함에 따라 수업이 변하고 발전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교사는 꾸준히 변하는 교사이다. 이러한 교사역할에서의 변화가 요구되는 합의가 암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사의 역할을 인지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교육을 실행공동체에서의 참여의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에 따른 바람직한 교사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여 수학 교실 향상에 대한 앞으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PDF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와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351-368
    • /
    • 2024
  •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공지능을 수용하는 교사의 인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인공지능의 정의와 활용 태도, 수학 교수 도구, 수학 학습 도구, 수학 평가 도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한 뒤, 초등 교사 161명과 중등 수학 교사 157명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수학 교수 및 학습의 도구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자신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초등 교사가 중등 수학 교사보다 긍정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고, 중등 교사의 경우 중립적 인식에 가진 교사의 비율이 초등 교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학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탐색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Explorative Computer Softwares)

  • 류희찬;조민식;장경윤;유공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97-114
    • /
    • 2003
  • 본 연구는 컴퓨터의 잠재성을 최대로 활용하는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기하 교수학습용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특성과 활용상의 유의점을 살펴보고, 이들 소프트웨어가 수학교육의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21세기 수학교육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을 위한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기하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GSP4를 중심으로, 이들 소프트웨어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획득하기 위해 수학교사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들을 논의해 봄으로서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