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토양도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살내유적지 발굴조사 : 1. 지형 및 토질분석

  • 김성욱;김인수;정성교;이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23-326
    • /
    • 2002
  • 살내유적 발굴 현장에 분포하는 토양시료에 대한 지형과 토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형분석은 수치지형자료와 현장 측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토양 시료의 채취는 트렌치된 곳에서 채취하였다. 토질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개 지점은 심도별로 시료를 채취하였고, 퇴적단면에 대한 기재를 병행하였다. 유적지의 입지는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수계의 변화는 퇴적물의 차이를 반영한다. 두 수계에 분포하는 암종은 서로 상이하며 유적지의 북동방향으로 갈수록 고도가 증가한다. 또한 토양의 자갈 구성비가 높은 점과 그리고 상, 하부 지층에서 구성 광물이 동일한 것은 유적지의 퇴적물이 같은 수계에서 기원되었음을 뜻하며 살내유적지는 단장천의 범람으로 형성되었다. 문차층은 세립의 실트와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갈층은 대체로 경사져 있고 하부 지층을 깍고 채운 구조로 되어 있다. 토양의 입도는 유적지의 북에서 남으로, 서에서 동으로 잘수록 세립화되며, 2회에 걸쳐 상향 조립화의 구조를 보여준다.

  • PDF

Effect of Sodium Oxide Disulfonate Surfactant on Hydraulic Conductivity in a Soil (계면활성제가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 Lee, Dal-Heui;Robert D. Cody;Kim, D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91-95
    • /
    • 2000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토양에 존재하는 유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토양과의 상호작용시 투수계수를 상당히 ($10^2$ 이상) 감소시키면 이 복원방법은 실용성이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투수계수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DOSL) 사용 후 증류수와의 상대적 비교치로써 투수계수는 21~35 % 감소하였다. 이 감소 수치의 의미는 선택된 계면활성제(DOSL)는 토양 복원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지하수 오염 정화에서 ORC(Oxygen Release Compound)의 적용성 연구

  • 배광옥;임인규;차장환;정형재;이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3-267
    • /
    • 2003
  • 물만 주입한 1군과 물-토양을 주입한 2군, 물-ORC를 주입한 3군, 물-토양-ORC를 전부 주입한 4군의 4개군으로 조건을 차별화하여 2$0^{\circ}C$ 항온 OER시험을 실시하였다. 1군은 약4mg/L, 2군은 3mg/L, 3군은 12~13mg/L, 4군은 11~12mg/L의 DO를 나타내었다. ORC를 투여하지 않은 1군과 2군은 2$0^{\circ}C$ 용존산소 포화선인 Bmg/L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C를 투여한 3군과 4군은 포화선보다 3~4mg/L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토양을 주입한 2군과 4군에서는 토양 미생물의 영향을 받아 DO가 감소하나 ORC를 투입한 4군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하게 나타난다. TCE 분해능 시험은 15$^{\circ}C$에서 항온으로 30일간 시험하였다. 초기 농도 5000ppb가 30일 경과 후 약 4000ppb로 약20%의 분해율을 나타내었고, 메탄을 첨가했을 때 더 잘 분해됨을 보여주었다.

  • PDF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Storage Using Soil Characteristics (토양 특성을 이용한 토양유기탄소저장량 산정)

  • Lee, Taehwa;Kim, Sangwoo;Chun, Beomseok;Jung, Youngh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6-196
    • /
    • 2020
  • 토양은 육상생태계에 있어 가장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대기 중 CO2를 토양탄소로 전환하여 쉽게 방출되지 않고 토양 내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토양 유기탄소 배출관리는 기후변화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토지이용의 변화와 무분별한 관리로 인하여 토양내에 저장되어 있는 토양 탄소배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토양탄소 배출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가치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토양에 저장된 토양유기탄소 함량을 토양통별로 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 토양 토양탄소 저장량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과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특성은 물리적 특성인 모래(Sand), 이토(Silt), 점토(Clay), 자갈(Gravel)함량과 화학적 특성인 유기물함량(Organic Matter)를 사용하였다. 토양 유기탄소저장량 산정의 검증을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군의 토양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486,696t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305.54Mt의 유기탄소가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 면적당 유기탄소 저장량의 경우 3.11kg/㎡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상반기 기준 평균 탄소거래권 가격(27,500원/톤)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토의 토양탄소 저장량 가치평가를 실시한 결과, 약 8조 4천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의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양에 저장되어 있는 유기탄소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업, 수문,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new integrated particle tracking techniques combining the numerical method, semi-analytical method, and analytical method (수치, 해석적, 준 해석적 및 해석적 방법을 통합한 새로운 입자추적기술 개발)

  • Suk, Hee-Ju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50-61
    • /
    • 2008
  • In this study, new integrated particle track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reduce the inherent problem of Eulerian- Lagrangian method, or adverse effect of particle tracking error on mass balance error. The new integrated particle tracking algorithm includes numerical method, semi-analytical method, and analytical method which consider both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of velocity field during time step. Detail of mathematical derivations is well illustrated and four examples are made to verif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new integrated particle tracking with analytical solution or Runge-Kutta method.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the there is better superiority of the new integrated particle tracking algorithm over other existing particle tracking method such as Lu's method.

The Case Study : The Efficiency of Using UAV and 3D-model for Mine Reclamation Work Monitoring (무인항공기와 3차원 지표모델의 광해방지사업 모니터링에 대한 효율성 고찰)

  • Kim, Seyoung;Yu, Jaehyung;Shin, Ji Hye;Lee, Gill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1
    • /
    • pp.1-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3D modeling on mine reclamation monitoring. The high spatial resolution of 3.8 cm ortho-mosaic image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re constructed based on UAV air survey. The ortho-mosaic image effectively shows mine reclamation activities and recognize objects and topological changes in the imag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3D models between UAV based DEM and report based DEM reveals that total amount of $268,672m^3$ additional dumping of contaminated soil is equivalent to 710,000 ton. It concludes that a UAV based survey enables high accuracy spatial information extraction for mine reclamation activities with high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UAV survey will be very effectively used for preliminary data acquisition and project monitoring for mine reclamation activities.

Evaluation of Efficiency of SVE from Lab-scal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실내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SVE의 효율성 평가)

  • Suk, Heejun;Seo, Min Woo;Ko, Kyung-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B
    • /
    • pp.137-147
    • /
    • 2008
  • Soil Vapor Extraction (SVE) has been extensively used to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the vadoze z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moval mechanism during SVE operation, laboratory model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tailing effect could be observed in later stage of the experiment. Tailing effect means that removal rate of contaminants gets significantly to decrease in later stage of SVE operation. Also, mathematical model simulating the tailing effect was used, which considers rate-limited diffusion in a water film during mass transfer among gas, liquid, and solid phases. Measurement data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was used as input data of the numerical analyses.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n required time to reach final target concentr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in the soil phas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 liquid and gas diffusion coefficient larger, actual path length shorter, and water saturation smaller.

Comparis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and FDR Sensor Calibration of Field Soils in Korean Orchards (노지 과수원 토성별 수분보유 특성 및 FDR 센서 보정계수 비교)

  • Lee, Kiram;Kim, Jongkyun;Lee, Jaebeom;Kim, Jongyu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1 no.4
    • /
    • pp.401-408
    • /
    • 2022
  • As research on a controlled environment system based on crop growth environment sensing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horticultural crops and its industrial use has been important, research on how to properly utilize soil moisture sensors for outdoor cultiv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proper method of utilizing the TEROS 12, an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which is frequently used in industry and research fields, for each orchard soil in three regions in Korea. We collected soils from each orchard where fruit trees were grown, investigated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water retention curve, and compared TEROS 12 sensor calibration equations to correlate the sensor output to the corresponding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through linear and cubic regressions for each soil sample. The estimated value from the calibration equ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was also compared. The soil collected from all three orchards showed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values by each soil water retention level across the soil samples. In addition, the cubic calibration equation for TEROS 12 sensor showe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higher than 0.95, and the lowest RMSE for all soil samples. When estimating volumetric water contents from TEROS 12 sensor output using the calibration equ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their calculated volumetric water contents were lower than the actual volumetric water contents, with the difference up to 0.09-0.17 m3·m-3 depending on the soil samples, indicating an appropriate calibration for each soil should be preceded before FDR sensor utilization.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ange of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oil water retention levels across the soil samples, suggesting that the soil water retention information should be required to properly interpret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value of the soil. Moreover, soil with a high content of sand had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volumetric water contents for irrigation, thus reducing the accuracy of an FDR sensor measurement. In conclusion, analyzing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oil and the soil-specific calibration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quantify the soil water status and determine their adequate irrigation point using an FDR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