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적 불안정성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change of deflagration to detonation transition by wall cooling effect in ethylene-air mixture (에틸렌-공기 혼합물에서 벽면 온도 감소에 의한 연소폭발천이 현상 변화)

  • Gwak, Min-Cheol;Kim, ki-Hong;Yo, Jai-I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7-462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deflagration to detonation transition (DDT) induced by shock wave and flame interaction in ethylene-air mixtures. Also shows the change of DDT triggering time by wall cooling effect. A model is consisted of the compressible reactive Navier-Stokes equations. And the effect of viscosity, thermal conduction, molecular diffusion, chemical reaction and wall effect are included. Using this model, the generation of hot spot by repeated shock and flame interaction, occurrence of detonation, and wall cooling effect of detonation confining boundaries are studied.

  • PDF

Improvement on Geomorphic Changes of Water Intakes at Haepyeng by Numerical Simulation (수치모의를 이용한 해평취수장의 취수장애 개선 연구)

  • Jang, Chang-Lae;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73-377
    • /
    • 2007
  • 본 연구는 하천수를 직접 취수하는 기존 취수장의 취수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취수장 문제해결 방법으로 검토되지 않았던 유로(流路) 및 하천의 지형변동을 GIS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유사영역 구분 및 하도특성 분석, 하천 특성 해석에 적합한 이동경계 좌표계를 이용한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2차원 하상 및 지형변동 예측을 검토하였다. 저수로의 이동 및 하상저하로 인하여 취수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해평취수장 주변에 대하여 항공사진 분석 및 GIS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하천 형태 변화 저수로의 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저수로는 좌안에서 우안으로 이동해 가고 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폭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저수로의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 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수로 하폭의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수로의 측방 이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측방향 이동율이 감소하였다. 만재유량을 이용하여 유사의 영역구분을 수행한 결과, 망상하천으로서, 모래하천으로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한 결과, 유량이 $2,000\;m^3/s$일 경우에는, 해평 취수장 측의 하천 하상은 상승하였으며, 구미정수장 측에서는 하상이 저하되었다. 홍수유량 $8,000\;m^3/s$일 경우에는 해평 취수장 측에서는 약간 저하하였고, 구미정수장 측에서는 하상이 상승하나, 직하류에서는 하상이 세굴되고, 하천 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하중도는 커지는 현상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하중도 직하류에서는 하중도를 중심으로 좌안인 해평 취수장과 우안인 구미정수장 쪽으로 분류된 흐름이 합류되면서 하상에서는 퇴적과 세굴이 반복되며, 복렬 사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흐름에 의해 와(vortex)가 크게 형성되어 하상의 세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 of Joint Stiffness on the Rock Block Behavior in the Distinct Element Analysis (개별요소해석에서 절리강성이 블록 거동에 미치는 영향)

  • Ryu, Chang-Ha;Choi, Byung-Hee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7 no.2
    • /
    • pp.14-21
    • /
    • 2019
  • Distinct element method is a powerful numerical tool for modelling the jointed rock masses. It is also a useful tool for modelling of later stage of blasting requiring large displacement. The distinct element method utilizes a rigid block idea in which the interacting force between distinct elements is calculated from contact displacement as elements penetrate slightly. The properties of joints defined as the boundaries of distinct elements are critical parameters to determine the block behavior, and affect the deformation and failure mode. However, regardless of real joint properties, joint stiffnesses have sometimes been selected without special concern just to prevent elements from penetrating too far into each other in some quasi-static problems.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interest in the analysis is the prediction of the deformation with high precision, or the prediction of the block behaviour after failure, the input data such as joint stiffness may or may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he joint stiffness on the distinct element analysis results, and to help guide the selection of input data.

Scour Simulation by Coarse-Grained DEM Coupled with Incompressible SPH (비압축성 SPH와 Coarse-Grained DEM을 활용한 세굴 모사)

  • Kim, Jihwan;Lee, Ji-Hyeong;Jang, Hoyoung;Joo, Yo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27
    • /
    • 2021
  • 세굴은 유체와 유사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중요한 자연 현상 중 하나로, 구조 및 지반 붕괴, 홍수,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세굴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많은 수치적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기존 격자기반방법인 유한체적법 (FVM)과 개별요소법 (DEM)이 연성된 모델을 이용하였고, 이는 격자 의존도로 인한 정확도와 효율성의 문제점을 보였다. 해결책으로 입자기반 유체해석 방법인 약압축성 SPH (WCSPH)와 개별요소법의 결합모델을 이용한 모의가 연구되어 왔지만, 단순 밀도차를 활용한 유체해석방법이 압력의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유사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개별요소법의 특성상 모의 입자의 크기를 실제 실험 입자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하면서 입자수가 지나치게 증가해 계산의 효율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실제 자연 지형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세굴 수치모의해석을 위해 반복법을 통해 안정적인 유체 압력을 계산하는 비압축성 SPH (ISPH)와 개별요소법을 연성한 ISPH-DEM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계산속도 향상을 위해 하나의 입자가 다수의 작은 입자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Coarse-grained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모델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모델을 NFLOW ISPH PURPL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굴 현상을 수치 모의하였고 실험 결과와 검증을 진행한 결과, 세굴의 깊이, 너비, 형상 등을 비교하였을 때 약 10% 이내의 오차를 보였고, Coarse-grained 방법을 통한 입자 수 감소로 최소 13배 증가된 해석 속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이 실제 자연 지형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f Effects of Measurement Errors in Damage Detection (동적 측정오차가 손상탐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Ki-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3
    • /
    • pp.218-224
    • /
    • 2011
  • A modal method is present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easurement errors in damage detection for dynamic structural systems. The structural modifications to the baseline system result in the response changes of the perturbed structure, which are measured to determine a unique system in the inverse problem of damage detection. If the numerical modal data are exact, mathematical programm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obtain the accurate structural changes. In practice, however, the associated measurement errors are unavoidable, to some extent, and cause significant deviations from the correct perturbed system because of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eigenvalue problem. Hence, a self-equilibrating inverse system is allowed to drift in the close neighborhood of the measured data. A numerical example shows that iterative procedures can be used to search for the damaged structural elements. A small set of selected degrees of freedom is employed for practical applicabilit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Numerical Simulations of Discontinuous Density Currents using k-ε Model (k-ε 모형을 이용한 불연속 유입 밀도류의 수치모의)

  • Lee, Hea Eun;Choi, Sung 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B
    • /
    • pp.231-237
    • /
    • 2009
  •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to simulate density currents developing two dimensionally. The ${\kappa}-{\varepsilon}$ model is used for the turbulence closure. Elliptic flow equations are solved by the finite volume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 discontinuous density currents are simulated numerically. The vortices due to the instability at the interface are simulated, showing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visualizations in the literature. It is also investigated that the transition from slumping phase to inertial phase occurs when a bore generated at the end wall overtakes the front. However, the propagation of the density current is retarde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wo-dimensional modeling seems to have an effect on underestimating the front velocity of the density current.

The 3D Numerical Analysis on the Turbulent at 40° Crosswind, for the Predictions of Flight Stability at Take-off and Landing (이·착륙 비행 안정성 예측을 위한 측풍 40° 방향에 대한 3차원 수치해석)

  • Sheen, Dong-Jin;Kim, Do-Hyun;Park, Soo-B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2
    • /
    • pp.179-189
    • /
    • 201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hange in the turbulent flow and the AOA(Angle Of Attack) occurred by $40^{\circ}$ crosswind to the direction of runway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nd to predict the take-off and landing flight stability. As a result, the maximum amplitude of AOA variation on runway reached $2^{\circ}$ within 3 second because of the wake formed by the constructions in the vicinity of the airport, and the overall effects appeared as an irregular aperiodic forms.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layout and shape of the buildings effected on the strength of turbulence directly, and the rapid flow generated between the buildings changed into stronger wake and eventually expected that the flow raises serious take-off and landing flight instability.

로켓 엔진 연소 성능에 관한 이론적.실험적 평가

  • Kim, Yong-Wook;Kim, Young-Han;Jung, Yong-Gap;Cho, Nam-Gyung;Park, Jung;Oh, Seung-Hy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8-8
    • /
    • 1999
  • 로켓 엔진 설계는 연소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모든 복잡한 현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변수들을 만족시키면서 설계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수치 해석의 발달로 내부 연소 과정에 대환 체계적 접근이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아직은 경험과 직관에 따라 각 변수의 중요성을 판단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최근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연소실 압력 200psi, 최대 추력 2.8$\times$$10^{5}$lbf의 액체 엔진 개발을 목표로 본 연구팀은 분사기용 소형 엔진(연소실 압력 200psi, 추력 350lbf) 실험을 시점으로 단계적으로 추력을 증가시키면서 단열재의 삭마 실험과 연소 불안정성을 위한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첫걸음으로서 135$^{\circ}C$로 FOOF형의 비동류형(unlike) 충돌 제트로 구성되는 3개의 인젝터가 배열된 분사기 시험용 엔진에 관한 실험을 수행 중에 있으나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엔진임에도 불구하고 실험적으로 내부 연소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현재로서는 여전히 용이하지 않다.다.

  • PDF

Physical and Deep Learning Hybrid Flood Forecasting Model for Ungauged Watersheds (미계측 유역을 위한 물리 및 딥러닝 기반 하이브리드 홍수 예측 모형)

  • Minyeob Jeong;Junho Cha;Chaeyeon Jin;Dae-H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4-94
    • /
    • 2023
  • 유역에서의 홍수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강우-유출 모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들은 신뢰성과 적용성이 높아 실무에서 널리 활용되어왔으나, 강우-유출 과정을 단순화하여 고려하므로 유출예측의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또한 모형의 매개변수에 여러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충분한 양의 관측자료를 사용한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들은 유출예측 결과가 비교적 물리적으로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계산 비용 및 수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실무에의 적용이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예측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은 물리적 모형인 동역학파 모형과 개념적 모형인 순간단위도 모형, 그리고 딥러닝 모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유역의 조도계수 및 지형을 활용한 동역학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동역학파 시뮬레이션 결과 및 멱함수로 나타내어지는 비선형적 강우-유출 관계를 이용하여 유역의 순간단위도를 유도였다. 또한, 딥러닝 모형인 LST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손실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강우손실을 계산한 후 유효강우주상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유역 출구에서의 홍수수문곡선은 유효강우주상도와 순간단위도를 활용한 회선적분을 통해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시험유역 및 자연유역에서의 홍수 예측에 적용해보았으며, 예측 결과는 NSE=0.55-0.90, R2=0.67-0.95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하는 순간단위도는 한 유역에서 유일하지 않으며, 유효 강우강도의 함수이므로 홍수 예측에 비선형적 강우-유출 관계를 고려할 수 있으며, 수많은 유효 강우강도에 대한 순간단위도들은 멱함수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유역의 강우 특성이나 지표면의 토양수분, 식생과 같은 특성을 딥러닝 모형을 통해 고려함으로써 강우 손실 산정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순간단위도 유도를 위한 기초작업인 동역학파 시뮬레이션은 유역의 지형과 조도계수만을 필요로 하므로 미계측 유역에의 적용이 유리하다.

  • PDF

Comparison of Numerical Solutions by TVD Schemes in Simulations of Irregular Waves Propagating over a Submerged Shoal Using FUNWAVE-TVD Numerical Model (FUNWAVE-TVD 수치모형을 이용한 수중천퇴를 통과하는 불규칙파의 수치모의에서 TVD 기법들에 의한 수치해 비교)

  • Choi, Young-Kwang;Seo, Seung-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4
    • /
    • pp.143-152
    • /
    • 2018
  • Numerical convergence and stability of TVD schemes have been applied in the FUNWAVE-TVD model were compared. The fourth order accurate MUSCL-TVD scheme using minmod limiter suggested by Yamamoto and Daiguji (1993), the fourth order accurate MUSCL-TVD scheme using van-Leer limiter suggested by Erduran et al. (2005) and the second order accurate MUSCL-TVD scheme using van-Leer limiter in Zhou et al. (2001) were compared. Comparisons of the numerical scheme were conducted with experimental data of Vincent and Briggs irregular wave experiments. In comparison with the fourth order accurate scheme using van-Leer limiter, the fourth order accurate scheme using minmod limiter is less dissipative but required lower CFL condition for stable numerical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scheme using van-Leer limiter required smaller resolution spatial grid due to numerical dissipation, but relatively higher CFL condition can be used compared to the scheme using minmod limiter. In the breaking wave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using high resolution spatial grid to reduce numerical dissip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emes can be clearly observed. Numerical instabilities and blow-up of the numerical solutions were found in the irregular wave breaking simulation with the scheme using minmod limiter. However, the simulation can be completed with the scheme using van-Leer limiter, but required low CFL condition.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data were also observed in the results using van-Leer limi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