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출성장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Export Growth Factors of the SM Ventures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성장 요인분석 연구)

  • Park, Woo-Sik;Kim, Dae-H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97-217
    • /
    • 2006
  • Korea economy's latent growth rate has already been decreased about 4%. During 1983-1989, the latent growth rate was 8%, befor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1990-1997 was 6.7%, and during $2000{\sim}2004$, it had been decreased 4.4%. The latent growth rate means economy growth rate which one nation can achieve capital, labor, and factors as applying these. Our economy growth rate was 8% in 1980s, but it had been decreased about 6.7% during $1990{\sim}1997$, after 2000, it remarkably decreased 4.8% which shows weakness of our economy's strength.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about export growth factor of venture company in our nation's growth that depends on export. This thesis studied the companies continuance and growth in external environment's regular correlation and casual relationship which surround company's factors and internal. Also,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surrounds company, can be thought that company can't control itself, so that the company's continuance and growth can be decided because of its internal primary factors. This thesis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udy model that how factors can affect to company's growth.

  • PDF

The Analysis of Export-led Growth in the U.S. Economy: An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Exports by 50 States (미국 경제의 수출견인성장에 대한 분석: 50개 주(州)의 농산물 수출을 중심으로)

  • Kang, Hyuns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1
    • /
    • pp.107-133
    • /
    • 2011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gricultural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the U.S. economy by 50 states. Using the annual data from 1973 to 2007, the theoretical methodologies based on the export-led growth (ELG) model under the static model,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RF) and forecast error variation decomposition (FEVD) under the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results show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exports and economic growth at the states' level. Especially, the ELG hypothesis is strongly supported in the case of 16 states (HI, ID, KS, MD, MI, MN, NJ, NC, ND, OK, OR, RI, SD, TX, WA, and WI) and is also weakly supported in the case of 31 states. Therefore, the agricultural exports are important factor of developing in the U.S. economy, and furthermore some states (located in coastal area and breadbasket) indicate the strong evidence for agricultural exports-led growth.

새해기상도: 경제성장률 4% 대로 둔화, IT제조업이 전체 성장 주도 -2011년 경제 및 산업 전망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31
    • /
    • pp.14-17
    • /
    • 2011
  •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2011년 경제 산업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1년 경제성장은 전년도 6%대 성장보다 다소 둔화되어 연간 4.3% 정도의 성장이 전망된다. 수출은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환율 하락 및 주요업종의 경쟁격화 등으로 10% 내외로 성장률이 둔화될 전망이고, 수입 역시 전년도 비해 크게 둔화될 것이나 내수 경기 회복,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14% 내외의 증가가 예상된다. 2011년 산업분야에서 내수와 수출 둔화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생산이 둔화될 전망이 가운데 상대적으로 수출 호조인 IT 산업군이 제조업 생산을 견인할 전망이다. 10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8.7%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 PDF

Export Growth Strategy through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s Cosmetics Export Competitiveness (한국과 중국 향장품의 수출경쟁력 비교를 통한 수출성장 전략)

  • Park, Ji-Hye;Park, Chul-Ho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4 no.2
    • /
    • pp.317-346
    • /
    • 2012
  • Korea's export economy across all industries are affected by the rise of China. The field of cosmetics can not be an exception. Expansion of the export of Chinese cosmetic goods can bring a greater concern to the export of Korea. Therefore, comparing the competitiveness of cosmetics in China and Korea will propose Implications for export growth strategy. To this end, comparing Korea cosmetic product's competitiveness with Chin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and the status of import and export countri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In the case of Korea, items that have a competitive over China were No. 330499 and No. 330510. The following items in proportion were No. 330430 and No. 330590. By strengthening its position of these four items as major export items of Korea Cosmetics, export growth strategy in China and other markets around the world is needed.

  • PDF

세계경제의 침체국면속 한국의 경제성장률 3.2% 전망 - 2009년 경제 및 산업 전망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19
    • /
    • pp.20-23
    • /
    • 2009
  •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2009년 경제 산업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09년 경제성장은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낮은 3.2% 내외의 성장이 전망된다. 수출은 세계경기 부진, 원자재가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세 둔화로 작년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전망이며 수입은 수출보다 더 큰 폭으로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무역수지는 균형 내지 소폭 흑자가 예상된다. 2009년 산업분야에서 제조업 생산은 작년보다 크게 둔화될 전망이며 특히 IT 제조업은 내수부진이 심화되면서 증가세가 전년보다 둔화되겠지만 환율상승에 따라 원화 기준 수출 증강 힘입어 여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10대 주력업종의 수출은 4.4% 증가에 머물고 수입은 전년대비 0.4% 감소할 예정이다.

  • PDF

한국(韓國)의 경제성장(經濟成長) : Kaldor법칙(法則)에서 성장양식분석(成長樣式分析)까지

  • Mun, U-Si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2
    • /
    • pp.161-179
    • /
    • 1993
  • 본고는 생산성(生産性)과 성장률(成長率)간의 누적적(累積的) 성장과정(成長過程)이라 불리는 Kaldor의 축약(縮約)모델을 구조(構造)모델로 확대하여 우리나라의 성장과정을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저임금(低賃金)을 통한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경제성장을 추구해 왔으나 87년 이후로 고임금화(高賃金化) 및 수출역할(輸出役割)의 감소(減少)라는 구조적(構造的) 위기(危機)를 겪고 있다. 과거 선진제국에서 고도성장을 가능케 하였던 "포디즘"적 성장체제는 이러한 위기(危機)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 왜냐하면 오늘날과 같이 국가간 상호의존성(相互依存性)이 크게 증대되고 국가간(國家間) 경쟁(競爭)이 심화되는 상황(globalization)하에서는 국내시장(國內市場)과 해외시장(海外市場)간의 구분 자체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輸出)과 내수(內需)가 독립적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어떠한 성장양식으로 이행하든 그 방향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강화(競爭力强化)와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고성장(高成長)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이 소비증대(小費增大)가 아니라 수출증대(輸出增大)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the 8 Manufacturing Industries: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1975-2010 (한국 8개 제조산업의 수출과 경제성장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 Zhu, Yan Hua;Park, Sehoon;Kang, Joo Ho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4
    • /
    • pp.61-72
    • /
    • 2013
  •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growth an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growth theory field. Many of empirical studies have been done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ort-led growth hypothesis using either time-series or cross-sectional data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applies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 to tes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 growth and economic growth in the Korean 8 manufacturing industries using the industrial time-series quarterly data over 1975-2010. The export-output relationship is tested by including industrial capital stock and the industrial labor force as exogenous variables. The cointegration and error-correction modelling technique with industrial export and output data have showed the strong evidence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causality between industrial export and industrial output in 6 manufacturing industries except wood & pulp and nonmetallic industries.

새해기상도 - 2017년 거시경제 전망

  • Min, Seong-Hwan;Gang, Du-Yong
    • The Optical Journal
    • /
    • s.167
    • /
    • pp.19-23
    • /
    • 2017
  • 최근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내수는 설비투자가 부진한 반면 건설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체 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출은 전년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 중이나, 금년들어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출 부진에 따른 성장 둔화를 건설투자가 보전하는 구조로, 경제성장의 건설투자 의존이 심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 세계경제는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권의 경우 비교적 꾸준하고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나,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이다. 유가는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OPEC의 감산 합의 등으로 2017년 중 평균 배럴당 50달러 내외로 높아질 전망이며, 원/달러 환율은 연중 비교적 높은 변동성을 보이겠지만, 연평균 기준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1,150원대)이 예상된다. 2017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겠지만, 2016년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건설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구조조정 등이 민간소비 증가를 제약하면서 전년보다 약간 낮은 2.5% 내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비로는 상${\cdot}$하반기 비슷한 성장이 예상되지만,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소폭의 上低下高 흐름이 예상된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신정부의 정책 기조와 연준의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둔화 폭 확대 가능성 등이,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제와 구조조정 여파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유가 반등에 따른 소득 증가세 둔화, 가계부채 부담, 구조조정 여파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년보다 소폭 낮은 연간 2% 내외의 증가세가 예상된다.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의 완화에 힘입어 소폭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전년의 높은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건설규제 등에 따라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수출은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유가 반등에 따른 단가 하락세 진정 등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나, 매우 완만한 흐름이 예상된다. 2017년 수출은 2.1%, 수입은 3.6%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857억 달러의 흑자를 보일 전망이다.

  • PD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1952~2004)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1952-2004))

  • Choi, Sung-il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2 no.3
    • /
    • pp.449-465
    • /
    • 2008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provincial data over the period from 1952 to 2004. To reflect the regional and chronic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vides China into three regions; Easter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nd also the whole period into two sub-periods; before and after 1979 when the Open-door policy(ODP) was initiated and applies Granger causality analysis. The Granger causality tests showed that exports Granger cause economic growth in the Eastern region, but not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s a whole. When the period is divided, in the Eastern region,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found before the Open-door policy. For the second period, however it turns out that exports cause the region's economic growth. This result is consent with the fact that the region has been a main beneficiary of the policy. For the Central region, the tests showed no causality in the pre-ODP period, but significant bidirectional causality in the post-ODP period. Meanwhile, in the Western region, exports turned out causing economic growth significantly before the ODP, while economic growth appeared to causing trade after the ODP.

한(韓)·일경제(日經濟)의 산업성장(産業成長)과 생산구조변화(生産構造變化)의 要因分析(요인분석)

  • Lee, Jin-Myeon;Fujikawa, Shuj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2
    • /
    • pp.213-268
    • /
    • 1997
  • 일국(一國)의 경제발전(經濟發展)은 경제적 진보와 근대화를 수반하는 역사적 현상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산업구조(産業構造)의 변화(變化)에 의한 생산(生産)과 소득(所得)의 증가(增加)라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경제발전과정에 수반되는 경제성장과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양국경제의 발전현상을 이해하고, 향후의 경제정책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비례적(比例的) 성장(成長)으로부터의 편차(偏差)(DPG)" 방법을 일본의 경우는 1915~90년, 한국은 1960~90년까지의 장기적인 산업연관자료에 적용하여 양국의 산업성장과 산업생산구조변화에 대한 요인을 수요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양국경제의 산업생산구조 및 주도산업의 변화는 시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분석기간중 양국 모두에서 농림수산업은 계속해서 생산비중이 줄어들고 있고, 경제성장을 주도한 산업이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 그리고 중화학공업에서도 중공업으로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는 1970년대에는 생산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그리고 1980년대에는 소비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되어 서비스산업이 주도산업으로 부상되고 있으나, 한국경제에서는 1990년까지도 서비스산업의 확대가 관측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경제의 산업생산구조에 있어서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커질 것이며, 특히 "경제의 서비스화"가 생산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양국의 성장패턴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는 시기별로 성장요인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로 수출보다는 국내수요(國內需要)가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경제의 성장의 성장에는 수출과 투자의 역할이 중요했으며, 특히 수출은 분석기간중 지속적으로 정(正)의 효과(效果)만을 보여 경제성장의 견인차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까지 한국경제의 성장에 있어서는 수입대체보다는 수출확대를 통한 중화학공업의 육성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수출주도적인 중화학공업의 성장패턴은 현재 국내수요(國內需要)의 규모(規模)와 산업구조변화를 일본의 경우에 비추어볼 때, 향후 몇 년 동안은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