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환경개선

Search Result 83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Pollutant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Modelling of Seokmun Reservoir Watershed (석문호 유역 오염물질 배출특성 분석 및 수질모델링에 기초한 수질개선방안 연구)

  • Choi, Moojin;Jung, Woohyeuk;Choi, Jaehun;Kim, You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10
    • /
    • pp.581-590
    • /
    • 2017
  •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Seokmun reservoir, this study implemented various analyses including the tributary water quality and flowrate monitoring, contamination of sediment, investigation of pollution source, selection of priority management target tributary by stream grouping method. The COD concentration of the majority of tributaries in Seokmun reservoir watershed was relatively higher than BOD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water pollutants regardles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Yeokcheon, Dangjincheon, Sigokcheon, Baekseokcheon, small stream in Jinkwanri and Janghangri were higher than the other tributaries. The pollution sources in the Seokmun reservoir watershed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population, livestock, and industry. The pollutants, which located in Yeokcheon, Dangjincheon, Baekseokcheon, and small stream in Janghangri selected as priority management target tributary, should be preferentially reduced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Seokmun reservoir. As the evaluation results of water quality in Seokmun reservoir for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various scenarios using water quality model, it was found that the water quality in Seokmun reservoir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for management of pollutants in the watershed would be satisfied the class V of water environment standard in reservoir.

Trend Analysis of Distribution on Stream Qualities in Gumho River

  • Kim, Jong-Tae;Lee, Byeung-Jae;Kim, Jin-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8 no.3
    • /
    • pp.713-719
    • /
    • 2007
  • 금호강수계를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대상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수질경향을 LOWESS 경향분석법을 적용하여 장기수질경향을 분석하였다. 금호강을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하여 각각 3개 지점의 수질측정망에 대해서 대표수질항목인 BOD, TN, TP, EC에 대하여 수질환경 오염의 장기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호강의 위치에 따른 수질오염의 연도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질 개선의 지방자치나 중앙의 수질 정책과 행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Wastewater Reuse: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Paddy (하수재이용에 따른 논에서의 수질 특성 분석)

  • Ko, Jae-Young;Jang, Tae-Il;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58-962
    • /
    • 2006
  •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관개함에 있어서, 관개 유입수 및 논 담수에서의 수질은 작물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하수재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사용함에 있어서 수질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환경부에서 $\ulcorner$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lrcorner$을 마련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에 제시된 수질기준과 본 시험에 사용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하수재 처리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의 적합성을 판단하였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논에서의 수질 정화효율을 알아보았다. 본 시험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하수처리장 인근에 시험포장을 설치하였으며,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하수재처리수(여과, 소독, 저류)를 이용하여 논벼 작물 생육시험을 실시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과 하수재처리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년간 실시된 논 유입수 및 담수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논에서의 수질 정화 효율은 TN의 경우 $40{\sim}65%$, TP의 경우 $15{\sim}60%$로 나타났다. 이는 배출수를 통한 하천이나 호소로의 유입에 있어서 환경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농작업시 인체에 미치는 보건위생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표미생물의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하수 재이용에 따른 농업용수 활용에 있어 인체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for Piped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Wonju (원주시 가구의 상수도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 Yoo, Seung-Hoon;Shin, Chul-Oh;Yang, Chang-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5 no.3
    • /
    • pp.79-103
    • /
    • 2006
  •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WTP) for piped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Wonju, where the local government are planning to implement a piped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gram. We apply a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to obtain at least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WTP. The CV survey was rigorously designed to comply with the guidelines for best-practiced CV studies.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250 households in Wonju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much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the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1,583 to 2,776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month. This willingness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education level, and income. The aggregate value of the program in Wonju amounts to approximately 1.99 billion won to 3.49 billion won per year. The household values can be the benefits that ensue from the program and compared with the costs of the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program is economically desirable.

  • PDF

Study of Cost-effectiveness analyses of polluted-river sediments dredging (하천 오니토 준설에 대한 편익산정 방법 연구)

  • Kwon, Yoon Jeong;Lee, Yealin;Lee, Kangwoo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0-460
    • /
    • 2021
  • 각종 오염물질이 수계로 유입되어 침강하면 하상에 퇴적되는데 이 오염된 퇴적물 중 질퍽한 콜로이드상의 물질을 오니토라 일컫는다. 이 오염물은 저장소 및 물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질 악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인, 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수중으로 재용출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종류 중 하나이다. 하천 준설은 하천에서 저수용량 확보와 하상 유지관리 및 골재확보, 수질 개선을 위해 토사를 제거하고 그 토사를 운반선에 의하여 운반하여 지정된 투기장에 투기하는 일련의 공사를 말하며, 이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인 오니토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준설의 필요성 판단 및 수질개선 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수질과 유량을 조사해야 한다. 이때 대상구간이 요구하는 수질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오염퇴적물 준설 기준을 통해 준설이 필요한 구간 및 사업량을 결정한다. 준설 사업량의 경제적 타당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대상 구간을 준설을 하지 않을 시 오니토가 상시 용출된다는 가정하에 물재생시설로 이 오염물을 정화했을 때의 비용을 준설 사업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사 표준시방서(2007)에 제시된 오염퇴적물 준설 기준을 만족하는 서낙동강수계의 준설 계획 지구에 대한 계획 사업비와 해당 지구 하류에 위치한 물재생시설의 정화능력 및 운영비를 비교해 하천 준설 사업비에 대한 편익을 산정하였다.

  • PDF

갯버들과 부레옥잠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Jeong, Ok-Yeong;Lee, Du-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3-206
    • /
    • 2007
  • 부유녹조와 갯버들 및 부레옥잠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5월 초에서 6월 말까지 실험실 수조의 수질변화를 고찰하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부영양화가 진행되는 물에 수변식물인 갯버들과 수생부엽식물인 부레옥잠은 상호 혹은 단독으로 작용하여 DO, pH, SS, 탁도, 입자수 농도, Chl a 농도를 어느 시점에서 큰 폭으로 감소시켰고 갯버들과 부레옥잠의 상호작용시 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부유녹조 단독으로는 DO와 pH 등을 서서히 감소시켰다. 이 결과로부터 갯버들 및 부레옥잠은 부유녹조와 경쟁관계가 되어 수질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Porosity of Fill Materials in Mattress/Filter System (Mattress/Filter 채움재의 공극률에 따른 하천수질 개선효과)

  • Ko, Jin Seok;Lee, Sung Yun;Heo, Chang Hwan;Jee, Hong K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B
    • /
    • pp.51-60
    • /
    • 2006
  •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mattress/filter system using porous material like slag from industrial activity and zeolite that has been studi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and pollution abatement is very useful in polluted stagnant stream channel. Slag is consisted of CaO, $SiO_2$, $Al_2O_3$ and $Fe_2O_3$. Slag with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porosity has been used such as sludge settling and adsorptive materials. Because slag is porous, it can be used for purification filter. As slag is used as filled materials of mattress/filter system and the system has good advantages for the waste water treatment, water recycling, an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t the same time and so on. Because zeolite has much advantage of cation exchange, adsorption, catalyst and dehydration characteristics, It is us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of livestock farms, treatment of artificial sewage and waste water, improvement of drinking water quality, radioactive waste disposal and radioactive material pollution control. In this study, according to verifying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fill materials by porosity that 38.6%, 45.8% and 49.8% respectively in the stagnant stream channel, water quality monitoring of inflow and outflow was conducted on pH, DO, BOD, COD, SS, T-N and T-P. Mattress/filter system was able to accelerate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biofilter as waste water flows through gap of mattress/filter fill materials and by contact catalysis, absorption, catabolism by biofilm. Mattress/filter system used slag and zeolite forms biofilm easily and accelerates adsorption of organic matter. As a result, mattress/filter system increases water self-purification and accelerates water quality improvement available for stream water clean-up.

A study on water cyc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watershed and river water quality model (유역 및 하천수질 통합모형 구축을 통한 물순환에 관한 연구)

  • Park Byeong-Woo;Seo Yong-Jae;Hur Young-Teck;Kwon S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2-462
    • /
    • 2023
  • 최근 낙동강 하구는 35년만에 기수 생태 복원을 본격화하는 다양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하구에 접해 있는 낙동강 1지류인 서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물순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하구에 다양한 물관리기관이 혼재하여 유기적인 물관리가 미흡하고, 이해관계자(농민, 어민, 시민단체, 지자체 등)간에 이견도 다양하다. 서낙동강의 "수량-수질-생태" 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물관리기관의 물정보 통합관리가 필요하며, 시스템과 수치모형을 구성하여 예측 분석후 수질 및 수질특성을 실측기반을 통해 검보정으로 모형의 정확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유역내 수리적 흐름과 수질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낙동강유역 소유역(33개)로 강우-유출 HSPF 모형으로 유량과 오염부하량을 소유역 15개의 하천에 수리·수질 EFDC 모형 입력자료로 반영되어 계산된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본류 대저수문 15km 지점(서낙동강 유입부)에 수문개방을 통해 서낙동강 농업용수와 수질개선 유량공급시에 ADCP를 활용하여 대저수문을 포함하여 4개소에 유속과 측정 유량을 산정하여 모형 검보정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복잡한 하천구성(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조만강, 지류하천 등) 및 수리구조물 운영과 수리-수질(염분 포함) 분석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기 구축된 낙동강 하구 통합물관리시스템 수문데이터와 연동되어 향후 서낙동강 물순환 연구에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 PDF

중.소 유역계획 수립을 통한 통합수자원 관리

  • 최지용
    • Water for future
    • /
    • v.37 no.3
    • /
    • pp.21-28
    • /
    • 2004
  • 최근까지만 해도 수자원 계획은 수질관리계획과 수량관리계획을 따로 수립하여 왔다. 이러한 계획은 주로 건교부에서 수립하는 전국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환경부를 중심으로 수립하는 4대강 수질관리 계획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분리된 계획으로 물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정부에서는 총리실 산하에 수질개선기획단을 두고 수질과 수량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물관리종합대책('96-2011)을 수립하여 추진하여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물관리종합대책의 수립과 추진은 기존의 수량과 수질이 분리된 단편적 획일적 계획에서 종합적, 포괄적 계획으로 수질과 수량의 통합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책전환의 토대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질 분야에서는 4대강 유역관리계획이 수립되어 총량관리, 수변구역, 비점오염원관리 등 선진적인 유역관리 정책이 수립되어 집행되고 있다.(중략)

  • PDF

Contribu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ilities Effluents to Stream Flow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 분석)

  • Park, Yoonkyu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3-293
    • /
    • 2016
  •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수자원확보 및 수질개선 등을 목적으로 4대강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낙동강 수계에는 총 8개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가 건설됨에 따라 하천의 하상형태, 체류시간 등 다양한 하천수리 특성이 변화하였다. 환경기초시설 방류수는 보 건설이전에도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그 중요성으로 인해 하천유량에 대한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 이전의 하천 유량 및 수질 특성에 대한 연구는 보 건설로 인해 변화된 낙동강 수계의 하천 수리 및 수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 건설로 인해 변화된 하천수리 특성이 반영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하천수리 특성이 변화된 낙동강 수계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는 주요 환경기초시설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로 구분하여 기여도 분석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되는 모형은 SWAT이며, 금회에는 낙동강 수계의 금호강 유역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우선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낙동강 전체유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 하천유량과 수질에 대한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 기여도가 정량화된다면, 낙동강 수계에 적합한 수질관리정책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