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환경개선

Search Result 83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valuation of Status o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Korea :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우리나라 지하수수질측정망 현황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고찰)

  • Park, Joung-Ku;Kim, Rak-Hyeon;Lee, Jin-Yong;Choi, Dong-Hyuk;Kim, Tae-D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6
    • /
    • pp.92-99
    • /
    • 2007
  • As of 2007, there are 2,499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total in Korea. Among them,478 are operated by the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for the National Groundwater Network Program, 781 wells by the M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monitoring of the area where imminent contamination is expected, and 1240 wells by the local governments for monitoring of other areas. Even though,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ose wells are being provided to the public since 1999, the information for the wells has not been appropriately informed.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wells that are being used for the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from the points of operation, location, and well configuration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Analysis System Implementation based IoT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DIPLDRM Lake (내부건식기법 호소(湖沼)의 수질개선을 위한 IoT 기반 분석 시스템 구현)

  • Kim, ui-jin;Lee, h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40
    • /
    • 2016
  • 건식내부굴착매립 간척공법(Research of Dry internal Project Site Digging Reclamation Method, DIPLDRM)은 새만금 내부개발용지확보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식매립기법 중 새로운 공법이다. 이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건식 공법 자체 호소 내의 매립토 활용으로 환경문제가 해결되고 생태계 파괴감소와 부대비용을 절감, 운반비용 절감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고립된 호소가 오염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IoT 기반 시스템을 도입하여 수질 오염을 최대한으로 줄일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내부건식기법과 그 단점인 수질오염을 줄일 수질개선과 수질오염측정을 위한 IoT 기상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nalysis of Downstream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Agricultural Reservoir Release Using QUAL2K (QUAL2K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방류에 따른 하류하천 수질개선효과 분석)

  • Kim, Dong Hyeon;Kim, Sang Mi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5
    • /
    • pp.205-2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by providing the environmental flows from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QUAL2K model. The Bonghyun reservoir, located in Hai-myun, which is in the city of Gosung in the Gyeongnam province, was selected for study area. The stream monitoring was conducted 24 times from 2011 to 2013 and the water quality was monitored in 6 stations including reservoir. Reservoir operation was simulated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flow supply amount from March to October with the constraint that environmental flow supply was restrained when the storage of reservoir was below the one-third of effective storage. The QUAL2K model was selected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Simulated water quality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for BOD, SS, TN, and TP. R2 were ranged 0.8508~0.9913, RMSE were 0.005~0.52 mg/L, and NSE were 0.949~0.998 for water quality items, respectively. The QUAL2K model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by providing the environmental flows(3,000 ton/day) were 9.2% for BOD, 21.0% for SS, -9.0% for TN, -2.4% for TP, respectively.

A Study on the Impact and Contribution of Youngju Dam Operating Plans on the Water Quality of NaeseongCheon and the Nakdong River (영주댐 운영 특성별 내성천 및 낙동강 수질 영향 및 기여도 분석 연구)

  • Ji-Won Kim;Dongil Se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3 no.5
    • /
    • pp.214-227
    • /
    • 2024
  • Domestic multipurpose dams are operated to secure reservoir capacity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supplying domestic water and maintaining environmental flow in downstream rivers during low-flow periods. This operational approach affects the water quality of downstream riv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monthly planned discharge from Youngju Dam on the downstream tributaries, NaeseongCheon and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achieve this,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CE-QUAL-W2 model to simulate travel times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Time Lagged Cross Correlation (TLCC) method was adap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t Youngju Dam and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downstream NaeseongCheon and Nakdong River, taking into account the travel time of the dam discharge.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water quality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from Youngju Dam and the NaeseongCheon monitoring point (Point 5),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0.382 to 0.777.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water quality between Youngju Dam and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ranged from -0.528 to 0.317, indicating either a very weak or nega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of Youngju Dam and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in objective of constructing Youngju Dam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may not have substantial practical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dam's operational plans with a focus on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NaeseongCheon, which is directly affected by the dam, and to conduct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A Study on Experimen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Concrete Block Using Illite and TiO2 Powder (일라이트와 이산화티탄을 활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수질환경개선을 위한 실험연구)

  • Her, Jae-Won;Kang, Kyung-Soo;Kim, You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1
    • /
    • pp.115-122
    • /
    • 2018
  • In order to conduct the "A Study on Experimen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Concrete Block Using illite and $TiO_2$ Powder",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mortar experiment, water quality purification characteristic test, pollution-resistance test, fish poison test, and the related KS-equivalent tests after manufacturing the actual concrete block,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educed. As a result of the concrete block functional evaluation equivalent to KS, all the conditions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Even though increase of absorption rate, according to illite replacement in vesicular structure, was expected as a problem, it was replaced after mixing with Titanium dioxide, and then Titanium dioxide was settled in large pores of illite so there was no problem in absorption rate.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Based on Watershed Unit in Bocheong Seream (보청천에 대한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

  • Shin, Geun-Su;Kim, Hung-Soo;Kim, G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61-965
    • /
    • 2007
  • 현재 오염총량관리제를 시 군 단위의 기초자치 단체별로 시행하고 있는데 실제로 오염물질의 전달은 행정구역단위가 아닌 유역내에서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 단체별이 아닌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과 삭감량을 산정함으로써 유역 단위의 오염총량관리제 계획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인 WMS(Watershed Management System)와 ArcView를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인자들을 추출하고, 각 소하천의 토지이용도와 생활계, 축산계, 양식계, 토지계를 바탕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소하천별 발생부하량 산정 결과를 토대로 각 수질관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배출부하량의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수질 데이터는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 하였으며, 수리 및 수질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달부하량은 BOD는 2013.16kg/일, TN은 1091.34kg/일, TP은 235.16kg/일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장래에 수질이 악화될 경우를 고려하여 수질 항목별 오염량이 2배, 3배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오염량이 2배 증가하였을 경우,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청천3 지점에서 BOD는 184.68kg/일이 삭감되어야 하고, 오염량이 3배 증가하였을 경우 BOD는 1775.69kg/일이 삭감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경우, 오염원을 줄이는데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오염총량관리제를 위해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을 고려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