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정화기능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Experimental Basic Study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 due to Spit in Small Estuary (하구에 형성된 소규모 모래톱의 수질정화 기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 Park, Sang-Kil;Kim, Byung-Dal;Jeong, Seong-Il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3 s.76
    • /
    • pp.8-15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sand spit in the estuary of the stream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ater that flaws into the sea, by means of hydraulic experiment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improvements of water quality when river flow is stagnant, the estuary flows into the sea through the small sand spit, and a two-dimensional physical model experiment was carried out.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length of sand spit and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oretical results, based on the solution of the equation. Also, there are functions of influx prevention of salt wedge and purification of pollution water due to sand spit in small estuary.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Purify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 (I) (전나무림, 잣나무림 유역(流域)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이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火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I))

  • Jeong, Yongho;Park, Jae Hyeon;Kim, Kyong Ha;Lee, B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8 no.3
    • /
    • pp.364-373
    • /
    • 1999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practices(thinning and pruning)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to ge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facility of purifying water quality after forestry practices. Rainfall, throughfall, stemflow, soil and stream water were sampled at the study sites which consist of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or 6 months from March 1 to August 7, 1998. Average tree height of the management site increased by 1.8m and 0.6m more than that of the non-management site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spectively. Increment of average D.B.H. at the management site showed 4.7cm and 1.4cm more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compared with that at non-management sites. Coarse(less than pF2.7) and total porosities of A layer soil at the management site increased more than those at the non-management sites in both stands. Otherwise, soil bulk density resulted in being reversely. Water qualities of throughfall, stemflow and soil water were buffered more by the management practice in both.

  • PDF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Cleans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I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전나무림(林), 잣나무림(林) 유역(流域)에서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에 미치는 산림시업(山林施業) 영향(影響)(III) -임외우(林外雨), 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중심(中心)으로-)

  • Jeong, Yongho;Park, Jae Hyeon;Youn, Ho Joong;Kim, Kyong 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9 no.2
    • /
    • pp.223-231
    • /
    • 2000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practices(thinning and pruning) on water quality to ge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facility of cleansing water quality after forest operation.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were sampled at the study sites which consist of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or 6 months from May 4, to November 1, 1999. Average tree height in the management sites increased by 0.5m more than that in the non-management sites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spectively. Increment of average D.B.H. at the management sites grew 3.5cm and 2.6cm more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compared with that at non-management sites. Average pH of the total amount for the event in throughfall and stemflow was higher than that of throughfall and stemflow of the beginning of the event at the management and non-management sites.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roughfall and stemflow at the beginning of the ev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otal amount for the event at management and non-management sites. Water qualitie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were buffered more by the management practice in both. The forest management may affect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of throughfall and stemflow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 PDF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of Watershed Basin (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oint at Issue and Counterplans­- (수변구역 산림의 수질정화기능 증진 (II) -­문제점과 대책을 중심으로­-)

  • Park, Jae-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3
    • /
    • pp.58-65
    • /
    • 2002
  • This study synthesizes previous research accomplishments with analysis of problems and counterplan for the riparian forest zone management and ongoing research strategy is suggested. If a part of budgets for water use allotments is supported for forest watershed owner, this policy for the forest owner could encourage the forest management of watershed. Integrated riparian forest management guideline in city and county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guidelines. Base on the guideline, working plans of city and county could be evaluated. Public Forest Tending Work for stream water quality and quantity conservation should be enlarged for forest watershed and forest area management in five big river watersheds. Forest watershed should be managed with a connected system for a pollutant reduction strategy in urban and industrial areas.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Porosity of Fill Materials in Mattress/Filter System (Mattress/Filter 채움재의 공극률에 따른 하천수질 개선효과)

  • Ko, Jin Seok;Lee, Sung Yun;Heo, Chang Hwan;Jee, Hong K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B
    • /
    • pp.51-60
    • /
    • 2006
  •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mattress/filter system using porous material like slag from industrial activity and zeolite that has been studi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and pollution abatement is very useful in polluted stagnant stream channel. Slag is consisted of CaO, $SiO_2$, $Al_2O_3$ and $Fe_2O_3$. Slag with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porosity has been used such as sludge settling and adsorptive materials. Because slag is porous, it can be used for purification filter. As slag is used as filled materials of mattress/filter system and the system has good advantages for the waste water treatment, water recycling, an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t the same time and so on. Because zeolite has much advantage of cation exchange, adsorption, catalyst and dehydration characteristics, It is us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of livestock farms, treatment of artificial sewage and waste water, improvement of drinking water quality, radioactive waste disposal and radioactive material pollution control. In this study, according to verifying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fill materials by porosity that 38.6%, 45.8% and 49.8% respectively in the stagnant stream channel, water quality monitoring of inflow and outflow was conducted on pH, DO, BOD, COD, SS, T-N and T-P. Mattress/filter system was able to accelerate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biofilter as waste water flows through gap of mattress/filter fill materials and by contact catalysis, absorption, catabolism by biofilm. Mattress/filter system used slag and zeolite forms biofilm easily and accelerates adsorption of organic matter. As a result, mattress/filter system increases water self-purification and accelerates water quality improvement available for stream water clean-up.

A Guideline(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 Chung, Sang-Joon;Woo, Hyo-Seup;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8-1042
    • /
    • 2007
  • 수변완충지대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하도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토양, 동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이루는 자연공간이다. 수변완충지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생태통로 및 서식처, 강턱의 안정, 토양침식 방지, 경관 개선 등이며 하천의 일부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점오염 저감과 하천 생태서식처 조성분야에서의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수변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생태 치수 측면에서 효율적 조성 및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이 분야에서 기술적 정책적으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정부에서는 농무부(USDA)를 비롯하여 환경처(EPA), 내무부(USDI), 공병단(US ARMY)의 관련 산하기관, 각 주정부의 담당부서에서 수변완충지대의 보전과 조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라인에서는 수변완충지대가 필요로 하는 기능별 최소 폭, 식생 종별 구성, 식생배열 등을 제시하며 그 기준은 조성 목적이나 기능, 대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기능별 최소 폭은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m{\sim}61m$이상, 생태서식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0m{\sim}1,000m$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식생 종은 수변완충지대 폭을 상 중 하단부로 나누어 초본, 관목, 교목류로 식재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입부에서 초본을 통한 부유고형물 등을 여과하고, 목본류의 뿌리와 토양을 통해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을 저감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 PDF

National Plan and Vision on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n the 21th Century (21세기 농촌정비사업의 계획과 전망)

  • 김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4
    • /
    • 2000
  • 21세기는 생명, 환경, 정보를 주제로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0세기 절대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장제일주의의 경제개발정책은 짧은 시간에 성공적으로 달성되어 높은 문화수준과 산업사회를 이룰 수 있었다. 한편, 국민생활향상과 산업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해왔던 수자원개발은 동강에서, 시화호에서, 지리산, 인천 앞바다에서 개발 부작용으로 생태와 환경이 심한 몸살을 앓기 시작하고 있다. WTO에 의한 시장개방으로 생산구조가 붕괴되고 농촌지역이 공동화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누군가는 농촌에서 농사를 짓고 살아야만 국가의 산업구조가 유지되고 아름다운 국토의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농촌은 식량생산을 위한 공간과 인간생활을 위한 공간 등 두 가지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쾌적한 농촌을 이룩하려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농업소득을 높이고, 농공단지의 활성화와 농촌관광과 휴양시설에 의한 농외소득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농업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은 물론 홍수 및 토양침식 억제, 수자원함양, 수질정화, 대기정화, 생물 다양성 등 환경보전적 기능이 WTO에 대응하여 쌀시장을 지킬 수 있는 논리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George Brokeway (경제인의 종말, 1991)의 “ 이윤극대화라는 경제원칙이 인간의 자연파괴와 기상이변 앞에 모순을 드러내고 있어 경제학의 인간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지적에 비교우위론자들은 다시 한번 귀기울여주기 바란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Mountain Wetland Using Water Balance Method (물수지 방법을 이용한 산지습지의 유출특성 분석)

  • Oh, Seunghyun;Kim, Jungwook;Lim, Jong Hun;Chae, Myung-Byung;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0-320
    • /
    • 2018
  • 습지는 해안선 정화, 홍수조절, 수질정화 이외에도 문화적 여가활동 및 관광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습지의 기능 및 다양성을 보전을 위해서는 습지에 유량이 유지되어야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과 불규칙한 강우 패턴으로 인해 습지의 유량이 유지되지 못하고 육화되고 있다. 습지의 육화 및 건조화의 지연 및 방지를 위해서는 습지의 유량변동을 파악이 중요하며 국내외적으로는 물수지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지습지의 경우 규모가 작고 고립되어 있어 물수지방법을 통한 유량변동 분석 연구가 하천습지나 연안습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추세이다. 산지습지는 퇴적물 축척으로 형성된 환경변화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또한 산지습지와 같은 특수 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의 서식지 역할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산지습지인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물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출특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기상자료로는 주변 기상관측소와 장군습지 내 설치한 강수계, 온 습도계, 수위계를 활용하여 장군습지 내 유입량과 유출량을 분석하였으며 본 결과를 통해 향후 장군습지 보전을 위한 유지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ffectiveness Analysis of Flood Control by Wetland Constructions (습지조성을 통한 홍수조절 효과 분석)

  • Kim, Jung-Wook;Jung, Jae-Won;Choi, Young-Jo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23-225
    • /
    • 2016
  • 최근 기후변화 및 도시화의 영향으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자연재난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습지는 유속과 수위를 낮추는 홍수조절 효과가 있으며 가뭄시에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여, 인공습지의 조성은 심각해지는 홍수 및 가뭄에 해결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인공습지에 관한 연구는 식생과 수질정화기능과 종 다양성 등 생태적 기능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왔으며, 인공습지의 홍수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에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리모형인 HEC-RAS를 통하여 가상의 인공습지를 모형화 하여 인공습지 조성 전 후에 대한 홍수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홍수범람을 모의하여 대상유역의 침수심 및 침수면적을 산정하고 이를 다차원홍수피해액산정법을 통하여 인공습지 조성 전 후에 대한 홍수피해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 조성 사업 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며, 인공습지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Function and Weight Selection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 for the Eco-friendly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in Agricultural Landscape (시설원예단지의 친환경적 조성을 위한 생태계서비스 기능 및 가중치 산정)

  • SON, Jinkwan;KONG, Minjae;SHIN, Yukung;YUN, Sungwook;KANG, Donghyeon;Park, Minjung;LEE, Siyo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533-541
    • /
    • 2017
  • Agricultural landscape has many ecosystem service func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has no consider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refore, we analyzed the priorities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s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s a result of the first survey, 17 functions were selected to be improved. In the second survey, 12 functions were selected excluding 5 functions. Finally, 1. Measures for water purification, 2. Groundwater recharge plan, 3. Surface water storage space, 4. Flood control measures, 5. Vegetation diversity space, 6. Carbon emission reduction plan, 7. Aquatic insect habitat space, 8. Amphibian reptiles 9. Landscape and Waste Management, 10. Bird Species Space, 11. Heat Island Mitigation Plan, 12. Experience / Ecological Education Plan. We proposed the structure, capacity, flow rate, arrangement and form of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to improve water quality by improving the function. We proposed a reservoir space of 7-10% for groundwater recharge. The development of reservoir and storage facilitie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is suggested for the surface water storage and flood control measures. And proposed to secure a green space for the climate cycle. Proposed habitat and nutrient discharge management for biodiversity. We propose green area development and wetland development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put into the facilities for experient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horticultural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