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관리 대안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uidelines and Optimum Treatment for Agriculture Reuse of Reclaimed Water (농업적 용수재이용 수질기준을 고려한 적정 하수재처리에 관한 연구)

  • Jung, Kwang-Wook;Jeon, Ji-Hong;Ham, Jong-Hwa;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3 s.104
    • /
    • pp.356-368
    • /
    • 2003
  • Water quality of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was review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agricultural reuse using USEPA and WHO guidelines. It might meet the guidelines for BOD and SS, however, the most critical microbiological concentration was too high and further treatment is required. The pilot study of three treatments were performed to reduce microbiological concentrations. The UV irradiation was proved to be very effective in disinfection of secondary level effluent, and about 30 mW ${\cdot}$ s/$cm^2$ of dose was suggested to meet the even most stringent USEPA guidelines. Slow sand filter demonstrated effective removal of bacteria, and effluent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 (TC), fecal coliform (FC), and E. coli. dropped from about 10,000/100 mL to 300, 200, and 150 MPN/100 mL, respectively, showing over 95% removal. These level of bacterial concentration sufficiently meet the WHO guidelines ($10^3\;{\sim}\;10^5$ FC/100 mL), and could meet the more stringent USEPA guidelines (200 FC/100 mL) if properly applied. Slow sand filter also provided about 50% removal of SS, turbidity, and BOD in addition to bacterial removal. The removal efficiency of pond system was relatively poor, but still showed over 85% removal and effluent concentration of TC, FC, and E. coli was all below 10,000/100 mL. The pond system alone could meet the WHO guidelines, but hardly meet the USEPA guidelines and further treatment might be necessary. Overall, three methods evaluated in the study treat the effluent to meet the WHO microbiological guidelines for agricultural reuse. The UV disinfection and slow sand filter might also could the USEPA guidelines, while the pond system can hardly meet the USEPA guidelines if applied alone. The WHO and USEPA guidelines were made based on data from upland field agricultural system and may 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the paddy field agricultural system. Therefore, national standards for agricultural reuse of reclaimed water should be made considering domestic agricultural systems as well as international guidelines. Also, further investig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optimum and feasible treatment measures for agricultural reuse of effluent from WWTPs.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동진강 정읍천 유역 오염부하량 평가)

  • Lee, Kyeong-Bo;Kim, Jong-Cheon;Park, Ji-Hye;Lee, Deog-Bae;Kim, Jong-G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3 no.1
    • /
    • pp.41-46
    • /
    • 2004
  •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on the water quality in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was evaluated from Jan. 2002 to Dec. 2003 for two years. The range of pH in water was $6.87{\sim}7.53$. The EC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83 to $95\;{\mu}s/cm$ with the highest value in autumn. The BOD level in upstream rang ed from 0.61 to 1.27 mg/L, which would be I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at in downstream was III grade. The average T-N level in midstream ranged from 6.10 to 10.84 mg/L which was the highest values throughout the stretch of the river. The average T-P levels ranged from. 0.41 to 0.98 mg/L Jeongeupcheon was suitable for the agricultural usage based upon one year analysis of river water quality. The effluent loads of BOD was high in midstream (J4) with 553 kg/day. The major sources of T-N loads were livestock, population, land use, and industry in order. The effluent loads of T-N was high in J4 by population and industry while that of T-N was high in J5 and J6 by livestock and land use. The delivered loads of T-N was high in downstream The delivered loads of T-P was low as compared with those of BOD and T-N. The delivery ratio of T-N ranged from 6 to 38%.

An Analysis of Suitable site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IS in Kyoung-An Stream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지 분석 -경안천을 대상으로-)

  • Koh, Chang-Hwan;Jin, Do;Ha, Sung-Ry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2
    • /
    • pp.115-128
    • /
    • 2008
  • Various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estimated the main factors to pollute the stream. Now days, numerous studies are carried out for managing non-point sources which have un-effect on water quality of streams by land-use and livestock. In case of Korea, a matter of concern that the management of Pal dang reservoir - the main water resources of the national capital region - has been occurring. Especially, large-scale constructed-wetlands are planned and constructed at the end of Kyoung-an stream. Additionally a lo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re newly installed and extended in this watershed. According to these efforts, water quality of Kyoung-an stream is predicted that would be improved. But the more detail and scientific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because, exist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are not involved to analyze root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and improvement pla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lect suitable areas for constructed-wetlands and to calculate size of the constructed-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Kyoung-an stream through the geographical pollutant distribution analysis and land-use pattern analysis b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suitable area analysis of constructed-wetlands b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1) to select maximum pollutant loaded area by geographical analysis based on water quality data, (2) to analyze land-use pattern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3) to select suitable areas of constructed-wetlands, (4) to calculate area and volume of chosen constructed-wetlands using GIS. Basically, sizes of constructed-wetlands are induced through the constructed-wetlands design index based on treatment ratio(provided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areas are selected to construct constructed-wetlands. One of the area was $127,586m^2$ near by Yong-in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other area was $1,647m^2$ near by Ju-buk stream and Dae-dae stream.

  • PDF

Status of Constructed Wetlands in Nepal: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Concerns (네팔에서의 인공습지 적용: 최근 개발 및 향후 고려사항)

  • Gurung, Sher Bahadur;Geronimo, Franz Kevin F.;Lee, Soyoung;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1
    • /
    • pp.45-51
    • /
    • 2017
  • Nepal is a landlocked mountainous country in South Asia, located between China to the north and India to the south, east, and west. As such, wastewater management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in urban area of Nepal. In Nepal, the 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were dysfunctional due to high cost of operation, discontinuous power supply, lack of proper maintenance and proper technical workforce to address the issues. As such, constructed wetlands (CW) were applied to treat various secondary wastewater as alternative to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Generall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CW technology depends on proper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active community involvement. This study summarizes information about 26 CW in Nepal. Specifically, factors including data banking, removal efficiency, quality of discharged water, compliance to water quality standard of Nepal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removal efficiency per pollutant, Ka-1 achieved the greatest reduction for most pollutant followed by B-1, L-3, Ka-5 and K-1. Nepal has practiced CW technology for more than 2 decades but currently, development of technology was interrupted by the inefficient performance of existing facilities. Public awareness about the technology, natural disaster, unavailability of specified substrate materials, lack of fund for further research and experiments has hindered the expansion of technology. In spite of these concerns, CW was still proven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present wastewater problems in urban areas of Nepal.

The Comparison of Water Budget and Nutrient Loading from Paddy Field According to the Irrigation Methods (관개방법에 따른 논에서의 수문 및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Jeon, Ji-Hong;Choi, Jin-Kyu;Yoon, Kwang-Sik;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1 s.110
    • /
    • pp.118-127
    • /
    • 2005
  • The comparison of water balance and nutrient loading from paddy field with different irrigation management were carried out during 1999 ${\sim}$ 2002 at two different sites; one is irrigated with groundwater and the other is irrigated with surface water. For the surface water irrigated paddy field, irrigation was performed continuously during growing season. Whereas, initial irrigation with groundwater was applied during initial growing season, and the ponded water depth was maintained by natural precipitation since initial irrigation. The runoff frequency of groundwater irrigated paddy field was less than that of surface water irrigated paddy field. The nutrient concentration of ponded water was high by fertilization at early cultural periods, so reducing surface drainage during fertilization period can reduce nutrient loading from paddy fields. Amount of irrigation water to surface water irrigated paddy field was higher than to groundwater irrigated paddy field and evapotranspiration was similar because it is influenced by climate. Overall input in and output from paddy field irrigated with goundwater were less than that with surface water. This study indicate that efficient water management can reduce surface drainage outflow, save water, and protect water quality. It might be important BMPs for paddy field.

Introduction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esign of Low Impact Development Based on SWMM5.1: WMAM (SWMM5.1을 기반으로 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WMAM)

  • Song, Jae Yeol;Chung, Eun-Sung;Kim, Soo-Hyu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1-321
    • /
    • 2016
  • 도시화와 토지이용 변화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 가뭄, 수질악화 등의 해결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은 물 순환 체계를 복원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도시지역에서 물 관리를 통해 하천 복원 및 수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써, EPA SWMM의 업그레이드 버전에서는 저영향개발 기술과 관련된 시설의 설계를 통한 유출 모의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SWMM 모형 내에서 저영향개발 시설을 설계 및 계획하기 위해서는 저영향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입력해야하며, 효과적인 시설의 설계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모의 수행이 동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MM 모형을 기반으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WMAM(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을 개발하였다. WMAM은 저영향개발 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매개변수 중에서 최종 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 및 계획 매개변수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짧은 시간에 동시에 모의 분석을 수행하여 수문학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나리오를 도출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WMAM의 효과성을 보여주고자 A대학교를 모델링한 SWMM 모형에 저영향개발 시설 중 하나인 침투트렌치의 (1)계획 전과 (2)계획 후, 그리고 (3)WMAM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첨두유량과 침투손실 결과를 비교하였다. 침투트렌치 설치 전의 첨두유량은 약 0.48 CMS로 세가지 경우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침투트렌치 설지 후와 WMAM을 활용한 경우의 첨두유량은 점차 낮아졌다. 또한, 침투손실량을 보면 설치전에는 약 0.28 m로 가장 낮았으며, 설치 후 그리고 WMAM을 활용하였을 경우는 점차 그 값이 높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WMAM이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 및 계획에 있어서 수문학적으로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보완과 추가 개발을 통해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rmination of Suitable Antecedent Rainfall Days for Curve Number Estimation (CN값 산정을 위한 적정 선행강우일수의 결정)

  • Lee Myoung Woo;Choi Seoung An;Kim Hung Soo;Shim Myu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53-557
    • /
    • 2005
  • 유역의 강우-유출 분석에서 유효우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우량의 산정에서 대상호우에 대한 유출량 자료가 있는 경우는 침투지수법(infiltration index method)중 하나인 $\Phi$-지표법이나 W-지표법을 사용하여 그 양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상호우에 대한 유출량 자료가 없는 경우는 침투지수법을 이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 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 유역의 토양 특성과 식생피복 상태에 대한 자료만으로 총우량으로부터 유효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의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NRCS유효우량 산정 방법은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을 이 용하여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를 결정하는데, 이때 AMC의 산정을 위해 선행5일강우량(total 5-day antecedent rainfall)을 그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미국의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이므로 이를 국내 유역에 검증 없이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C-HMS모형을 이용하여 선행강우일수을 변화시켜 가면서 실제 유역의 강우-유출에 적용하여 본 뒤 강우-유출을 가장 잘 모의하는 선행강우일수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IHP 대상유역인 보청천의 탄부소유역에 대하여 AMC의 산정을 위한 선행강우량을 1일부터 7일까지 변화시키며 적용한 결과 탄부소유역에서는 선행2일강우량이 가장 적합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역에서 NRCS유효유량 산정방법을 통한 강우-유출모의시 보다 정확한 값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 PDF

Analysis of the Met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Basin (유역 호우의 기상특성 분석)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Hwan;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99-604
    • /
    • 2005
  • 최근 일부 댐유역에서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과 같은 특이 호우에 대하여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안전한 치수 및 방재업무를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일부 댐유역의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원인으로 강우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으며, 만일, 강우관측소에서 계측된 강우자료의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면, 이로 인한 유역 강우의 추정오차는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는 관측소의 고도, 지형적인 장애(산악영향, 지장물 등) 및 기상학적인 장애(기단의 이동방향, 호우의 발생원인, 돌풍 등)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의 다른 여러 외부적 요인들 중 가장 큰 요인으로 돌풍과 같은 풍속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연구대상 유역인 임하댐 유역의 유출율과 치대 풍속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유출율은 최대 풍속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호우에서 강우관측소의 강우는 강우시 돌풍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적게 관측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평가된 강우자료로부터 산정된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로 인해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출율과 풍속간의 관계로부터 강우보정계수 추정식을 산정하였으며, 추정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관측된 강우자료를 보정한 후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유입수문곡선을 보정전에 비해 보다 근사하게 모의하였다.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

  • PDF

How to Change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Expert's Recognition Analysis (물 관리 행정체계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Kim, Cheol 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0
    • /
    • pp.266-277
    • /
    • 2013
  • Climate change asks the government to make changes in water management system. Although water demand is increasing according to urbanization, clean and safe water supply is limited. Therefore efficient water manage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is evaluated inefficient because it is executed by five different ministri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about Korean water management system, analysed present function sharing among 5 ministries, and conducted survey on improvement of water management system. Expert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water policy is the failure of policy coordination among Ministries, and the solution of it is to make a new integral organization or to integrate related functions into one Ministry. Based on them, this study conclud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functions related with water management need to be integrated on a new organization or Ministry of Environment focused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light of preservation instead of development.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of Daecheong Reservoir by a process-guided deep learning model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대청호 수온 예측)

  • Kim, Sung Jin;Park, Hyungseok;Lee, Gun Ho;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8-88
    • /
    • 2021
  • 최근 수자원과 수질관리 분야에 자료기반 머신러닝 모델과 딥러닝 모델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모델은 Blackbox 모델의 특성상 고전적인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법칙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에 내재된 패턴과 관계를 해석하기 때문에 물리적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의 예측 성능은 학습데이터의 양과 변수 선정에 크게 영향을 받는 모델이기 때문에 양질의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으면 모델의 bias와 variation이 클 수 있으며 정확도 높은 예측이 어렵다. 최근 이러한 자료기반 모델링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세스 기반 수치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결합하여 두 모델링 방법의 장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ad et al., 2019). Process-Guided Deep Learning (PGDL) 방법은 물리적 법칙을 반영하여 딥러닝 모델을 훈련시킴으로써 순수한 딥러닝 모델의 물리적 법칙 결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PGDL 모델은 딥러닝 모델에 물리적인 법칙을 해석할 수 있는 추가변수를 도입하며, 딥러닝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 과정에서 Cost 함수에 물리적 법칙을 위반하는 경우 Penalty를 추가하는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모델을 훈련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청호의 수심별 수온을 예측하기 위해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PGDL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역학적 모델은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수질 모델인 CE-QUAL-W2을 사용하였으며, 대청호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총 2년간 수온과 에너지 수지를 모의하였다. 기상(기온, 이슬점온도, 풍향, 풍속, 운량), 수문(저수위, 유입·유출 유량), 수온자료를 수집하여 CE-QUAL-W2 모델을 구축하고 보정하였으며, 모델은 저수위 변화, 수온의 수심별 시계열 변동 특성을 적절하게 재현하였다. 또한, 동일기간 대청호 수심별 수온 예측을 위한 순환 신경망 모델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개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수온계 체인을 통해 수집한 수심별 고빈도 수온 자료를 사용하고 독립 변수는 기온, 풍속, 상대습도, 강수량, 단파복사에너지, 장파복사에너지를 사용하였다. LSTM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는 지도학습을 통해 예측값과 실측값의 RMSE가 최소화 되로록 훈련하였다. PGDL 모델은 동일 기간 LSTM 모델과 동일 입력 자료를 사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역학적 모델에서 얻은 에너지 수지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Cost Function에 Penalty를 추가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훈련하고 수심별 수온 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