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개선공법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 공정의 비용분석을 이용한 수영만의 수질관리

  • Park, Hae-Sik;Park, Cheong-Gil;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2-53
    • /
    • 1997
  • 수역의 유기오염 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등의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공공수역에서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하천에는 남조류가 대량발생하고 해역에는 적조가 광역에서 발생하여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고,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한 자생 COD가 전체COD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규제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하수처리장에 고차처리를 적용하거나, 해양의 회석자용을 이용한 Ocean을 적용하여 연안해역 수질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영만을 대상으로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시절을 적절하게 조합하기 위해서 3차원 생태계모델을 적용하여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농도를 예측하여 환경기준을 만족시키고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폐수처리공법과 해중방류관의 위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영만의 1994년 COD는 II등급, DIN과 DIP는 III등급이었다. 현재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지 않고 방류할 경우 2001년에 는 하수처리량의 증가로 인해 COD의 경우 1994년 보다 조금 감소하지만 DIN 과 DIP는 1994년과 같은 III등급을 유지하였다. 고도처리공법을 도입할 경우 COD의 농도는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등급을 보이고, DIP의 농도도 수영만 전체에서 강등급을 보이지만, DM의 농도는 광안리해수욕장에서 II등급,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H등급을 보였다 하수처리장 유출수를 Ocean Outfall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4km에 서 방류할 경우의 COD농도는 I등급을 보이고, DE 농도도 광안리와 해운대해 수욕장에서는 I등급을 보이고, DU의 농도는 ll등급을 보여 수질이 개선된 것 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의 해역환경기준 ll등급을 만족 하는 하수처리방법은 Ocean Outfall이었다. 수영하수처리장에 인을 처리하기 위한 화학적 침전법의 경우 956억원이 소요되고,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질소제거공정을 추가 건설 할 경우는 2181억원이 전요된다. 그리고 두공정을 같이 건설할 경우에는 3137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수영하수처리장에서 4km 거리와 관경을 2m의 Ocean Outfall 건설비용은 325 억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고차처리시 증가되는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는 Ocean Outfall의 길이는 인 제거공정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18km을 건설할 수 있고, 질소제거공정을 첨가 하는 경우에는 46km를 건설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Dissolved Air Flotation Technique to Improve Reservoir Water Quality (가압부상 공법을 이용한 호소수질개선 연구)

  • Kim, Tae-Hoon;Sei, Young-Ho;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1-493
    • /
    • 2012
  • 우리나라는 농업용수, 생활용수 등의 목적으로 여러 개의 호소 등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몇몇 호소들은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로 인하여 매년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하여 남조류가 과다번식 할 경우 호소 수질 및 수생태계에 악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제한인자 중 인(P)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상분리의 일종인 DAF는 침전공정의 대안으로서 25년 전부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수 및 하수처리 공정에서 이용되어 왔다. 가압부상공법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50{\sim}100{\mu}m$ 정도로 부상물질인 스컴이 파괴될 가능성이 낮고 기포의 크기가 작아 공기의 용해효율이 높으며 대전작용, 물리적 흡착효과 등의 특징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기와 물 뿐만 아니라 Al 성분의 응집제인 PAC를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킬 경우 인의 제거 효율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가압부상공법의 경우 응집 침전 공정과는 달리 발생되는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외부로 유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소 수질정화에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형태와 유사한 반응조를 설계하여 DAF를 주입하는 실내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호소수질 정화를 위한 DAF의 타당성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PDF

Monitoring before and after Nature-Friendly River Construction in Bongwhang Stream (봉황천의 자연형 하천공법 시공전후 모니터링)

  • Park, Eui-Jung;Kim, Yoon-Hwan;Lee, Jong-Pil;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70-1075
    • /
    • 2007
  • 과거의 이수나 치수기능에 역점을 둔 하천개발이 국민의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공화 된 하천을 원래의 자연스러운 하천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모색되어 하천에 대한 복원계획을 세우고 자연형 하천공법을 개발, 적용하기 위하여 여러 기관에서 각각의 연구목적에 맞게 시험유역에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소하천은 지역적인 특성이 두드러지고 공간적 분포와 기후적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소하천 특성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자료구축을 위해 유출 및 하도형상등 수리 수문학적 변화특성과 하천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자연형 하천의 시공 후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검증과 설계 시에 세운 목표에 대해서 목표의 달성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하천정비후의 정확한 변화 상태를 검토하여 적용된 공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각 분야별 세부평가 기준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행정자치부 선정 소하천정비 시범지구로 지정된 봉황소하천에 대해 유역의 시공전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을 위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수리 수문 자료의 축적과 하천환경 개선과 향후 자연형 소하천정비 공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지역인 봉황천은 전라남도 강진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범구간 약 1km에 대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수질, 수리, 생태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시공전후로 비교하였다.

  • PDF

IoT Water Quality Management Interface for Lake environment of Dry Internal Project Land Digging Reclamation Method (건식 내부 굴착 매립 간척공법의 호소 환경을 위한 수질 관리 IoT 인터페이스)

  • Wang, tae-young;Lee, hong-l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3-74
    • /
    • 2016
  • 본 논문은 건식 내부 굴착 매립 간척공법(Dry Internal Project Land Digging Reclamation Method, DIPLDRM)[4] 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IoT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각종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활용하여 사람의 지속적인 관리 없이도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고 온 습도 센서로부터 데이터의 값을 실시간 그래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로 효율적인 친환경 수질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nalysis on Retrofit Method to Improve TP treatment efficiency in Air-vent SBR process installed MWTP and RCSTP during winter based on Modeling (모델링 기반의 선회와류식 SBR 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장 및 마을하수도 동절기 총인 개선방안 연구)

  • Lee, Hyunseop;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4
    • /
    • pp.251-256
    • /
    • 2019
  • In the upstream and nearby areas of the water source, there are many areas where the sewerage penetration rate is relatively low due to development restrictions. This has been continuously affecting the pollution of the water source. As a measure to prevent this, method of distributing sewage and improving existing facilitie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A MWTP(Municipal Watewater Treatment Plant) using the Air-vent SBR process located at upstream of An-dong and Im-ha Dam was selected as a modeling facility. And, the retrofit method to improve the effluent from RCSTP(Rural Community Sewage Tratment Plant) was induced based on A MWTP modeling result. The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operating data for 5 years (2012 ~ 2016).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during the winter could be improved through control of cycle time in Air-vent SBR process and decreasing SRT (BOD: 1.8%, COD: 54.5%, SS: 4.3%, T-N; 0.8% and T-P: 7.7%). This research suggests that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retrofit method to improve the effluent overall treatment efficiency of the MWTP and the RCSTP which have similar operation process.

Application of QUAL2K Model for Daejeon Tandongcheon, A Small Urban Stream and Evaluation of Terrace Land Constructed Wetland (도시 소하천, 대전 탄동천, 수질개선 대안 수립을 위한 QUAL2K 수질모델 구축과 제외지 인공습지공법 적용 효율 평가)

  • Yin, Zhenhao;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3
    • /
    • pp.192-199
    • /
    • 2013
  • The Tandong-cheon stream is a 7.4 km long small urban stream that passes through Daeduk Science Town in Daejeon Korea. Despite the stream has great potential as an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site due to its central location in the science town and science museums nearby, environmental aspect especially for water quality has not been evaluated properly. Through field survey, major pollution sources of the stream were identified and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were evaluated using a QUAL2K water quality model for the stream. The study indicated that controlling major pollution sources of the stream alone may not be sufficient for reaching the water quality target. Therefore, additional pollution control methods are necessary. We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nstructed wetland on the terrace land, and analyzed whether the water quality target can be met at the outlet of the strea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 good reference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small urban streams in Korea.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urified plats in artificial wetlands (인공습지 식생 및 정화식물 분포 특성 연구)

  • Park, Gu Seong;Jung, Woo Suk;Nam, Gui Sook;Kang, Eu Tae;Lee, Gyu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1-491
    • /
    • 2022
  • 최근 농업용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수질개선시설들이 조성되었으나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정화효과 검토와 시설물 운영에 대한 관리만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농업용수 수질개선사업은 자연친화적 공법인 인공습지가 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및 정화식물에 대한 조사 및 영향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인공습지 내 정화식물 이외의 우점 식물종(침입 식물종)에 대한 현황 및 관리방안 검토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6개 저수지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식물상 및 군락특성을 조사하여 인공습지 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인공습지 내 수질 정화식물 현황 분석 결과는 조사의 여건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3단계를 나누어 관리지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식생도에 반영하였다. 또한 인공습지 내 정화식물(갈대, 부들, 꽃창포 등) 이외의 우점 식물종(침입 식물종)을 분석하고 침입 식물종 특성 및 관리 방안을 분석하였다. 인공습지에 대한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 27과 59속 63종 7변종 1아종으로 총 71류군이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습지에서 우점종으로 갈대, 부들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습지의 경우 줄, 큰고랭이, 마름 등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7과 2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인공습지 내부보다는 주변의 나대지, 제방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귀화식물 중 환경부에서 지정한 생태계교란식물은 양미역취,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물참새피, 가시상추가 조사되었다. 귀화식물 종수가 10~12종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3.1~3.7%로 나타났으나 출현 종수가 적어 귀화율은 29.4~44.0%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경우 동물과 달리 계절에 따라 출현하는 종의 차이가 더욱 크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계절에 따른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e upstream area of dam by MASS FLOWmodelling (MASS FLOW 모델링을 통한 댐상류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방안)

  • Lee, Hyunseop;Lee, Jiwon;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2
    • /
    • pp.130-138
    • /
    • 2020
  • As of 2017, the sewerage penetration rate of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s more than 90%, and the number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s increased by 25% from 3,064 in 2010 to 4,072 in 2017. Among them,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ed by SBR system is 585, which is 17% higher than 2010.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ource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small sewage facilities, the improvement of the process was studied by applying the modelling to 49 facilitie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Andong Imha dam area with more than 500㎥/day 3 places and 46 places less than 500㎥/day. As an improvement plan for modelling, candidate data were derived by reviewing operation data for 5 years. 49 facilities are operated by 12 types of operating processes. Among them, 1 place mort than 500㎥/day with SBR method and 9 facilities with less than 500㎥/day were selected by dividing 46 sites into 3 types. As a result of applying modelling to more than 500㎥/day,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charged water through SRT control and it was found that applying model to sites of small scale treatment plants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by up to 14.4%. As a result, the data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mprove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RCSTP(Rural Community Sewage Tratment Plant).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tatus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mprovement Methods (하수종말처리시설 고도처리현황 및 개선방안)

  • Moon, Sun-Jung;Choi, Pill-Gyu;Choi, Ick-Hoon;Park,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74-1178
    • /
    • 2007
  • 본 연구는 다양한 공법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고도처리시설에 대한 처리효율 및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고도처리공법 선정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각 공법별 현장적용 및 운영상 문제점을 파악하여 하수처리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6개월 이상 운영 중인 하수종말처리시설 145개소를 대상으로 일반적 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현장조사는 고도처리시설 37개소의 현장조사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고도처리 공법은 $A_2O$계열, SBR계열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대규모처리장은 $A_2O$계열, 소규모처리장은 SBR계열이 주로 적용되었으며 대규모 하수처리시설일수록 유입수질의 농도 및 처리효율이 높고 톤당 시설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적었다. 현장조사 결과, 첫째, 하수처리시설의 유입문제로 시설용량대비 하수유입량이 초과되거나 50%미만인 시설이 10개소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하수관거의 조속한 정비 및 인구감소에 따른 대책수립,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계열 축소운전이 필요하였다. 둘째, 각 처리공법별로 몇몇 문제점이 있어 공법사의 문제점 보완, 운영기술전수 및 원활한 A/S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영관리자가 수시로 현상을 파악하고 주의하여 운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Floating Islan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 Reservoir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식물섬 조성에 관한 연구)

  • Lee, Kwang-Sik;Jang, Jeong-Ryeol;Kim, Young-Kyeong;Park, Byung-H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1
    • /
    • pp.77-82
    • /
    • 1999
  • Three floating islands have been constructe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a polluted irrigation reservoir. Each floating island consists of 10 segments. Each segment hay an area of $16m^2$(4×4m) and is made of wood frames and floats(polystyrene foam). We planted three species of aquatic macrophytes(Typha angustifolia, Zizania latifolia, and Phragmites australis) in floating island on June, 1998. They grew very well without death. We would like to evaluate Phragmites australis is the most suitable aquatic macrophyte that could be planted in a floating island because it maintained the best balance of its root and shoot among them. During their grown perio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Typha angustifolia was $962gDM/m^2$, Zizania latifolia was $1,115gDM/m^2$, and Phragmites australis was $523gDM/m^2$. From these data, it would be estimated to 5.0Kg uptake of nitrogen by aquatic macrophytes and phosphorus 0.8Kg in 3 floating islands. The floating islands worked well as a habitat of fish and prawns. Many kinds of insect lived on the floating islands. The floating island has not only the function of water quality treatment but also several advantages: improvement of landscape and species diversity; low cost of maintenance; low technology; unnecessary of energy; less susceptible to variations in pollutant loading. It could be evaluated a good measure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an irrigation reservoir. However, it should be intensively studied to develop more light, strong, durable and low-priced frames for efficient floating isla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