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중동물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지방산 분석에 의한 나토리 하천 대형 무척추동물인 Stenopsyche marmorata의 먹이원 평가 (The Estimation of Food Sources for Macroinvertebrates as Stenopsyche marmorata in Natory Stream by Fatty Acid)

  • 신우석;김부길;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0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댐 하류에 있어서 Stenopsyche marmorata의 먹이원과 더불어 필수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수중 POM의 기원은 규조류, 녹조류 같은 미세 조류 유래 유기물과 세균 유래 유기물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S. marmorata의 지방산 검출에 의하면 규조류, 녹조류 및 세균이 주 먹이원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S. marmorata의 ${\omega}3$ 필수 지방산은 ${\omega}6$보다 높게 검출되었으며, 전 조사 지점간에서 S. marmorata의 필수 지방산비는 약 7을 나타내고 있었다.

유속조건에 따른 수중 생태계내 소형어류의 동물플랑크톤 포식 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Water Velocity on Foraging Behavior of Planktivore on Zooplankton in Aquatic Ecosystems)

  • 박배경;박석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9-83
    • /
    • 2005
  • Foraging behaviour of false dace, Pseudorasbora parva, was investigated in water flowing at various velocities with the existence of a cavity for rest. The pursuit comprised three succeeding processes such as, approaching, chasing and attacking. Angles between the fish body and the water flow direction and swimming speeds increased in the latter stages of approaching, chasing and attacking. All pursuit angles, swimming speeds and distances increased with flow velocity and peaked at the flow velocity of 7 cm/sec. At higher velocities, however, the fish avoided the use of much energy against the large drag force. The probability of capture and the feeding rate steadi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low velocity. Under the fast flow, the fish adjusted their swimming speed to get the optimum velocity relative to the flowing water for the energetic budget. Fish spent more time in the cavity as flow velocity increased to avoid the energy expenditure necessitated by the high velocity.

미소 수중 생물체 이송용 단판 디스크 펌프의 성능 실험 (Experiments on Single-Disk Pumps for the Transportation of Micro-scale Water Life)

  • 장젠칭;장세명;정용훈;양재삼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8-25
    • /
    • 2011
  • A boundary-layer pump with a single disk has been experimented to obtain its characteristic curve by changing the impeller of a centrifugal pump to a single disk. The primary objective to use of these types of pumps is to avoid hurting water life during transportation unnecessarily. The change of impeller should degrade the performance of pump, so we used the method to increase the roughness on the disk with sandpaper and mesh. The enhancement of shear force from the rotation of disk to the internal flow brought an augmentation of momentum transpor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far improved from the original single-disk pump without de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water life in the case of Pseudobagrus fulvidraco (bullhead fish). However, in the case of Artemia cyst (zooplankton), the survival rate was very degraded due to the micro scale smaller than turbulent eddy siz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design of transportation and bio-filtering of water lying on a specific bandwidth of its scale of size.

무늬수중다리좀벌(Brachymeda lasus Walker)에 의해 기생된 꿀벌부채명나방(Gallena mellonella L.) 번데기의 혈림프 대사물질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the Haemolymph Metabolites, Protein, Carbohy-drate, and Free Amino Acid of Gallena mellonella L. Parasi-tized by the Pupal Parasitoid, Brachymeda lasus Walker)

  • 이해풍;고태용;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6-174
    • /
    • 1990
  • 꿀벌부채명나방이 무늬수종다리좀벌에 의해 기생 되었을때 이 기주의 혈림프에서 대사물질의 변화가 생겼다. 이 기새벌에 의해 기생된 기주와 기생되지않은 기주의 혈림프에서 총단백질과 총탄수화물의 농도를 비교하여보면,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그러나, 총유리아미노산은 기생된 후 첫날을 제외하고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중에서 glycine, proline, arginine, isoleucine, phenylalanie, leucine,valine, glutamk acid,histidine, serine, tyrosine은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threonine, aspartic acid, methionine, cysteine, alanine,lysine는 약간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여주의 amyloid beta 유도 알츠하이머질환 동물 모델에서 인지능력 개선 효과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in amyloid beta-induced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 신승미;김지현;조은주;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9-307
    • /
    • 2021
  •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으로 인한 신경독성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하여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AD)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활성분획물인 butanol (BuOH) 분획물의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T-미로 실험 및 물체인지실험을 통해서 여주 BuOH 분획물 100 및 200 mg/kg/day 농도 투여군은 AD를 유도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새로운 경로와 물체를 탐색하는 비율이 감소되어 공간인지 및 물체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중미로실험을 통해 학습·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여주 BuOH 분획물 투여군은 훈련을 반복할수록 숨겨진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감소함을 통해 학습·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여주 BuOH 분획물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 함량 및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여주 BuOH 분획물을 처리한 군은 Aβ25-35를 주입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및 NO 생성량이 감소되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주 BuOH 분획물이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을 통해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여주는 AD 예방 및 개선용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계우포습지의 육수학적 특성 및 부유수생식물의 영향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Free-floating Plants on the Woopo Wetland during the Summer)

  • 주기재;김구연;박성배;이찬우;최상호
    • 생태와환경
    • /
    • 제35권4호통권100호
    • /
    • pp.273-284
    • /
    • 2002
  • 본 연구는 하계동안 습지 수면을 덮고 있는 부유성 수생식물이 습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위하여 1998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우포습지의 이${\cdot}$화학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계에 부유수생식물 및 저토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우포습지의 수위는 홍수발생 시 낙동강의 범람으로 2-3m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대부분의 이 화학적 요인들 및 동${\cdot}$식물플랑크톤의 밀도는 여름동안의 홍수와 6월에서 10월까지 습지 수표면을 거의 덮고 있는 수생식물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Jun.-Sept., 4.5${\pm}$2.5 mg/1: Oct.-May,8.1${\pm}$4.0 mg/l)와 pH(Jun.-Sept.,6.9${\pm}$0.4; Oct.-May,7.4${\pm}$0.8)는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에 현저히 낮았다. 여름철에 번성하는 부유성 수생식물(개구리밥, 생이가래, 좀개구리밥)과 수중의 저토가 하계의 육수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표면에 enclosure(100 L, 6개)를 설치하고 부유식물, 천 그리고 노출 상태의 처리군을 부유식물의 유${\cdot}$무, 수중 저토의 유 ·무에 대해 실험한 결과, 부유식물이 있는 처리군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DO, pH가 낮게 나타났고, 노출된 대조구에서 상대적으로 식물플랑크톤(chi. a)의 생체량이 높았다. 또한 각 처리군에서 수중 저토가 있는 경우 영양염류농도가 높았고, 특히 부유식물이 있는 처리구에서 높은 영양염류의 농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는 부유식물에 의한 뚜렷한 영향은 보이지 않았지만, 초기에 rotifer가 우점하였고 이후 cladoceran과 copepods의 증가로 rotifer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조사기간 중 하계에 지속적으로 관찰된 DO와 pH가 감소하는 것은 수생부유식물의 번성과 수중 퇴적물의 분해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분비장애물질 Nonylphenol이 미세조류, 종속영양편모충, 동물플랑크톤의 개체군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ylphenol on the Population Growth of Algae,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and Zooplankton)

  • 이주한;이해옥;김백호;;황수옥;김대현;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379-386
    • /
    • 2007
  • 계면활성제의 주된 원료이며 Estrogenic hormone으로 알려진 nonylphenol이 수중생태계 먹이망의 하등생물군 성장에 미치는 독성영향을 파악하고자, 배양중인 조류(Microcytis aeruginosa), 편모충(Diphylleia rotans), 소형 (Brachionus calyciflorus) 및 대형동물플랑크톤(Daphnia magna)에 다양한 농도로 제작된 NP을 처리하고 각 개체군의 성장 및 동물플랑크톤 B. calyciflorus, D. magna의 발생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투여농도는 개체군에 따라 조류(0.01, 0.05, 0.10, 1.00mg $L^{-1}$), Diphylleia rotans (0.5, 1, 2.5, 5, 10 ${\mu}g\;L^{-1}$), Brachionus calyciflorus (0.1, 0.5, 1, 2.5, 5 ${\mu}g\;L^{-1}$), Daphnia magna (0.5, 1, 5, 10, 50 ${\mu}g\;L^{-1}$) 등으로 $4{\sim}5$단계 농도를 처리하였으며, 독성효과는 각 개체군의 현존량 변화로 산정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반복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예상했던 것처럼 모든 개체군은 NP농도가 증가할수록 강한 성장 억제를 보였다. 조류실험에서는 0.05 mg $L^{-1}$, D. rotans와 B. calyciflorus는 공히 10 ${\mu}g\;L^{-1}$, 대형동물플랑크톤 D. magna는 5.0 ${\mu}g\;L^{-1}$부터 각각 유의한 성장억제를 보였다. Nonylphenol에 대한 각 개체군의 $EC_{50}$은 B. calyciflorus (2.49 ${\mu}g\;L^{-1}$) < D. rotans (3.49 ${\mu}g\;L^{-1}$) < D. magna (7.61 ${\mu}g\;L^{-1}$) < M. aeruginosa (47 ${\mu}g\;L^{-1}$) 의 순으로 나타나 NP에 대해 조류세포가 가장 강한 내성을 보인 반면 B. calyciflorus가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플랑크톤의 발생에 있어서 B. calyciflorus는 NP농도$(0.1{\sim}1{\mu}g\;L^{-1})$, D. magna는 이보다 약간 높은 NP농도 $(0.5{\sim}5{\mu}g\;L^{-1})$에서 공히 내구란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류섭식자인 편모충이나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nonylphenol에 대하여 조류보다 내성이 극히 약하며 특히 발생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NP가 유입되는 수계에 있어서 섭식자 소멸로 인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의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오존처리에 의한 Bromate의 생성 및 흰쥐의 신장독성에 미치는 영향 (Bromate Formation by Ozonation Process and It′s Effect on Renal Toxicity in rat)

  • 정운용;이무강;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42-451
    • /
    • 2002
  • 브롬(Br-)이온을 포함하는 지표수 또는 해수를 상수원 또는 어류양식용 물로 사용할 경우 소독, 살균을 위하여 오존(O$_3$)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브름(Br-) 이온과 오존과의 반응에 의하여 독성물질인 Bromate(BrO$_3$-)가 산화 부산물로서 생성된다. 이 bromate의 생성반응에 대한 용액의 pH와 반응온도의 영향 및 bromate를 음용수중에 함유시키고 실험동물에 섭취시켰을 때의 생체독성에 미치는 기전을 관찰하였다. Bromate의 생성은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지만, 낮은온도(15$^{\circ}C$)에서는 용액의 초기 pH가 3 인 경우는 초기 pH가 7, 10 인 용액의 경우보다 훨씬 적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Bromate를 음료수중에 0, 0.1, 0.2, 0.4g/L로하여 4, 12, 16, 20, 24주 투여하고서 신조직중의 지질과산화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혈중 뇨소질소의 활성 및 뇨중 ${\gamma}$-glutamy-ltransfer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bromate의 투여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뇨중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Bromate의 투여로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은 bromate의 투여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glutathione의 농도 및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도 대조군 보다 현저히 억제되었다. Glutathione의 생성계에 미치는 ${\gamma}$-giutarnylcystein synthet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bromate의 투여로 억제되었으며 glutathione redurtase의 활성은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부영양호의 enclosure내에서 어류의 밀도조절이 수질 및 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ing and Removal of Silver Carp on Plankton Communities in a Shallowhypertrophic Lake)

  • 최민규;황수옥;;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58-365
    • /
    • 2000
  • 백련어의 도입 및 제거가 부영양호의 수중생물군집과 환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물조작을 위해 호수연안에 6개의 enclosure를 설치하고, 5월 22일부터 7월 23일까지(전기), 7월 23일부터 9월 18일까지(후기) 두 가지 밀도(고, 저)의 어류를 투입 및 제거하였다. RIA(${\alpha}$=0.05)의 결과는 어류도입 및 제거가 대부분의 생물군집 및 환경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enclosure의 환경요인에 대해 어류투입은 투명도,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큰분획엽록소(>40 ${\mu}$m) 등의 감소와 질소화합물, 소형분획엽록소(<2 ${\mu}$m)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어류제거는 정반대 현상을 보였다. 한편, 수중생물군집에 있어서, 어류투입은 picocyanobacteria이나 섬모충(<20 ${\mu}$m) 같은 소형 플랑크톤의 증가가 뚜렷하였고, 어류제거에 의해 다시 유의하게 회복하였다. 그러나 크고, 군체를 형성하거나 긴 사상체 남조나 규조등은 두 가지 어류조작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어류제거시만 Diaphanosoma, Cyclopoida, naupli 등 동물플랑크톤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실험기간 동안 강한 바람과 호수바닥으로부터 지속적인 인의 공급 등으로 인하여 결과해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어류도입 및 제거가 enclosure내 플랑크톤군집과 환경요인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미국 멕시코만 기름유출사고에서 본 유처리제 사용의 효용성 고찰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ersant Use during the "Deepwater Horizon" Incident -REVIEW of the Proceedings from 2011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 조현진;하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65
    • /
    • 2012
  • 바다에 기름오염 사고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방제 방법 중 물리적 회수 방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유처리제는 최후 수단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 유처리제는 수중으로 기름이 신속히 분산되도록 하여 해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다. 해수면으로부터 신속히 기름을 제거하는데 대한 유처리제의 효용성은 널리 증명되어 왔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환경에 미치는 독성을 우려하여 적극적인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유처리제와 혼합된 기름이 기름 그 자체보다 독성이 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멕시코만 기름유출 사고시 미국 정부와 BP사는 최대한 해안에 기름이 도달하지 않는데 중점을 두고 해수면뿐만 아니라 수중의 기름에 대해서도 유처리제를 사용하였다. 유처리제에 대한 순환경편익을 분석하면 유처리제를 사용함으로써 기름이 생태계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며 장기간 노출을 예방하고 야생동물에 심각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멕시코만 유류오염 사고와 같은 대규모 해양오염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우리 실정에서도 과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유처리제 사용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