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자원 편익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on of the value of dam flushing by using Bayesian analysis - the case of Chungju dam (베이지안 추정법을 활용한 댐 추가방류수의 경제적 가치 추정 - 충주댐 사례)

  • Lee, Joo-Suk;Choi, Han-Joo;Yoo, Seu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7
    • /
    • pp.467-473
    • /
    • 2017
  • Recently as algae phenomenon has been intensified, the need for additional dam flushing has been raised. To establish the more rational policies concerning the dam flush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dam flush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WTP) for dam flushing by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CV). Especially, unlike other CV studies which us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this study employed Bayesian approach. This study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1,000 households nation-widely,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the additional dam flushing.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1,909.4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year. The aggregate value amounts to approximately 35.7 billion won per year.

Estimation of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for Ground Water Pollution Improvement (지하수오염 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 Yoo, Seung-Hoon;Lee, Joo-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9
    • /
    • pp.835-842
    • /
    • 2010
  •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WTP) for ground water pollution improvement which can be used in cost-benefit analysis on the project for developing the soil pollution control technique. We applied a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to obtain at least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WTP. The CV survey was rigorously designed to comply with the guidelines for best-practiced CV studies.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500 household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the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1,195 to 1,552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year. The aggregate value of the project for developing the soil pollution control technique amounts to approximately 20.3 billion won per year. The household values can be the benefits that ensue from the project and compared with the costs of the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project is economically desirable.

Economic analysis of reclaimed water reuse: a case study of Yongin-si water reuse (하수 재이용수의 활용을 위한 경제성 분석: 용인시 소재 골프장 조경용수 공급)

  • Lim, Gabyul;Kang, Doo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4
    • /
    • pp.323-334
    • /
    • 2018
  • Recently, increased water demand and frequent droughts caused severe water shortages in South Korea. Thus, reusing the reclaimed water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water source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In South Korea, three types of water reuse are mainly applied, such as rainwater reuse, gray water reuse and wastewater reuse. In this study, the wastewater reuse was analyzed since the amount of treated wastewater is relatively constant over the year and typically the water quality is acceptable for reuse. In Yongin-si, there are 26 golf clubs, which is about 10% of entire facilities currently operating in South Korea. The golf courses consume significant amount of water for landscaping; thus, if the reclaimed water used,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would be tremendous.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benefits and costs when supplying the reclaimed wastewater for landscaping of golf courses as a case study in Yongin-si.

Measuring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Tap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Ulsan (울산시 수돗물 수질개선의 편익 추정)

  • Kwak, So-Yoon;Yoo, Seu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
    • /
    • pp.29-37
    • /
    • 2012
  •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e economic benefits of tap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a specific case study of Ulsan, one of the large cities in Korea. To this end, we apply the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by employing a one-and-one-half bounded spike dichotomous choice question format.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400 households in Ulsan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they would willing to pay for the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1,611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month. This willingness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income. The aggregate value of the program in Ulsan amounts to approximately 8 billion won per year.

Economic Analysis on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Riparian Facilities against Flood Damage (침수피해를 고려한 하천이용시설 유지관리의 경제성 분석)

  • Lee, Seung Yeon;Yoo, Hyung Ju;Lee, Sang E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8-198
    • /
    • 2021
  • 최근 자연적, 사회적, 정책적 관점에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국가하천 정비를 통한 하천시설 관리의 책임이 증대되고 있다. 국가하천 5대강 본류의 친수지구 이용도 변화를 살펴보면 2015년에 비해 2019년에 면적당 이용객 수가 630,813(명/km2)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국토교통부, 2020)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수 증가율이 높은 편인 한강 내 하천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을 기계학습 기반의 수위예측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하천이용시설은 하천이용자가 편리하게 하천을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로 공원시설(강서, 난지, 양화, 망원, 여의도, 이촌, 반포, 잠원, 뚝섬, 잠실, 광나루, 구리)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해당 시설의 침수피해를 고려하기 위해 시계열 자료에 특화된 LSTM(Long Short-term Memory)기법을 활용하여 수위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홍수 예보로 재난을 대비하고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유지관리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입력 자료(input data)는 수위 (EL.m), 팔당댐 방류량 (m3/s), 강화대교의 조위(EL.m)를 사용하였으며 수위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6시간 후 예측 수위값을 도출하여 기존 2단계(주의보, 경보)였던 홍수 예보 단계에서 4단계(관심, 보행자통제, 차량통제, 경계)로 구축하였다. 기존과 세분화된 홍수예보를 적용했을 경우의 유지관리 비용과 편익을 산정하여 하천이용시설의 경제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지관리 비용이 기존 대비 약 5% 이상 절감되었고 편익은 약 1.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관리등급은 평균 C등급(보통) 이상 달성하였다. 이는 수위예측 알고리즘의 적용으로 하천이용 활성화 및 투자의 효율성에 목적을 두었으며 향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제성모델을 개발하여 국가하천 내 관리그룹에 적용하면 효율적인 유지관리체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drinking water protect zone policy by social benefit analysis of upstream and downstream (상·하류 사회적 가치 추정을 통한 상수원보호구역 정책 고찰)

  • Ryu, Munhyun;Jeon, Dongjin;Kim, Sueyoung;Kwon, Kid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5
    • /
    • pp.357-362
    • /
    • 2023
  • The conflic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is a representative social conflict in Korea. It is important issues in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related to interests of property rights and water quality conservation. however, it is insufficient for studies on the economic damage and benefit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y policy. We studied validity for drinking water protect zone, one of the major water conflict in Korea, by comparison between social loss by property rights restriction in the upstream and social benefits in the downstream and we propos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y in basin level.

Strategic Approaches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수자원관리 추진방안)

  • Kim, Sung;Lee, Mi-Yeon;Jang, Su-Hwan;Lee, Sung-Hack;Ka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50-1654
    • /
    • 2007
  • 홍수와 가뭄의 증가, 수질악화, 물부족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논의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를 주장하고 있지만, 추상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정의, 원칙, 추진전략 등을 정리하여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갖는다. 첫째,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이고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係)'으로 수자원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으며, 통합수자원관리가 그러한 인식을 갖고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통합수자원관리의 정의, 원칙 등을 조사하였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경제적, 사회적 복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물, 토지 및 관련 자원의 조화로운 개발을 위한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원칙으로는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원칙, 물순환 체계 고려 및 유역관리원칙, 이해당사자 참여 및 조정의 원칙, 비용부담 및 편익 균형배분의 원칙 등이 있다. 셋째,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법제도 정비 및 부문별 통합관리강화, 수자원 관련 자료의 신뢰도 제고 및 의사결정 체계 구축, 관련계획과의 연계, 계획-실행-평가의 순환구축, 물관리 비용부담체계 구축 등이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행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개선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수자원관리의 문제해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범람범위의 1차적인 정보에서 수립할 수 있었던 계획이 가질 수 있었던 한계점을 좀 더 향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치수 방재 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group) 67개, 속(family) 161개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저차단위인 통(series)이 390개 분류되었다. 또한 작물이용측면에서 실용적 분류를 실시하였는데, 논토양의 경우 보통논, 미숙논, 사질논, 습논, 염해논, 특이산성논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이 31.9%, 23.0%, 31.9%, 9.1%, 3.9%, 0.2%이었다. 밭토양의 경우에도 보통밭, 사질밭, 미숙밭, 중점밭, 고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

  • PDF

Estimation of Reduction Rate in Coastal Sediment Discharge by Dam Construction (댐 건설로 인한 해안 유입 토사 감소율의 산정)

  • Lee, Sahong;Bae, Soen Han;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4-2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천부터 하구까지의 댐 구조물 건설로 인해 해안으로의 표사 공급원이 감소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내륙과 해양의 전이역인 연안은 농수산업, 임해산업단지, 발전소 및 항만과 같은 산업 인프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등의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여 높은 경제 사회 환경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무분별하게 추진되어온 각종 연안 개발은 직 간접적인 해안의 침식문제를 발생시켰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하천으로부터의 토사 유입 차단은 심각한 수준이다. 아직 그 영향이 해안으로 완전히 파급되지 못하여 그로 인한 장기 해안 침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으나 고파랑에 의한 빈번한 침식과 저질의 세립화 현상을 통하여 현재 진행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피해가 심각해지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측면도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 유역의 개발과 수리구조물 건설 현황을 살펴 이로 인한 해안 침식 결과가 얼마나 심각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구조물로 인한 토사량 감소 중 가장 주요한 토사 공급원 감소 원인인 댐으로 인한 토사량 감소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각 댐의 건설 전, 유역면적당 토사량과 댐 건설 후, 해안 유입 토사량 사이에 감소율을 계산하고, cascade 방법에 의하여 댐군에 의한 토사감소율을 산정한다. 유입 토사량 감소율을 산정하고 토사 공급원 감소로 인한 표사 수지 분석을 통해 해안 침식 폭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한다.

  • PDF

Economic Analysis of Dam Operation Improvement by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 I )-Recovered Benefits of Water Supply and Hydropower Generation (댐하류하천정비사업의 댐 운영개선 효과 경제성 분석 (I) -용수공급 및 발전생산 회복편익)

  • Lee, Gwang-Man;Lee, Eul-Rae;Yoo, Seu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9
    • /
    • pp.753-763
    • /
    • 2011
  • Allocated water storage of dam at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does not seem to be maintained well at the operation stage because of unexpected critical reasons. A dam is likely to be subject to negative effects caused by changes of dam operation conditions and it is hardly avoidable. Therefore, it must be timely improved to recover its original functions and looked for better alternatives to keep its original roles. Specifically the improper management of river condition degrades flood control capability in a dam and river eco-system. The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 is needed for normalizing dam functions and its valuations. This study focuses on estimating water use benefits from recovering its own effective storage buffer restricted for flood control. As the results, the water supply and the hydropower benefits in Imha, Daechung and Youngdam Dam are recovered totally by 19.9 million $m^3$/year and 20.8 GWh/year respectively. Also those results are used for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economic analysis in the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공업용수의 수종별 경제적 가치 추정)

  • Lee, Joo-Suk;Park, Sun-Young;Ryu, Mun-Hyun;Yoo, Seu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4
    • /
    • pp.373-381
    • /
    • 2012
  • The information on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is widely demanded in policy analysis area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are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obtain more accurat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using the economic theory.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1,017 manufacturing firms and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based on the concept of value of marginal product (VMP).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the VMP of three industrial water types, river water, precipitate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VMPs of river water, precipitated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estimated to be 769.24 won/$m^3$, 896.76 won/$m^3$ and 1,861.95 won/$m^3$, respectively. The value for the precipitated water found in this stud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885.1 won/$m^3$) used in the pre-feasibility test implemented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These imply that the latter is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economic benefit of supplying industrial water, though it is based on 2003 Industry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