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유 279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완전모유수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 김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9-287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tepartum-postpartum breast-feeding program titled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an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breast-feeding empowerment and the rate of exclusive breast-feeding.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The scores for breast-feeding empower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E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G) at week 1, 4, 8, 12. The rates for exclusive breast-fee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86.4% in the EG and 40.9% in the CG at week 1; 100% vs 42.9% at week 4; 86.4% vs 38.1% at week 8; 95.5% vs 38.1% at week 12; 94.7% vs 31.6% at 6 months; 89.5% vs 26.3% at 12 months. 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raising consciousness and strengthening mother's will and skills for exclusive breast-feeding helps them to achieve successful breast-feeding by themselves. In addition mothers need to be empowered to breastfeed starting before delivery and continuing after delivery. This approach could make long-term exclusive breast-feeding successful.

계획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3호통권335호
    • /
    • pp.115-122
    • /
    • 1997
  • PDF

의료요원의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신념 침 지식 정도의 비교분석 (Health Care Professinals' Attitudes, Knowledge and Confidence on Brestfeeding :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 김혜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87-299
    • /
    • 1995
  • A 15-minute questionnaire on breast-feeding was administered to the obstetric and pediatric residents and nurses in metropolitan academic training programs in Korea to assess their attitudes to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and their confidence in managing breast-feeding problems. The questionnaires were self-administered and confidential and the participants was 279. Overall, the study participants indicated a supportive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Nurses had a highest supportive attitude than obstetric and pediatric residents. Their self-confidence in this area was inappropriately high with 48% of total, 49% of obstetric, 42% of pediatric and 58% of nurses describing themselves as "confident" or "very confident" to manage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to compare their knowledge level answering only 46% of the questions correctly. However, nurses who did have continuing education about breast-feeding had significantly high in knowledge level. These health care professionals have extremely limited knowledge of breast-feeding management compared to their reported confidence. To be truly supportive of breast-feed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receive didactic and clinical training to breast-feeding management.

  • PDF

어머니의 모유수유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Explaining Mothers' Breastfeeding Satisfaction)

  • 김선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0-279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breastfeeding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self-efficacy of breastfeeding, intention of breastfeeding, and perceived social encouragement of breastfeeding and the factors influencing breastfeeding satisfaction in mothers 3~6 months after birth. Methods: For this descriptive research, 209 mothers who had been breastfeeding their babi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on mother's satisfactio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intention, and perceived social encouragement regarding breastfeeding were collected by closed-ended questionnaires on September 14, 2007 at a contest for healthy breast-fed babie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eastfeeding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planned length of breastfeeding (F=10.43, p<.001).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satisfaction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r=.37, p<.001),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r=.62, p<.001), self-efficacy of breastfeeding (r=.66, p<.001), intention of breast feeding (r=.40, p<.001), and perceived social encouragement of breastfeeding (r=.32, p<.001). Finally, the strongest factor affecting mothers' breastfeeding satisfaction was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beta=.38$). Other factors included self-efficacy of breastfeeding ($\beta=.36$),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beta=.14$), perceived social encouragement of breastfeeding ($\beta=.10$), and planned length of breastfeeding ($\beta=.1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es should help mothers improve breastfeeding satisfaction through promotion of knowledge about, attitudes toward, and self-efficacy of breastfeeding.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내 세균에 의한 장관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olonization by Enterobacteriace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김민지;정유진;홍유라;배일권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72-279
    • /
    • 2011
  • 목적: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한 신생아들의 병원내 감염 중 그람 음성 간균(Gram negative bacilli, GNB)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NICU에서 정기적인 대변의 감시 배양을 통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같은 균에 의한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하고, 집락화된 GNB 병원균의 종류를 확인하며 집락화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8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에게 총 3회의 대변 채집을 계획하였는데, 출생 후 첫 대변과 2주 간격으로 2회 채집을 계획하였다. 장관의 GNB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들은 대상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열람하거나 연관된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결과: 86명의 환아 중 22명(25.6%)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있었으나 이 환아들을 퇴원까지 추적하였을 때 GNB로 인한 패혈증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cter cloacae, Citrobacter freundii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GNB 중 약 89% (32/36)는 amikacin에 감수성이 있었다. GNB 에 의한 장관 집락화의 가능성은 집락화 당시 수유량이 적을 때 증가한 반면, 첫 수유 시기가 지연될 때 그 가능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저자들은 NICU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관 감시배양을 통해 장관에 집락화된 GNB를 확인하였으나 연구에 포함된 환아에서 GNB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집락화가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집락화시 적은 수유량(feeding volume at colonization day)이 집락화의 위험요인이었으므로 장관 영양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장관의 GNB 집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전.후 골밀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BMD Changes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 김수진;손순룡;최관우;이주아;민정환;김현수;마상철;이종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4호
    • /
    • pp.279-286
    • /
    • 2014
  • 유방암 환자의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적 치료 전 후의 골밀도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암 치료에 의한 골소실 문제의 심각성을 도출하여 고 위험군선별 및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년 3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유방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및 치료를 받은 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폐경에 이르렀거나 자궁적출술을 받아 폐경된 84명을 제외한 171명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흡수법에 의한 골밀도 영상(요추부위와 대퇴골부위)에서 치료 전 후 측정된 골밀도 수치를 분석하였다. 치료 전 후의 전체적인 골밀도 변화량과 치료유형별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며, 환자의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유무, 초경나이, 유방암 치료형태 등을 변수로 하여 세부적인 차이점 및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Program(Version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요추에서는 치료 후 평균 7.1% 감소하였고, 대퇴골에서는 평균 3.1%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화학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군의 대퇴골 부위에서 치료 및 수술 후 $0.067g/cm^2$의 상대적으로 큰 골밀도 수치의 감소량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그 외 결혼 유무, 자녀수, 수유 유무, 초경 나이 등에 따라서는 감소량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성은 없었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후 골밀도 수치 감소를 보임에 따라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큰 환자를 고 위험군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적극적인 예방 정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