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운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객체 지향 재사용 컴포넌트의 구축 (Object Oreinted Reusable Component Construction)

  • 최병욱;장기병;장현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545-547
    • /
    • 1999
  •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사용성이 높고 기술적 자산으로서의 가치는 일반적으로 Business Logic 또는 Control 논리를 적용하고 있는 부분에 있다. User Interface나 DB 등 다른 구성 부분은 개발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 산출물을 변형 적용하고 Control 및 논리 부분은 객체 컴포넌트화 하여 설계, 구현의 산출물을 재사용 저장소에 넣어, 유사 시스템이나 조직내 다른 응용 영역에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저장소에 넣어, 유사 시스템이나 조직내 다른 응용 영역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컴포넌트 자산들을 구축하는 과정을 정형화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수운용 시스템 개발에 시범 적용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컴포넌트 중심의 재사용 모델을 제시하고 성공적인 재사용 체제의 구축 배경을 설정한다.

  • PDF

충주 금천창 연구 (The Study of Keumcheonchang in ChungJu)

  • 조길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1호
    • /
    • pp.35-55
    • /
    • 2008
  • 이 글은 탄금대 서쪽에 위치하는 충주 창동유적 발굴조사 결과와 조선왕조실록의 금천창으로부터 시작한다. 벼루가 연결된 좁고 경사가 급한 지형에 자리잡은 주칸거리 420cm의 여러 동의 건물지 조사는 구전으로 전해온 금천창에 대한 일부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태종 11년(1411)에 낙동강과 한강을 잇는 충주 금천(金遷)에 새로이 200여 칸의 창고를 지어 금천창이라고 이름하고 충주인근의 전세 뿐만 아니라 경상도 전세도 함께 수납하여 경창으로 운송하게끔 하였다. 세조는 강력한 중앙집권을 위해 관선조운체계를 구축하였고, 이것은 조선 중기까지 이어진다. 조선은 적은 인구와 낮은 도시화율에 의해 하삼도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하삼도 토지에 부과된 세곡은 국가재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조운은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잇점에 의해 서구자본이 밀려오기 전까지 가장 효율적인 물류체계였다. 조선은 고려의 조운을 근간으로 하는 물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조선의 9조창은 왜구에 의해 파괴된 고려의 13조창을 개편한 결과이며, 특히 내륙 물길인 수운(水運)을 강화하여 왜구의 노략질 및 해난사고 등의 망실을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이 담겨 있다. 금천창은 태종 11년(1411)에 건립되어 세조 11년(1465)까지 54년간 사용된 좌수참임을 알 수 있다. 가흥창으로 전세 수납처가 옮겨지면서 그 중심적 지위를 잃게 된다. 금천창은 조선이 고려에서 벗어나 사회안정과 새로운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관선조운에 의해 선택된 내륙수운개발의 결과물이다.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of the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 Area)

  • 이용삼;김상혁;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55-374
    • /
    • 2009
  •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선의 서운관에서는 1434년(세종 16)부터 국가 표준시계로 자격루를 운영하였고, 1438년에는 옥루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자동 시보시스템은 당시 시각제도에 따라 시보장치와 타종장치로 운영되었다. 이보다 앞서 제작한 중국의 수운의상대(1092)에서도 당시의 시각제도에 따른 시보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12시 100각법에 따른 동일한 시각제도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시보시스템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시보장치와 타종장치의 제작기술은 중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자격루와 옥루라는 독창적인 시보시스템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시계 기술로 이어졌다. 시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당시 시각제도에 대한 사례와 새롭게 복원할 천문유물의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서발턴(subaltern)'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생 신종교 사상 - 수운, 증산, 소태산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ew Religious Thought Generated by Indigenous Korean Religions from a Subaltern Perspective: Focusing on Choi Je-woo, Kang Il-sun, and Park Jungbin)

  • 박종천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41-190
    • /
    • 2021
  • 근대 한국의 자생 신종교의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 증산 강일순, 소태산 박중빈 등은 모두 몰락한 양반 출신의 '잔반'(殘班)으로서, 본격적인 종교활동에 앞서 시골 서당의 훈장, 농민, 장사꾼, 술사(術士) 등의 활동을 통해 생계를 꾸려나갔으며, 상층 양반으로부터 하층 상놈으로 전락하여 주변화된 서발턴적 위상으로 인해 다양한 서발턴들의 표현할 수 없는 염원과 원한을 종교적으로 대표/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성 질서의 질곡을 폭로하고 일탈하면서도 새로운 대안 질서를 이념으로 제시하지 않았던 조선 후기 '밀레니엄적 주변종교' 운동과는 달리, 이들은 모두 지배층의 서발턴적 규제와 억압을 전복시키고 기성질서를 대체할 수 있는 '후천개벽'의 새로운 대안적 비전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실천한 '유토피아적 대안종교'로서 탈-서발턴(post-subaltern)적 종교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들의 사상이 서발턴을 대표/재현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교적-사회적 주체로서 탈-서발턴의 사회적 비전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근대 한국의 자생적 신종교가 유토피아적 대안종교 사상임을 논증하였다.

필드버스(Lonworks)를 이용한 수운영시스템 구축 (The Construction Of Water Treatment Operation System Using Fieldbus)

  • 박지수;김인상;송현승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257-2259
    • /
    • 2004
  • Water Treatment Operation System is applied in most water treatment plants with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o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But it has a lot of problems in viewpoint of cost and expansibilities. Therefore, we rose demand about a system that it was easier, convenient and a few costs. So, It was appeared at a Fieldbus as an alternative about this. It is used in ail industrial fields, but because of the economic reality that we can't removes the existing system, and cannot introduce new technology. Because it is actual to be hard to find an actual implementation reward and way of domestic fieldbus technology, we cannot be acknowledged with reliability in the industrial spot. Therefore, We is going to look into a fieldbus application reward in this paper. That is, We recognize structure and a kind of a fieldbus in a Chapter 2. And we is going to look into difference between a PLC method and fieldbus methods in a Chapter 3. Also, We are going to compare the system that used PLC with the system that used fieldbus (LonWorks). And the objects are JinAn and Wonju where a field bus was applied to.

  • PDF

구름 물리학을 토대로한 지점 호우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Point Heavy Rainfall Model Based on the Cloud Physics)

  • 이재형;선우중
    • 물과 미래
    • /
    • 제25권4호
    • /
    • pp.51-59
    • /
    • 1992
  • 구름 물리학을 응용한 강수모형이 Geogakakos와 Bras(1984)에 의하여 개발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그들이 제시한 강수모형을 호우모형으로 수정한 것이다. 수정의 근간은 수운적 크기분포(HSD)가 강우 생성류에 미치는 영향과 강우강도에 종속이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이 HSD식을 운정과 운저의 유출 수분질량 및 지상에 내린 강우량, 구름층내의 저류량식에 적용하였다. 전주 측후소의 실측 기상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본 수정모형의 매개변수를 조정하였다. 그 결과 매시간 계산 강우량이 기존모형은 큰 편차를 보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수정모형은 실측 호우에 잘 부합되었다.

  • PDF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조리법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ooking Methods in 「Suwoonjabbang」 vs. 「Eumsikdimibang」)

  • 정혜경;윤경수;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53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oking methods used in the Joseon Dynasty using cooking books. We chose "Suwoonjabbang" (1500's) and "Eumsikdimibang" (1610)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oking methods from these two recip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staples, side dishes, rice cakes,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drinks, fermented foods, seasonings, and storage methods. Firstly, "Suwoonjabbang" contains a total of 121 cooking methods divided into two volumes. In contrast, "Eumsikdimibang" includes 146 cooking methods. There are 18 methods for noodles and dduks, 74 methods for fish and meat, and 54 methods for drinks and vinegars, and others. Secondly, "Suwoonjabbang" written by Yu Kim in Chinese characters can be described in simple terms. It provides caution against indulging in the taste of food. In contrast, "Eumsikdimibang" by Kye Hyang Jang contains detailed cooking methods that have disappeared. Thirdly, "Eumsikdimibang" introduced more diverse cooking methods for noodles, dumplings, side dishes, rice cake,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and fermented foods as compared to "Suwoonjabbang". In conclusion, unique cooking methods introduced in these two cooking books, which are rare these days, are expected to be further applied and developed.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 장동우;최계운;박효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네팔 둘리켈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방안 (Introduc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in Dhulikhel Municipality, Nepal)

  • 장동우;천서현;김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77
    • /
    • 2023
  • 네팔은 6천여 개가 넘는 강이 존재하며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노후된 상수도 시설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네팔 카트만두 인근의 소도시인 둘리켈시를 대상지역으로 하여 스마트 물관리 도입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물관리(SWM)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수도 관리 기술이 둘리켈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에서 수량·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연구로 국내 스마트물관리 기술의 네팔 적용성 분석, 수운영 자료및 현황 조사, 스마트 물관리 도입을 위한 수도 시설의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고, 기술 도입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적용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리 계측데이터의 분석, 수원지, 정수장, 주요 관로에서의 수질을 분석하였다. 이외에 관망수리해석을 기반으로 대상지역 내 공급가능한 수량을 산정하였고, 상수도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추가시설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조건에서의 상수도 운영,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개선 및 보완 방안,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가 둘리켈시에 도입될 경우, 물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수질 안정성 확보, 상수관망에서 수질 및 누수 사고에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근 카트만두를 비롯한 지방 소도시에도 스마트 물관리 기술적용에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금강유역 관문도시의 교통 변천에 따른 공간적 특성 변화 : 군산과 강경을 대상으로 (Transportation Impact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teway Cities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A Case of the Gunsan and the Gangyeong)

  • 송경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1-368
    • /
    • 2009
  • 관문도시의 내부구조는 외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금강 유역 관문도시의 교통변화에 따른 공간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교통의 변화 단계는 상품 특히 쌀의 유통에 의해 구분되었고, 관문기능들은 군산시와 강경읍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문에 있어 술 교통과 육로 교통은 연계되거나 분리되었다. 쌀의 유통에서 군산 관문은 연계된 반면, 강경은 분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포구와 철도역의 위치에 반영되어 있다. 수산물 및 소금의 유통에서 강경관문은 연계된 반면, 군산은 그렇지 않다. 둘째, 수산물과 쌀의 운송을 위한 포구들이 분리되거나 통합되었다. 군산에서는 분리된 반면, 강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곡 반출이 중단된 후에 두 관문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