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 개선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Syllabi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Foreign Universiti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23-245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내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 및 방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정보학과의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수업내용과 방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별로 교과내용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있어서 국외대학과 국내대학 간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방식에서 국내대학에서는 강의, 발표, 시험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의 경우 워크숍, 프로젝트, 시스템모델개발,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전문가인터뷰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수학과 반성적 교수 과정 중 교사의 사고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during Their Reflective Teaching)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385-404
    • /
    • 2011
  • 반성적 교수는 최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측면에서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의 반성적 교수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사고를 사례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반성적 교수 초기에는 초임교사의 경우 수업 중 오류 발견의 빈도가 적었고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반성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비해 경력교사는 초임교사보다 수업 중 오류 발견의 빈도가 높았으며 자신감과 확신으로 인해 반성의 빈도가 높지 않았다. 두 교사는 반성적 교수에의 참여가 증대할수록 공통적으로 교과 전문가 조언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교사 중심의 수업보다는 점차적으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전개하였다. 아울러, 초임교사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경력교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고, 경력교사는 반성의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추후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간의 상호 협력적 수업 반성 및 수업 개선을 위한 각종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CAI)

  • 최택영;박용길;조원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7-143
    • /
    • 2005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컴퓨터 보조수업에 대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교육적 효과 및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코스웨어의 개발, 컴퓨터 사용 환경개선 및 교사 연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한 중학생의 프로그래밍 수업 및 학습 성과 분석 (Middle-School Programming Classes Utilizing App Inventor Game Creation and the Analysi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 김성경;김상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60
    • /
    • 2018
  • 많은 나라들에서 최근 초중고생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초중고생이 배우기 어렵기에, 게임 프로그래밍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학생들의 수업 동기와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기존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다. 우리는 중학생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하고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수업 시간에 활용했던 앱 인벤터 게임들의 명세 및 우리의 수업 모델을 기술한다. 또한 게임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이들 능력 및 긍정적 인식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짝 학습인 하브루타(Havruta) 학습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이것이 일반 빙식에 비해 학습 성과를 높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 일반영어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탐색적 사례연구 (An Explorative Case Study of Flipped College General English Class)

  • 김영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59-27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상황에서 플립드 학습의 잠재력을 시험해 볼 필요성이 있고 특히 이와 가장 잘 접목될 것으로 생각되는 지방대학의 대학 일반영어 교육을 통해서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방 중소도시에 소재한 C대학교에서 2017년 2학기에 개설된 영어과 일반영어 수업인 미디어 영어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플립드 수업 방식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질적·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탐색적 방법으로 대학 일반영어 수업의 개선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효과의 측정을 위한 실험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비교반 없이 실험반 한 클라스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강의평가와 건의문, 중간과 기말고사, 조별 수행평가, 온라인 수업시청률과 학습참여횟수 등과 같은 연구도구에서 나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중간고사보다는 기말고사의 성적이 유의하게 높았고, 조별 수행평가 점수도 갈수록 나아졌다. 온라인 수업참여율은 수준별로 상집단이 가장 높고, 중집단이 뒤를 잇고 하집단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중/하 집단의 경우 플립러닝의 자기주도적 수업 참여율이 높은 경우에는 영어에 많은 향상이 있었다.

COVID-19로 인한 전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Pandemic)

  • 김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18-12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2020년 1학기 전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와 일반적 및 온라인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간호학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627부에 대하여 SPSS WIN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정보통신기기 활용능력은 보통 이상으로, 대부분 노트북을 이용하였다. 사전 녹화형 교수 강의 동영상 방식이 가장 많았고, 온라인 콘텐츠 개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점/5점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 가능한 점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타인에게 온라인 수업 추천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주관적 성적, 정보통신기기 활용능력, 온라인 수업 방식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코로나-19 이후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정책수립에 관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 설계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Needs on Designing Interactions for Online Mathematics Lessons)

  • 조미경;김세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9-41
    • /
    • 2022
  • 팬데믹으로 인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은 보편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온라인 환경의 특성 및 교과 특수성을 반영해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초등교사들에게 필수 역량이 되었다. 온라인 수학 수업의 질적 개선은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실제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고, 본 연구는 상호작용 측면에서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온라인 수학 수업의 설계를 위해 학습자-학습내용 상호작용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의 세부 항목별 교육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초등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라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들의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에 관한 설계 전략과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 Factors of College-Level Online Courses from a Student Perspective: Analyzing Pre-Course, During Course, and Post-Course Phases

  • Jong Man Lee;Sang Jo Oh;Yong You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89-296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경험에서 성공요인들을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단계를 기반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 전 단계에서는 과업의 가치,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통제에 대한 믿음이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업 중에는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상호작용은 수업 후 단계에서 학생들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요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대학 온라인 수업의 설계 및 운영에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경험과 만족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의 특징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5-574
    • /
    • 2018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중점학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개선을 위해 시행된 과학중점학교에 대한 전략적 지원과 노력들이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개 과학중점학교의 학생 6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과학중학교 과학수업의 특징과 과학중점학교가 일반 고등학교와 다른 점을 묻는 2개의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의 원활한 소통,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서로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 과학 실험 활동, 어려운 과학 내용을 배우는 것, 학습된 지식을 공유하는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등을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중점학교의 차별적 특성으로는 많은 수의 과학 관련 교과목(과제연구, 과학II 과목 등)의 이수, 관심 있는 분야의 비교과 체험활동, 탐구 및 연구 중심의 학생활동과 이에 대한 학교의 지원, 좋은 수업 분위기, 과학과 관련한 많은 수업시간, 활발한 R&E 및 동아리 활동, 다양한 과학실험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중점학교의 과학수업에 대한 '어렵고 힘들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라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혔던 좋은 과학수업의 모습과 많이 유사한 것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과학중점학교에 대해 이루어졌던 여러 행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과학 교실수업에 대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의 혁신 프로그램의 도입에 실질적인 도움과 벤치마킹 사례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