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지도

검색결과 886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and teaching guid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um)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47-7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수학과 수업실습의 내실화를 위하여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34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육실습생들이 수업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교과지도 활동지 또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실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및 교과지도 활동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은 주로 수업의 반성 및 평가의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 내용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내용적인 측면에 대한 지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는 교사교육자, 수업 참관자, 수업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교사교육자 또는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Planning a Mathematics Lesson in Teaching Practicum by Student Teachers)

  • 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3-359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az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Mathematics Lesson Plan)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교수법 향상을 위한 전자지도안 제작도구의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n Prototype of Electronic Teaching Plan Tool for Improvement Teaching Method)

  • 구정모;한병래;김성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65-268
    • /
    • 2003
  • 수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교수법 향상을 위해서는 실제 수업을 잘하는 사람의 수업 장면과 교수 학습 지도안을 보고 동료교사 및 전문가들과 같이 수업에 대해서 같이 토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현장의 교사들에게는 실제 그러한 참관 기회가 많지 않을뿐만 아니라 참관 및 토론의 환경도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제 교수법이 뛰어나 교사의 수업 장면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이 동영상과 교수 학습 지도안을 동기화시킨 전자 지도안을 만들어 현장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법 향상을 위해 저자 지도안 재작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 이은진;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18
    • /
    • 2014
  •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s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 양찬호;송나윤;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81-69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Teaching Method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 황선희;박익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49-4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즐겁고 효율적인 수업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5.6학년 319명(남자 160명, 여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 시 교사의 설명에 대해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시범, 지식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체육수업활동 시 교사의 설명이나 지도를 통해서 얻는 움직임의 지식에 대한 남녀 학생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가와 질서유지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교사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이나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수업활동 참여에 대해서도 상당히 높은 반응을 보여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활동 참여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지도 시 제시되는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가까이 다가서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재미있고 보람차고 긍정적인 체육수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Lesson Plan Analysis

  • Kim, Seong-Won;Yi, Soyul;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07-2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TPACK 교육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김성원과 이영준(2019)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전문성 분석을 위하여 예비 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을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차 수업 지도안에서 예비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저조하며, 지식을 전달하거나 실험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2차 수업 지도안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였지만, 교육적 맥락에 따라 테크놀로지가 활용되지 않았다. 3차 수업 지도안에서 모든 예비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교육적 맥락에 따라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일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이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udent's Class Satisfaction toward General PE Teacher's Teaching Ability in an Inclusive PE Environment)

  • 윤석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3호
    • /
    • pp.361-3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분석으로서 12명의 체육교사를 통합체육지도역량별로 3단계(상·중·하) 분류 후 그들의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 316명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환경에 참여한 학생의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도, 체육환경만족도, 운동능력만족도, 그리고 체육성적만족도는 p<.01 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체육환경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운동능력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체육성적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