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액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3초

고로쇠나무(Acer Mono)의 수액출수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그 군락의 자원화에 관한 연구 (2): 환경요인 및 공시목의 회복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Sap Exudation of Acer mono and the Resource Development of its Community (2):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Recovery)

  • Kim, Chul-Soo;Kwak, Ae-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533-545
    • /
    • 1994
  • The bleeding of 39 Acer mono trunks by wounding was investigated at the altitudes of 400m, 500m, 800m, and 1100m on Wangsirobong (1,214m), Mt. Chiri area (127°34'E., 35°14'N.) from February 4 to March 21, 1993 and from February 23 to March 23, 1994. The amount of sap in a day was clodely related to the change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Especially, the abundant sap was exudated at the ranges of -4~13℃ in the daily range of temperature and it was below 0.14m/s in wind speed. The most abundant bleeding was exudated from Acer mono trunk located south facing slope in 800m altitude. Also the amount of sap increased with incereasing suface area of crown. The maximum bleeding of sap was collected from the hole punctured at 80cm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at southern part of the trunks. And the number of exudation holes had an important effect on bleeding of sap but the number of holes should be controlled by DBH of trunk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udation was influenced by the daily range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And the altitude, direction of sloped where the trees occurred, surface area of crown, the number of exudation holes, height form the ground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hole was 91.6% when germicide (Dimethyl-4,4' -ophenylene bis 3-thio alonate) was treated from April to October after bleeding of sap in the year.

  • PDF

감두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Effect of Gamdutang Aqua-Acupuncture Solution)

  • 한상훈;조경희;최혜경;임종국;손윤희;이임태;남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84-691
    • /
    • 1999
  • 한방에서 염증, 종양 억제 등에 사용되는 감초와 흑소두, 감초와 흑대두를 정량으로 배합하여 조제한 약침액을 이용하여 암 억제효과를 살펴 보았다. 발암물질을 무독화 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과 rat의 간세포 Ac2F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감두약침액, 열수추출액을 처리한 Hepa1c1c7 세포에서 감두약침액과 열수 추출액에 의한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활성측정에 의하면 Hepac1c7 세포에서 감두약침액에 의한 GST 생성이 증가하였다, 농도별 감두약침액과 역수추출액에 의한 A. castellanii 증식을 살펴 본 결과, 약침수액과 열수추출액이 A. castellanii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길랭-바레 증후군 1예 (Guillain-Barré Syndrome Caused by Influenza Virus)

  • 최현길;연규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236-239
    • /
    • 2016
  • 길랭-바레 증후군은 약 3분의 2에서 선행 감염이 원인이 되며 면역반응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비교적 드문 원인이다. 발병 기전과 관련된 항체들에 대한 보고들은 몇 차례 있었지만 길랭-바레 증후군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직접 검출된 증례는 없었다. 6세 여아가 내원 1주 전 인플루엔자 A로 진단된 후 oseltamivir를 복용하며 증상이 호전되었고, 내원 2일 전 두통 및 하루 전 양하지 위약감이 생겨서 응급실로 왔다. 신체 진찰, 뇌척수액 검사, 신경전도 검사, 척수 자기공명영상 등의 결과를 토대로 길랭-바래 증후군으로 진단하였고, 뇌척수액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면역글로불린 정맥 투여 후 점차 증상이 호전되었다. 본 증례를 통하여 저자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뇌척수액 내로 직접 침투한 것이 길랭-바레 증후군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며, 향후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일개 응급센터에서 급속가압수액주입기의 사용경험 (Clinical Experience with using a Rapid Infuse at an Urban Emergency Department)

  • 홍종근;송형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2006
  • Purpose: Hypovolemia is not uncommon among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Successful resuscitation of a hypovolemic patient often requires rapi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massive amounts of fluid. A rapid fluid infuser is used in the ED for this purpose, there have been no studies of their clinical uses and effectiveness. We studied clinical experience with a rapid fluid infuser at an urban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8 patients admitted to the ED with a history of application of a rapid fluid infuser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5. Adult trauma patients older than 15 years of ag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linical data on the patients and the volume of fluid used to achieve a stable blood pressure were extracted from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adult trauma patients with a history of application of a rapid fluid infuser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5 in the ED was 16.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for deciding to apply the rapid fluid infuser was $74.9{\pm}12.7mmHg$. The mean time and volume used to achieve a stable blood pressure were 40.4 min and$2947.3{\pm}1339.2ml$, respectively. In all patients, the amount of fluid infused before using the rapid fluid infuser was between 500 ml and 10,000 ml, compared to 1,000 ml and 6,200 ml with the rapid fluid infuser. The mean amount of fluid per min. via the rapid fluid infuser was 85.5 ml. Vital signs were stabilized in 11 patients, 6 of the 11 were discharged alive. Conclusion: The mean amount of fluid delivered per min. via the rapid fluid infuser was much less than expected; thus, there should be clinical guidelines on volume resuscitation with a rapid fluid infuser in the ED. In the future,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data collection is needed for a more sophisticated study.

항혈소판 제재 복용 중 발생한 식도 벽 박리 및 점막 열상 - 1예 보고 - (Intramural Dissection and Mucosal Laceration of the Esophagus in a Patient Who Was on Antiplatelets Medication - A case report -)

  • 김경화;구자홍;이정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57-661
    • /
    • 2009
  • 점막하 식도 박리는 드문 질환으로 식도 천공 없이 점막하 출혈 및 혈종에 의해 점막하층과 근육층이 박리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Mallory-Weiss, Boerhaave's syndrome과 함께 제3의 급성 식도 손상질환이다. 금식과 수액 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비교적 예후가 좋다. 하지만 출혈 소인이 있는 질환이나 정상적인 지혈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anticoagulants, anti-platelets, thrombolytic agents)를 복용중인 환자에서, 흉통 및 연하통 혹은 연하곤란 등을 호소하는 경우에 감별 진단으로 염두에 두어야 부적절한 치료를 피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항혈소판 제재를 복용 중에 발생한 점막하 식도 박리를 보고하는 바이다.

내경 1.77 mm관내 R-22와 R-410A의 응축열전달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of R-22 and R-410A in an Inner Diameter Tube of 1.77 mm)

  • 손창효;노건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8-53
    • /
    • 2008
  • 본 연구는 세관내 R-22와 R-410A의 응축 열전달 계수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냉매 순환루프의 주요 구성품은 수액기, 변속 액펌프, 질량유량계, 증발기(예열기), 응축기(시험부)로 구성된다. 시험부는 평활, 수평 동관으로 내관의 내경과 외경이 각각 1.77 mm와 3.38 mm이다. 냉매 질량유속은 $450{\sim}1050\;kg/(m^2s)$이고, 입출구 평균건도는 $0.05{\sim}0.095$이다. 주요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응축 열전달 계수는 질량유속과 건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R-410A의 응축 열전달 계수가 R-22에 비해 약간 높았다. 종래의 상관식과 비교한 결과, 저건도와 저질량유속을 제외하고는 실험값과 종래의 상관식으로 예측한 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액가온요법과 피부가온요법이 개복술 환자의 저체온 예방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y)

  • 박효선;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61-107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anuary 4th, to May 31, 2004. The intravenous fluid warming(IF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through an IV line by an Animec set to $37^{\circ}C$. The skin surface warming(SS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by a circulating-water blanket set to $38^{\circ}C$ under the back and a 60W heating lamp 40 cm above the chest. The warming continued from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to two hours after completion of surger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methods. Results: SSW was more effective than IFW in preventing hypothermia(p= .043), preventing a decrease of $HCO_3{^-}$(p= .000) and preventing base excess(p= .00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SSW and IFW(p= .401)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skin surface warming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hypothermia, and $HCO_3{^-}$ and base excess during general anesthesia, and returning to normal body temperature after surgery than intravenous fluid warming; however, skin surface warming wasn't able to sustain a normal body temperature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Swan-Ganz 카테터를 이용한 심폐기능 이상 환자의 지속적 심박출량 측정 모듈 개발 (The Study of continuous cardiac output measurement module development of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patient of using the Swan-Ganz Catheter)

  • 임병선;한승환;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59-96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완-간즈 카테터(Swan-Ganz catheter)를 사용하여 심장질환 중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모듈들보다 더 정밀한 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모듈을 구현한다. 기존 방식은 차가운 수액을 심장에 주입하여 혈액의 온도변화와 회복시간을 측정하는 CO(Cardiac Output)를 측정하던 Bolus타입의 CO모듈이 존재하였지만, 지속적 환자 징후 관찰이 어렵다는 한계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의 병원에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 심박출량 측정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환자 징후관찰 및 상태파악이 가능 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 기존 병원에서 심폐기능 이상 중환자의 징후관찰 및 상태파악을 위해 고가의 해외기기 도입으로 낭비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정밀한 데이터 수집으로 정확한 환자의 진단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존 모듈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뇌경막하수종의 수술적 치료에 따른 임상 경과 (Progression of Subdural Effusion after Surgical Treatment)

  • 김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765-17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순천공배액술을 시행하고 호전된 환자들과 이차 수술로 단순천공배액술을 실시하거나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실시한 환자들의 임상적 경과 분석을 통해 뇌경막하수종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06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본원에서 뇌경막하수종으로 입원하여 단순천공배액술을 시행받은 16례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모두 이차 수술을 시행하였다(p<0.001).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시행한 환자 4명 중 2명이 아스피린을 복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4).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시행한 그룹과 시행하지 않은 그룹 간의 비교 결과, 4명의 환자는 일차수술 후 GCS의 변화는 없었으나 추적 전산화단층촬영 상 정중선 편위가 심하였고 경막하수종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으며 두통, 구토, 발열, 호흡곤란 등의 뇌압상승 증상을 보여 단락술을 결정하게 되었다(p=0.006). 아스피린을 복용했던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는 주의를 요하며 개두술 과정에서 뇌척수액의 급격한 소실과 뇌압의 지나친 변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병원 전 뇌졸중 환자의 구급의료 실태 분석 (A Research of Prehospital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Stroke Patients)

  • 송현목;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4-20
    • /
    • 2012
  •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시행되는 환자평가와 응급처치의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구급대에 의해 이송된 뇌졸중환자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123명의 환자 중 환자평가는 혈압 73.2 %, 맥박 73.2 %, 호흡 64.2 %, 산소포화도 79.7 %, 공동반응 88.6 %, 심전도 감시 14.6 %, 혈당측정 19.5 %의 시행률을 보였고, 시행된 응급처치로는 기도유지기 삽입 2.4 %, 손으로 조작하는 기도확보 17.1 %, 기관내삽관 2.7 %, 산소공급 35.4 %, 흡인, 정맥로 확보 및 수액투여가 시행된 환자는 아무도 없었다. 전반적으로 의식상태 평가는 적절하였으나 119구급대원에 의해 시행되는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는 전반적으로 적절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