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중

검색결과 3,200건 처리시간 0.04초

막형 PTEE 단엽판막을 이용한 우심실 유출로 확장수술 (Membranous PTEE Monocusp Vlave on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 박영환;홍유선;이현성;이종균;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322-328
    • /
    • 2001
  • 배경: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후에는 폐동맥판막부전이 우심실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막기 위해 여러 재료로 판막을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가피 형성이 적은 막형 ePTE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Goretex) 단엽판막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우심실유출로 재건술을 시행받고 수술 1일까지 우심실 압력을 측정할 수 있었던 47명중 막형 Goretex단엽판막을 사용한 환자(비교군) 19명, 사용하지 않은 환자(대조군) 28명에서 단엽판막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에는 나이, 체중 그리고 McGoon ratio 등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이전의 수술은 대조군에서 19번, 비교군에서 22번을 시행하였다.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REV수술 2예, 우심실폐동맥 연결수술 8예, 우심실 유출로 재개건술 2예,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16예였으며, 비교군에서는 REV 수술 5예, Rastelli 씨 수술 6예, 재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5예, 그리고 우심실 재건술 3예였다. 결과: 대동맥 차단 시간이나 총심폐순환시간에는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수술직후와 수술후 1일째 측정한 우심실 압력 및 좌심방압력의 차이도 두군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후 7일째 시행한 심에코도 결과 ejection fraction., 우심실/ 좌심실 압력비 , 그리고 우심실 유출로의 압력차, 강심제 투여일수, 호흡기 사용 기간 등에서도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흉관 삽입기간이 비교군에서 의미있게 짧았다. 추적 조사 기간 중 비교군 1예에서 사망을 하였으나. Goretex 단엽판막에 의한 것은 아니였으며 심초음파검사상 우심실 유출로 압력차이나 재수술은 두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폐동맥 폐쇄부전은 비교군에서 의미 있게 낮은 것을 보이고 있다. 결론; 막형 Goretex 단엽판막의 조기성적은 우수하였으며 폐동맥 폐쇄분전의 정도를 적게 하는 효과를 보이나 앞으로 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우심실 유출로에 폐쇄를 일으키는지는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 PDF

만성적 기도흡인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CHRONIC ASPIRATION)

  • 최종욱;최건;정광윤;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6-36
    • /
    • 1991
  • 기도흡인은 후두의 고유기능중 방어기능을 소실함으로써 지속되는 경우 하기도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된다. 기도흡인에 대한 치료는 고식적 치료법과 수술적 치료법으로 대별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식적으로 치료법이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지고 있으나 흡인의 정도가 심하여 하기도에 폐렴, 무기폐 등의 위급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그 원인이 비가역적이어서 탈진 또는 악액질을 초래하는 경우 부득이 수술적 요법율 선택하게 된다. 수술적 요법의 선택시기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으나 현재까지는 고통을 받고있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경험한 만성 기도흡인 환자 6례에 대하여 수술적 요법 즉, cricopharyngeal myotomy 1례, cricopharyngeal with medialization laryngoplasty 1례, laryngeal suspension with cricopharyngeal myotomy 2례, laryngeal diversion 1례, total laryngectomy 1례를 각각 시행함으로써 얻은 치료경험을 분석 검토하여 만성 기도흡인에 대한 치료상의 문제점과 보다 효율적인 치료법의 선택에 도움을 얻고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발생한 혈역학적 불안정에 대한 대동맥내 풍선펌프 치료 (Intra-aortic Balloon Pump Therapy for Hemodynamic Instability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정동섭;김기봉;최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04-709
    • /
    • 2009
  • 배경: 본 연구는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발생한 혈역학적 불안정에 대한 대동맥내 풍선펌프 치료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7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중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이 필요했던 환자들을 I군(n=39), 삽입하지 않았던 환자들을 II군(n=757)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두 군간에 수술 사망률(2.6%, 1/39 vs. 0.8%, 6/757; p=0.195)과 심방 세동(p=0.691), 뇌졸중(p=0.908), 종격동염(p=0.781) 이환율의 차이는 없었다. 인공호흡기 치료 시간, 중환자실 및 병원 재원 기간은 I군에서 II군보다 길었다 (p<0.05). 다변량 분석에서 수술 중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이 수술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진 않았다(p=0.549). I군에서 대동맥내 풍선 펌프 치료와 관련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합병증이 3예 있었으나(7.9%),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 술기를 변형한 2003년 이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중 혈역학적 불안정이 발생한 경우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합병증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 서장수;송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간섬유화스캔을 이용한 선천성 담도 폐쇄증의 최적 수술시기 시험적 제안 (Tentative Proposal of Optimal Timing of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Based on Fibroscan Results)

  • 이화영;박영아;한석주;고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74-80
    • /
    • 2011
  • 목 적: 선천성 담도폐쇄증의 일차적 치료로 알려진 Kasai 수술에서의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수술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 환아들을 수술 시기별로 분류하고 간섬유화 스캔을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얻어진 간탄성률값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간 섬유화 변화를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의 수술시기가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지 재확인 하고자 한다. 방 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Kasai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후로 간섬유화 스캔을 시행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수술 시기별 간탄성률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수술 전과 후 모두에서 간탄성률 결과값은 좋았고, 특히 8주 이전에 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그 이상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군보다 수술 후의 간섬유화가 적게 진행되었고 일부에서는 회복되었다. 또한 8주 수술 전후의 각 탄성률 간의 차이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Kasai 수술의 시기가 이를수록 수술 전 간 섬유화가 적고, 적어도 8주 이전에서 Kasai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수술 이후의 간섬유화가 양호하였으며 수술전후의 간섬유화 진행 정도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스캔을 바탕으로 적어도 8주 미만의 연령이 Kasai 수술을 시행 받기에 최적의 시기임을 재확인하였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다한증 수술의 임상적 고찰 (Thoracoscopic Sympathectomy in Hyperhidrosis)

  • 김동원;배철영;신원선;好돼?;이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12-1216
    • /
    • 1998
  • 배경: 최근 들어 비디오 영상 기술과 기구들의 발달로 비디오 흉강경에 의한 수술이 증가하고 있으며 흉부 질환의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중 다한증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 신경 절제술의 빈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수술 결과 또한 극적이고 미용적인 면에서도 만족스러워 많이 시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2월 까지 30명의 다한증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 신경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남녀비는 10:20으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51세까지 평균 22.42±6.84세이었다. 환자들은 모두 위치의 변경없이 앙와위에서 반앉은 자세로 수술하였으며, 수술시 사용한 트로카는 5 mm크기를 2개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수술 시간은 52.32±11.72분이었으며, 교감 신경 절제후 환자 수부의 온도 상승은 평균 2.17±0.47℃이었고 18명의 환자(60%)가 보상성 다한증을 호소하였다. 늑막 유착이 있어 수술 후 3일간 흉관거치를 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환자가 수술 당일 내지는 수술 다음날 퇴원할 수 있었다. 수술 후 2개월에서 8개월까지 평균 5.3±2.17개월 동안 외래 통한 추적 관찰 중인 바, 재발은 없었다. 결론: 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흉강경수술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최대의 효과와 최소의 부작용을 갖기 위하여는 교감신경의 절제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위에 발생한 소세포암의 임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Small-cell Carcinomas of the Stomach)

  • 김형주;박문향;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52-259
    • /
    • 2005
  • 위에 발생하는 원발성 소세포암은 매우 드물며 예후는 좋지 않아 초기에 발견되어도 60% 이상이 1년 이내에 사망한다. 본원 외과에서 수술치료를 받은 위소세포암 첫 번째 증례는 수술소견상 복막전이 소견 등으로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하여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etoposide, cisplatin화학요법을 시행하고 6개월 뒤에 찍은 CT촬영상 복막전이, 림프절전이가 악화되어 paclitaxel, cisplatin으로 약제변경 하였으나 수술 후 14개월째 사망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내시경 조직검사상 위선암과 소세포암의 복합 소견을 보였으며 CT 촬영상 복강동맥주위 림프절종대 및 간전이 소견이 발견되었다. TS-1과 cisplatin 선행화학요법 2차 시행 후 림프절 종대는 완전관해, 원발소 및 간전이소는 부분관해 소견을 보여 위전절제술 및 확대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로 절제된 위 및 주변 림프절 35개의 조직검사상 암세포가 모두 사멸되었으며 위내 원 발병소는 심한 심유화변성 소견을 보여 수술 전 사용한 항암요법이 유의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수술 후에도 동일 제제로 4차례 추가 투약을 하였다. 수술 후 6개월에 시행한 CT촬영상 간전이가 진행된 소견을 보여 간우엽 후부절제술을 시행하고 이후 in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을 5차례 시행하고 있으며 술 후 14개월째 생존 중이다. 세 번째 증례는 순수 소세포암으로 근치적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5차례에 걸쳐 TS-1, cisplatin 보조항암화학요법 시행하였고 수술 후 13개월째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 PDF

소아마취시 금식과 수액투여가 혈당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rvation and Perioperative Fluid Therapy o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during Anesthesia in Children)

  • 서일숙;송선옥;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89-93
    • /
    • 1984
  • 선택수술이 계획된 4세이하, 체중 18kg이하 소아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전 병실에서 측정된 혈당치를 대조치로하고, 8시간 정도의 금식후 수술실로 오기 1시간 전부터 비포도당액인 Hartmonn's solution을 공급한 I군과 포도당이 함유된 Hartmann's dextrose solution을 공급한 II군으로 나누어 각각 혈당치를 측정하고 또 수술 1시간후의 혈당치를 측정하여 혈당치변화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군에서는 대조치 $95.4{\pm}13.3mg%$에 비해 8시간 금식후의 혈당치는 $85.6{\pm}12.2mg%$로 감소했으며, 수술후 1시간에 있어서의 혈당치는 $119.2{\pm}33.0mg%$로 대조치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II군의 경우에는 대조치 $94.6{\pm}28.5mg%$에 비해 8시간 금식후의 혈당치는 $99.8{\pm}21.8mg%$)로 약간 증가되었고, 수술후 1시간의 혈당치는 $122.3{\pm}27.3mg%$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아에서 약 8시간정도의 금식으로는 저혈당이 초래되지 않으며, 또한 수술중에 혈당이 증가되므로 소아수술시 수술중 혈당유지를 위한 포도당액의 투에는 필요치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악성대장협착의 근치적 절제술을 위한 수술 전 투시장치 하 스텐트 설치술: 단기 및 장기 결과 (Fluoroscopic Stent Placement as a Bridge to Surgery for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Short- and Long-Term Outcomes)

  • 윤종혁;정규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15-626
    • /
    • 2023
  • 목적 악성대장협착에서 스텐트 설치 후 시행한 단단계 수술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악성대장협착으로 투시장치 하 스텐트를 설치하여 장세척을 한 후 수술을 시행한 46명의 환자(남:여 = 28:18, 평균 67.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31명은 복강경수술, 15명은 개복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38.9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무재발생존율과 전체생존율을 구하였고, 예후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스텐트 설치 후 평균 10.2일 후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전례에서 성공적으로 스텐트를 포함한 종양 절제 후 문합이 가능하였다. 수술 후 평균 입원기간은 11일이었다. 6명의 환자(13%)에서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병리 소견에서 장천공이 관찰되었다. 추적 기간 동안 10명의 환자(21.7%)에서 종양이 재발하였으며, 장천공이 관찰되었던 6명의 환자 중 5명에서 재발이 발생하였다. 장천공은 무재발생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p = 0.010). 결론 악성대장협착에서 스텐트 설치 후 시행한 단단계 수술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스텐트와 연관된 장천공이 재발의 위험인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