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송부문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Modeling Domestic Transportation Sector Using Global Change Assessment Model (GCAM을 이용한 국내 수송부문 모델링)

  • JEON, Seungho;KIM, Sud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2
    • /
    • pp.91-104
    • /
    • 2017
  •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modeling of domestic transport sector using GCAM(Global Change Assessment Model). The GCAM is one of integrated assessment models widely used in internationally modeling community, and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IPCC 5th Report. Nevertheless, it is noted that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problems in its application to domestic transport sector. First, the base year information of GCAM for detailed transportation service demand is found not consistent with national statistics. Second, the transportation sector simulation results do not properly reflect the past trends of service demand. Thus, the base year service demand is carefully matched with the detailed national statistics. In addition, the existing models were checked and modified so that the simulation results of service demand can accurately reflect past trends of national statistics. As a result, it is reported in detail how the current GCAM simulation results are corrected and how the trend of past transportation sector service demands is properly reflec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 basic tool for future scenario analysis for transportation policy, technology evalua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수송부문의 에너지절약문제와 대책

  • Im, Ho-Gyu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10 s.8
    • /
    • pp.39-45
    • /
    • 1981
  • 1.서론 2.수송부문의 에너지 환경 3.자동차분야의 에너지 절약대책 4.철도분야의 에너지 절약 대책 5.에너지 절약형 종합수송대책 6.결론

  • PDF

Impact of Green Round and couterplans of energy saving technology in transportation sector (수송부문의 Green Round 충격과 에너지절약 대책)

  • 권철홍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6 no.2
    • /
    • pp.1-11
    • /
    • 1994
  • 여기서는 자동차를 중심으로한 동 부문에 새롭게 닥쳐오고 있는 그린 충격파, 즉, 몬트리올 의정서와 기후변화협약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살펴 보고자 한다. 1. 자동차 관련 환경문제. 2. 몬트리올 의정서 : 지구 오존층파괴 규제. 3. 기후변화협약 : 지구온난화현상 규제. 4. 수송부문의 에너지절약대책.

  • PDF

연구보고서 - 수송부문 연료 및 차량의 공정경쟁성 비교와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극대화 방안 연구

  • 한국기계연구원 그린카 연구센터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s.282
    • /
    • pp.51-60
    • /
    • 2011
  • 이 자료는 한국기계연구원 그린카연구센터가 CNG 버스와 클린디젤버스의 환경성과 경제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한국경제학회에 의뢰하여 완성한 "수송부문 연료 및 차량의 공정경쟁성 비교와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극대화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요약한 내용이다.

  • PDF

에너지수요관리(需要管理) 방안(方案)의 경제성(經濟性) 및 국제환경규제(國際環境規制) 대응효과(對應效果) 분석(分析)

  • Kim, Jong-Da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4 no.1
    • /
    • pp.67-89
    • /
    • 1994
  • 에너지수요관리는 경제성장과 환경문제의 딜레마를 동시에 구체적으로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에너지수요관리를 통하여 우리나라는 총에너지수요의 22.3%(20.4백만 TOE)와 $CO_2$배출량의 18.7%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요관리의 잠재량은 산업과 수송부문이 많으나 순편익은 상업과 가정부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부문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그러나, 절감잠재량은 산업부문과 수송부문에 80%이상 달려있으므로 이 부문에 대한 수요관리가 궁극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이 분야는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이 많이 요구되고 효과가 장기에 걸쳐 일어나므로 지금부터의 실시가 중요하며 지속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투자의 효율성은 전력부문이 높게 나타나고 절전에는 산업부문의 전동기의 개선이 가정 효과적이며 환경오염저감효과도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된다. 최대부하를 줄이는 데는 조명기기의 전자식안정기나 전구식형광등으로의 개체가 효과적이다. 순편익은 냉장고, 세탁기 등이 높으나 절대 절감량이 작아 정책의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열병합발전, 단열 및 폐자원활용은 세탁기, 에어콘 등에 비해 단위저감순편익은 낮으나 절감잠재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실질절감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대한 수요관리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Indicators in Transportation Sector Energy Conservation DB (에너지절약 DB 구축을 위한 수송부문 분류지표 설정)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3
    • /
    • pp.149-156
    • /
    • 2016
  • This paper surveyed and analyzed cases of DB development overseas to set the range of DB to be developed for analyzing energy-saving policies in the domestic transportation sector. The foregoing prerequisites were used to establish system for classification in the broad scale under which system for classification in detail indicators that suit one in the broader indicators was set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 overseas cases to determine DB development range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required to analysis domestic energy-saving policies. Accordingly, six items subject to the broadest classification were determined, i.e. energy consumption, energy basic unit, emissions of greenhouse gas, economic indicators, transportation volume / transportation records and basic automobile data. Large classification and sub-items determined by surveying expert opinions were set and proposed as DB classification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