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 섭취량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3초

콜라겐 펩타이드 섭취 무모생쥐에서 UVB 조사에 의한 피부 손상에 미치는 효과 규명 (The Effect of Collagen Peptide Intake on UVB-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신현준;박종일;권창주;김화영;나오키 이노우에;고이즈미 세이코;황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11-6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Tilapia fish에서 얻은 콜라겐 펩타이드 (TFCP)의 섭취가 UVB를 조사한 무모생쥐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모생쥐에 1주일에 3번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였고, TFCP 545, 1090 mg/kg을 매일 총 12주간 경구투여 후, 주름생성, 피부 두께, 홍반, 피부 수분량, 하이드록시프롤린, MMPs 및 filaggr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UVB만 조사 한 군과 비교하여 UVB를 조사하고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에서 주름생성, 피부 두께 및 홍반이 감소하였고 피부 수분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콜라젠 양과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양도 TFCP를 섭취한 군에서 UVB 조사군에 비해 유의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FCP를 섭취한 군에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MMP-2, MMP-9 뿐만 아니라 MMP-3, MMP-13의 mRNA 발현량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filaggrin의 단백질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TFCP의 섭취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손상을 회복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FCP는 피부미용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히알루론산 기반 비타민 D 함유 구강용해필름의 제조 및 특성평가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based orally disintegrating film containing vitamin D)

  • 강서연;안다연;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7-333
    • /
    • 2022
  • 칼슘과 함께 뼈 건강에 필수적이나, 그 섭취량이 부족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비타민 D를 쉽게 보충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으로 천연 고분자 물질인 히알루론산을 기반으로 한 비타민 D 함유 구강용해필름(orally disintegrating film, ODF)을 개발하고 비타민 D 함량에 따른 필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첨가량은 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의 비타민 D 하루 충분섭취량(400IU: 10 ㎍)을 기준으로 4, 7배, 그리고 상한섭취량인 10배로 설정하였다. 제조한 필름의 두께는 기반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은 대조군이 가장 두꺼웠고, 비타민 D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비타민 D 첨가군간 필름의 수분함량의 차이는 없었으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투습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소수성 물질인 비타민 D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D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필름의 명도는 10AI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이와 같은 색도특성은 첨가한 비타민 D 시료 자체 색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비타민 D의 증가는 불투명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p<0.05), 7AI와 10AI에서 가장 높은 불투명도를 보였다. 다른 친수성 고분자 필름과 달리 본 연구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기반 필름은 가소제의 첨가 없이도 타 연구의 필름에 비교하여 높은 인장강도(84.40-106.6 MPa)(p<0.05)와, 비슷한 수준의 연신율(4.71-9.43%)(p>0.05)을 갖는 질감 특성을 보였다. HPLC/MS 분석을 통해 필름 내의 실제 비타민 D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제조 과정 중 비타민 D의 손실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목표섭취량(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 비타민 D 충분섭취량)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제조 기준의 1.5-2배를 섭취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물질인 히알루론산을 기반으로 비타민 D를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을 개발하였으며, 비타민 D 첨가로 인한 필름의 특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구강용해용 뿐 아니라 가식성 포장재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일차성 야뇨증의 위험 요인 (Risk Factors of Primary Nocturnal Enuresis)

  • 이수진;양정안;유은선;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69-76
    • /
    • 2000
  • 목 적 : 일차성 야뇨증의 병인론은 유전적 요인 외에 수면 요인, 야간 Arginine Vasopressin(AVP)분비 장애, 기능적 방광 미숙 등 주로 배뇨 반사의 성숙 지연이 논의되고 있으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변을 충분히 가릴 나이인 5세 이후까지 야뇨증을 지속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 목동지역 초등학교 1학년의 정기 신체 검사에서 야뇨증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일차성 야뇨증으로 확인된 아동 20명과 이후 1년간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동일한 설문지 조사를 받은 6-7세의 일차성 야뇨증 아동 35명을 포함한 55명을 야뇨증군으로 하였고, 설문지 조사에서 야뇨증이 없었던 아동 221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중 야뇨증군 55명과 대조군 22명에서는 24시간 배뇨 일지를 기록하게 하였으며, 두 군사이에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발달 요인, 수면 요인, 일일 및 야간 수분 섭취량과 요량, 주간 배뇨 장애 및 일회 최대 요량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1)부모의 야뇨증 병력은 야뇨증군에서 $20.0\%$로 대조군의 $2.7\%$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남녀비는 야뇨증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출생 순서, 어머니의 직장 여부, 아동과 부모의 성격, 걷기 시작한 나이 및 학교 성적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잠에서 깨어나기 힘든 경우는 야뇨증군에서 $70.9\%$로 대조군의 $54.3\%$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5), 수면 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4) 야간 수분 섭취량은 야뇨증군에서 $330{\pm}158.2\;mL$로 대조군의 $235{\pm}129.5\;mL$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P<0.05), 야간 요량은 야뇨증군에서 $390{\pm}61.5mL$로 대조군의 $140{\pm}43.2mL$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일일 수분 섭취량과 일일 요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일회 최대 요량은 야뇨증군에서 $107{\pm}35.9mL$로 대조군의 $236{\pm}41.3mL$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0.05). 주간 배뇨 이상은 야뇨증군에서 $80.0\%$로 대조군의 $57.9\%$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주간 배뇨 횟수도 야뇨증군에서 $7.0{\pm}3.4$회로 대조군의 $5.4{\pm}1.6$회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 론 :야뇨증은 유전적 요인을 비롯하여 성숙 지연과 관련된 수면 요인, 야간 다뇨, 방광 미숙 등이 관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야간 다뇨의 원인으로 야간 수분 섭취 과다가 관련되므로 치료의 일차 단계로 야간 수분 섭취 제한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수분 섭취량 측정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Measurements)

  • 이창관;김유경;서명화;이경미;이주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7-57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wo methods for measuring fluid intake and to assess the most effective method. Methods: Data from 44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as analyzed. Two methods were used. The liqu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the liquid-sol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s by the oral route and IV fluid. Results: The daily intake of fluid was 1483.10mL and 2245.99mL respectively. The fluid output was 1883.72 mL. The Intra-Class Correlation (ICC) between the liquid method and the liquid-solid method and fluid output was 0.64 and 0.69,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s of fluid in two methods and body weight change was r=.47 (p<.001) and r=.5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ing methods as to reflecting the most close value to fluid output.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take and output by two methods is correlated with body weight change.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either method could be useful as patients' fluid intake measurement.

Aspergillus oryzae로 제조한 Soybean koji 식이가 40-60대 중년여성의 손톱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bean koji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on the Improvement of the Nails of in their 40s to 60s Women)

  • 이성아;강상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17-2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노화시작으로 손톱 상태가 나빠지는 중년 여성이 Aspergillus oryzae로 배양한 콩 koji를 섭취하므로 손톱의 건강상태가 얼마나 개선되는지를 알아보았다. 8주 동안 4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삶은 비 발효 콩을, 시험군은 Aspergillus oryzae로 발효한 콩 koji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시험군의 손톱표면의 들뜸이나 갈라짐 상태가 개선되고, 수분량은 대조군에 비해 5.1배(p<.01), 수분 손실량은 대조군 감소량보다 1.4(p<.05)배, 손톱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1.9(p<.05)배, 표면의 주름상태는 대조군에 비해 약 2.4(p<.01)배 정도 각각 개선됨을 보였다. 따라서 콩 koji 섭취가 손톱건강상태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를 통하여 콩 koji가 이너뷰티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 성인의 신체활동 및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Physical Activities and Nutrient Intakes of Adults with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those with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 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43-7052
    • /
    • 2015
  • 본 연구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여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영양소들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대상자들은 2013년 1월-12월까지 실시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참여한 대상자들이며 복합표본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은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에 비해 1주일 동안의 유연성 운동일수(Odds ratio (OR)=1.18, 95% confidence interval (95% CI)=1.01-1.38), 수분 섭취(OR=1.04, 95% CI=1.01-1.06)및 단백질 섭취량(OR=1.07, 95% CI=1.02-1.13)이 높고, 지방(OR=0.99, 95% CI=0.98-1.00)과 탄수화물(OR=0.98, 95% CI=0.97-0.99)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비만 성인에 대한 간호중재는 대사적 상태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과라나 섭취가 장시간 운동 시 혈중 에너지 기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gestion of Guarana on the Change in Blood Energy Substrate During Exercise for a Long Time)

  • 남상남;이겨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81-588
    • /
    • 2014
  • 본 연구는 장시간 운동 시 과라나 섭취를 통하여 혈중 에너지 기질이 운동 보조수단의 한 방법으로 운동보조제(ergogenic aids)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H대학교 재학 중인 중 장거리 육상 전공 남자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들은 최대 심박수 기준 각 개인의 HRmax 70%의 운동 강도로 Polar(Finland)를 이용하여 60분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과라나 및 수분 섭취 시점은 운동 30분전, 운동시작, 20분, 40분, 운동 직후 60분으로 1회 투여량은 $200m{\ell}$씩 총 5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채혈은 운동 30분전, 운동 직후 60분, 회복기 30분에 걸쳐 총 3회 채혈을 하였다. 자료처리는 과라나섭취, 수분섭취와 처치시기(운동전 운동 중 휴식 시)간에 따른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글루코스, 유리지방산, 젖산에서 수분섭취보다 과라나 섭취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라나가 운동보조제(ergogenic aids)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과라나 섭취를 통해서 에너지 저장량을 증가시켜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유동식을 섭취하는 대상자의 수분 섭취와 배설의 균형 분석 (A Study of the Fluid Balance of the Patients on Soft Diets)

  • 양영희;최스미;김은경;성일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88-69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luid balance of the patients who were either on soft fluid diet or total parenteral nutrition. We studied 19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and 22 patients with oromaxillary surgery who were admitted to either D university hospital in Choognam or S general hospital in Seoul between May and November 1995. The mean age for the patients who had oromaxillary surgery was 24 years and their average hospital stay was 9 day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neurologic disorders was 54 years and they were bedridden for average of 71 days. For the maxillary bone surgery patients we did not limit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in the ward during data collection period. The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were bedridden and did not move around the ward. They were all either on soft fluid diet, or total parenteral nutr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 of the triceps skinfold thickness between the baseline and the final measurement was 0.4cm for neurologic patient group and 0.5cm for oromaxillary surgery patient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ach group. 2) In the oromaxillary surgery patient group, the daily intake of fluid in the form of pure water, other beverages, fluid diet as well as IV fluid was 4581m1 while urine output was 2979ml. The difference between fluid intake and outp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fluid intake was far more than urine output. In neurologic patient group, the daily intake of fluid including water from fluid diet and IV fluid was 2701m1 whereas urine output was 2253m1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For a more accurate assessment we adjusted the fluid balance based on weight changes during data collection period. In the oromaxillary surgery patient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fluid intake and output was 1238m1 after weight changes being adjuste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fluid overload in this patient group. In neurologic patient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fluid intake and output considering weight changes was 124ml.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fluid intake and output was well balanced in this patient group.

  • PDF

고용량 방사성옥소(I-131) 치료환자의 피폭선량 저감화 연구 (Minimized Radiation Dose of Patients Receiving High Dose Radioiodine(I-131) Therapy)

  • 이귀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2
    • /
    • 2007
  • 방사성옥소(I-131)를 이용한 갑상선 질환치료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료병실을 이용해야 하는 고용량 방사성옥소치료 환자의 가파른 증가는 치료병실의 증설과 방사성목소의 이용량을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환자의 심적인 부담과 환자 주변의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퇴원시 방사선량률을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고용량 방사성옥소치료에 따른 여러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치료환자에 대한 퇴원은 환자의 주변환경과 관련한 많은 인자들을 고려한 개별근거로 결정해야 하고, 퇴원시 방사선량률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것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충분하고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한 교육과 실행을 통하여 방사선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수액을 병행하여 사용하므로서 편차가 거의 없는 방사선량률의 감쇠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같은 격리기간에도 퇴원시의 방사선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격리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방사성옥소를 투여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 연구대상의 경우 수에 대한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환자상태에 맞는 충분한 수분섭취와 수액공급은 확실히 방사선량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조사관찰이 필요하며, 치료용량에 따른 여러 환자군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수분 섭취 및 배설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 최스미;양영희;정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8-98
    • /
    • 1995
  • The Fluid and electrolytes balance in the bod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maintaining good health. When the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is present, patients are in great danger. They must be assessed immediately by a nurse so that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records contain highl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id imbalance, but, these records are often inaccurate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fluid intake is not universal for every hospital. Be-cause they are few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s hydr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uid intake records is very importan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f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used for calculation of fluid intake which is most similar to fluid output in normal adults and hospitaliz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s for fluid intake and compared these to fluid output and developed suggestions as to the ideal way to record fluid in-take. Data for 43 hospitalized patients and 37 normal ad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normal adults,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es by the oral route was 2415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was 1365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rice, porridges, and Me m which have water content more than 80% were 218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2) The urine output of the normal adults was 1350m1. This appr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3) In patient group, the total intake of water was 2550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as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was 1661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oods which have high water content was 235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4) The urine output of the patient's group was 1728m1. This app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5)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patient fluid intake showed that among the 31 hospitals studied, only eight use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fluid taken in the form of pure water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includes water in-take only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beverage should be used as patients' fluid intake reco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