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손실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25초

올리브유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Olive Oil)

  • 임선희;윤미숙;이정훈;민상기;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17-221
    • /
    • 2005
  • 쇼트닝을 4% 첨가한 식빵과 올리브유를 0, 4, 6%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분함량, 굽기 손실, 비용적, 경도 및 탄력성 등을 측정하였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쇼트닝을 4% 첨가한 식빵이 $38.68{\pm}0.41%$, 올리브유를 4%와 6% 첨가한 식빵이 39.8% 내외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고, 굽기 손실은 쇼트닝 및 올리브유를 첨가한 식빵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지를 첨가하지 않은 식빵은 낮은 굽기 손실을 나타냈다. 비용적은 쇼트닝을 4% 첨가한 식빵이 올리브유를 4% 첨가한 식빵보다 약간 높은 값을 나타냈고, 올리브유를 6% 첨가한 식빵은 3.90 ml/g로 유지를 첨가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경도와 탄력성은 쇼트닝을 4% 첨가한 식빵과 올리브유를 4%와 6% 첨가한 식빵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올리브유를 첨가하지 않은 식빵의 경도 값이 가장 커 조직이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인자가 토양내 석유계탄화수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in Soil)

  • 황의영;남궁완;박준석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분함량 및 온도변화가 석유계탄화수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토양은 사질양토였으며 대상오염물질은 디젤오일이었다. 디젤오일의 초기오염농도는 건조질량기준으로 10,000mgTPH/kg이었다. 수분함량은 토양 수분보유능력의 50%, 70%그리고 90%로 조절하였으며 온도는 $5^{\circ}C$, $10^{\circ}C$, $20^{\circ}C$, 그리고 $30^{\circ}C$로 변화시켰다.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는 수분함량이 수분보유능력의 50%와 70%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 온도는 10~3$0^{\circ}C$에서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가 활발하였으며 5$^{\circ}C$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노르말알칸류의 분해속도는 석유계 총탄화수소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휘발에 의하여 손실된 석유계 총탄화수소는 초기 농도의 약 2% 내외였다. 대조실험으로서 공기공급을 하지 않은 경우와 biocide로 $HgCl_2$를 첨가한 경우에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가 미미하여 석유계 총탄화수소가 호기성조건하에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디젤오염토양 마이크로파 처리 시 TPH의 제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PH Removals by Microwave Radiation for Diesel Contaminated Soil)

  • 정승우;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776-7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하여 디젤오염토양의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제거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토양을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였을 때 토양 내 온도의 상승은 완만하였으나 수분이 공급된 상태에서 온도 상승이 급격하게 나타났다. 함수량이 20% 이내 범위에서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상승하였으나 20% 이상에서는 오히려 온도가 저하되었다. 100~700 W의 전력량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한 후 각각의 TPH의 제거량을 확인하였을 때 300 W 이상의 범위에서는 전력량이 높아짐에도 TPH 제거량에 차이가 많지 않았다. 초기 수분량 20%에서 마이크로 조사 시 최종 TPH 제거량은 60%로 나타났으나 추가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토양 내 함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 약 25%의 TPH 제거 증대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할 때 반응이 지속됨에 따라 수분손실과 더불어 온도가 감소하므로 토양 내 함수량을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TPH제거를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고온용 Circuit-analog 전파흡수구조의 350℃ 및 열 수분 환경에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Circuit-analog Radar Absorbing Structures for High Temperature in 350℃ and Hot-wet Environment)

  • 장민수;김호범;홍헌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5호
    • /
    • pp.335-34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온용 Circuit-analog 전파흡수구조(CA-RAS)를 제안하고, 350℃ 및 열 수분 환경에서의 전파흡수성능 및 인장 물성을 평가하였다. Glass/cyanate ester와 사각형 저항 패턴층을 통해 CA-RAS를 구현하였으며, 자유공간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350℃ 환경과 열 수분 환경 노출 후의 반사손실을 측정했다. 또한 ASTM D638 규격에 따라 환경 노출 후의 인장강도를 측정했다. 제안된 CA-RAS는 350℃까지 4 GHz 이상의 -10 dB 흡수 대역과 -20 dB 이상의 피크 값을 보였으며, 열 수분 환경 노출 후에도 전파 흡수 성능의 저하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환경 노출 후에도 Glass/cyanate ester의 상온 인장강도 대비 95% 이상의 인장강도 값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전파흡수구조의 고온 및 열 수분 환경에 노출되는 저피탐 구조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water 댐 유역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관측 현황 (Current status of site observations for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content in the K-water dam watershed)

  • 조영현;강태호;이영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7-67
    • /
    • 2022
  • 국가 물관리 측면에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은 자연계 손실로서 국내 수자원 총량의 약43%(563억 m3/년)를 차지하며, 수자원의 계획과 개발, 물순환 과정 규명 및 다양한 수재해 분석 등을 위한 수문 요소이다. 정부는 2005년 「수문조사 선진화 5개년 계획」과 2008년 「제1차 수문조사기본계획(2010~2019년)」을 통해 2019년까지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 관측소 확대(각각 25개 지점) 기반을 마련하였고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공인 수문 자료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을 측정하고 있다.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은 댐 유역의 정밀한 물순환 해석에도 매우 중요한 정보로서 현재 K-water에서의 관측은 일부 시험유역(용담댐 유역)의 flux tower에 의한 에디공분산법(Eddy Covariance Method) 및 토양수분 센서(TDR, Time Domain Reflectometery)에 의한 지점 자료의 생산만 각각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ater 댐 유역의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관측 현황과 그간 관측된 자료의 특성을 각종 경향성 분석 등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증발산량의 경우는 2개소의 flux tower를운영(덕유산 지점 2011년 이후, 용담 지점 2017년 이후)하고 있으며, 토양수분량은 총 7개소(계북, 천천, 상전, 안천, 부귀, 주천 지점 2013년 이후, 장계 지점 2017년 이후)에 TDR센서를 설치, 계측 운영 중이다. 이렇게 관측된 자료는 매년 홍수통제소 주관 관련 전문가 공인심사를 통해 일자료 기준으로 한국수문조사연보에 수록되고 있으며, K-water에서도 연보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기준으로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등과 연계하여 온라인 자료 서비스 중이다. 한편, 최근 2020년 「제2차 수문조사 기본계획(2020~2029년)」에서는 수자원 위성 개발연구와 연계하여 위성을 활용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 산정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점 자료만으로는 댐 유역을 포함한 광역단위의 시계열 공간정보를 생산하기 한계가 있으며, 댐 유역과 국내 전 지역의 공간 시계열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자료 산정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정립하고, 나아가 위성영상을 활용한 댐 유역 증발산량·토양수분량 관측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많은 재원의 투입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PDF

아시아 여성의 피부 물리적 변수들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kin Physical Parameters in Asian Women)

  • 이정아;송은정;박정준;김현주;김신혜;김남수;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7-307
    • /
    • 2017
  • 피부 특성은 다양한 내부 또는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아시아 여성들의 피부 특성을 조사 및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는 7개국(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인도, 중국 및 한국)에서 1,500명의 아시아인의 피부 물리적 변수 및 지역 간 차이를 평가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 pH, 피부 수분, 피지함량, 피부 민감도, 탄력, 눈가 주름 및 피부 밝기의 값을 측정하였다. 인도 여성들은 다른 국가들의 여성들보다 피부 수분량, 피지량 및 민감도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더 어두운 피부색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모든 부위의 피부 표면 pH는 7개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베트남인은 가장 낮은 수치의 피부 표면 pH 값을 보였다. 한국인과 중국인은 일반적으로 탄력성이 높고 적은 눈가 주름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수분과 경피 수분손실량은 민감도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주름과 민감도 간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해당 지역이나 지역과 관련된 명확한 추세는 없었다. 피부 물리적 매개 변수는 지역적 차이에 대한 이해와 함께 다양한 요인(피부 관리 습관, 라이프스타일 및 개인 민감도)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삼투건조와 진공주입이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and Vacuum Impregnation on the Quality of Dried Apple)

  • 최희돈;이해창;김윤숙;최인욱;박용곤;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8-183
    • /
    • 2008
  • 삼투건조와 진공주입에 의한 사과의 물질이동 특성과 열풍건조 시 건조특성, 그리고 제조한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삼투건조 시 사과 시료의 중량이 감소하고 수분손실이 증가한 반면 진공주입 시에는 중량이 증가하고 수분손실이 감소하였으며, 진공주입 시 고형분 증가가 컸다. 50$^{\circ}C$에서의 열풍건조시 건조시간에 따른 사과 시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Page model에 적용하여 지수 n, k 및 건조시간을 산출하였다. 건조시간이 대조구의 4.45 hr에서 삼투건조 시 5.82 hr, 진공주입 시 6.38 hr로 증가하는 반면 k는 대조구의 0.456 $hr^{-1}$에서 각각 0.326 $hr^{-1}$과 0.277 $hr^{-1}$로 감소하였으며, n은 대조구의 0.938에서 각각 0.754와 0.950으로 변화하였다. 삼투건조 및 진공주입한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삼투건조에 의해 건조제품의 수축도와 복원력이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한 반면 압착력이 크게 증가하였고 적정산도와 ascorbic acid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진공주입에 의해서는 대조구에 비해 수축도와 압착력이 증가하였다. 복원한 사과 건조제품에 대한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 삼투건조한 사과 건조제품이 외관,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 등의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건조상태에서의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에서는 진공주입한 사과건조제품이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나타내었다.

빵에 첨가한 녹차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정수;박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9-129
    • /
    • 2001
  • 기능성을 갖고 있는 녹차가 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녹차를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빵은 녹차 물추출액 0%, 50%, 70%, 100%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3$0^{\circ}C$로 저장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7일간의 수분, PH 및 산도, 총제균수 등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는 저장 중 빵의 수분 손실이 적었으며 pH 및 산도는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변화 폭이 적었다. 총 세균수의 경우 녹차 물추출액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세균수의 증가폭이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제서는 녹차 물추출액 첨가가 식빵의 기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감자에서의 페놀화합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lic Content of Potatoes)

  • 최혜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0-84
    • /
    • 1976
  • Lasoda와 Sebago 두 종류의 감자를 사용하여, 조리 조건을 달리 하여 conventional oven에 $218^{\circ}C$에서와 microwave oven에서 구어내어 껍질을 베끼고 cortex 부분만 취하여 전체 phenol을 분석하였다. 또한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를 표준으로 하여 thin-layer chromatography로 감자의 phenol화합물을 분석 하였다. Phenol양은 구운 감자보다 생 감자에 더 많았고, Sebago 보다 Lasoda에 많았다. 수분손실은 conventional oven에서 구운 감자에 컸고, microwave oven에서 구운 Lasoda에는 phenol양이 많았다. 또한 phenol양이 많은 Lasoda가 chlorogenic acid도 많았다.

  • PDF

세가지의 출력이 다른 전자파를 이용하여 고기의 내부온도를 다르게 조리시 고기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인 변화 (Effect of microwave cooking on roasts heated to three different internal temperatures with three different microwave power levels)

  • 조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4-404
    • /
    • 1994
  • 본 실험은 1.5Kg 무게의 고기를 3가지 다른 내부온도(60$^{\circ}C$-rare, 70$^{\circ}C$-medium, 80$^{\circ}C$-well done)에 이르도록 3가지 다른 출력의 전자파(40%, 60%, 100%)로 조리시에 나타나는 고기의 조리조건(조리시간, 대기시간 및 대기시 상승온도)과 고거의 물리 화학적인 변화(수분, 단백질, 지방, vit $B_1$의 함량, 콜라겐의 용해도, 보수력, texture)를 관찰하였다. 각 처리구 간에 Kg당 조리시간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대기시간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고기의 내부용도가 낮은 처리구일수록 긴 대기 시간이 요구되었다. 대기시 상승온도도 각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거의 모든 처리구에서 10도 이상의 상승온도가 관찰되었다. 고기의 내부온도가 상승할수록 조리시 중량손실도 증가되었고, 수분함량, 수분: 단백질의 비, 보수력, 비타민 $B_1$의 함량도 감소되었다. Texture를 측정한 항목들에서는 각 처리구간의 유의척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콜라겐의 용해도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내부온도 60$^{\circ}C$와 70$^{\circ}C$ 처리구 사이의 용해도는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