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값

Search Result 1,83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Method for Estimating Mean Residence Time of Water using Soil Moisture at a Hillslope on the Forested Catchment (토양수분을 이용한 산림사면에서의 물 평균체류시간 추정방법)

  • Kwak, Yong-Seok;Jin, Sung-Won;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08-313
    • /
    • 2009
  • 유역에서 물의 평균체류시간은 강우에 의해 토양에 강우 등으로 인해 수분이 침투하여 유출되기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며, 침식, 식생분포, 유출기작 등을 지배하는 수문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물의 평균체류시간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추적자법은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들면서도 간접적인 방법임으로,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의 거동을 관측해 산지사면에서 물의 평균체류시간을 산정하는 보다 직접적인 방법을 고안하였다. 토양수분의 측정을 위해 광릉 국립수목원에 위치한 산림 소유역에 토양 수분 측정장비인 TDR을 설치하고 1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깊이별 측정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을 이용해 산정된 물의 체류시간은 대상유역의 불투수 지하면에 가까워질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강우가 집중된 여름에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서 얻어진 평균체류시간은 기존의 화학적 방법을 통해 산정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토양수분의 측정과 분석을 통한 방법이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보다 더욱 효율성 있는 측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금속이 코팅된 PET필름의 수분침투 특성 평가

  • Hwang, Bin;Choe, Yeong-Jun;Park, Gi-Jeong;Kim, Hoe-Bong;Jo, Ye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51-351
    • /
    • 2010
  •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액정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OLED의 기판재료는 Glass기판이지만 차세대 Flexible한 display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가볍고 유연한 plastic을 기판 재료로 사용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plastic이 기판재료로 된 OLED의 가장 큰 단점중의 하나가 수분과 산소에 민감하여 열화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런 수분침투와 열화 과정으로 인해 OLED의 발광효과가 약해져 OLED의 수명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하여 외부에서 OLED내부로 유입되는 산소, 수분으로 부터 발광재료와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봉지기술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exible한 OLED에 적용되는 금속 코팅한 막의 적층구조 및 기판의 노출온도에 따른 금속 코팅막의 수분침투 특성에 대해 MOCON의 weight gain test (WGT)를 통해 barrier layer에 대해 평가하고 이에 대한 mechanism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금속을 코팅한 막은 OLED의 cathode와 anode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Al과 ITO를 sputter장비를 이용해 single layer와 double-layer의 두 가지 구조로 PET기판에 증착하였다. 증착한 Al막의 두께는 각각 50 nm, 100 nm, 200 nm, 400 nm 등 4가지로 하였다. double-layer의 경우에는 총 두께를 절반씩 기판의 양쪽에 증착하였다. 적층구조에 따른 수분침투 특성 평가 결과로 보면 같은 두께일 때 double-layer는 single layer에 비해서 모든 시편에서 수분의 투습율이 낮음으로써 더 좋은 수분침투의 barrier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100 nm이상인 경우 투습율은 예상한 값보다 50%이상 낮게 나타났다.

  • PDF

Assimilation of Satellite Based Soil Moisture With Ensemble Kalman Filter (앙상블 칼만필터 기반 위성 토양수분 자료 동화 기법)

  • Park, Jeongha;Lee, Jaehyeon;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0-160
    • /
    • 2017
  • 본 연구는 앙상블 칼만필터(Ensemble Kalman Filter)를 통해 인공위성 기반 토양수분 자료를 수문모형에 동화하여 단위 격자에 대한 수문인자를 산출하고자 한다. 수문모형은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VIC) model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시범 유역으로는 소양강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입력자료는 2007년 이후 8년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7-2010년 관측 유량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2011-2014년 자료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Isolated-Speciation Particle Swarm Optimization(ISPSO) 기법을 통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고, 보정기간 뿐 아니라 검증 기간에 대해서도 높은 모형효율성계수를 얻을 수 있었다. VIC 모형 자료 동화 대상 자료로는 AMSR2 위성 토양 수분 자료, 지상관측 토양수분 보간자료 및 조건부합성방법을 통한 위성/지점 융합 토양수분을 선정하였다. 위성 토양 수분 자료는 값을 과대 추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지상관측 보간 자료는 유량이 큰 사상에 대한 첨두 유량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위성자료와 지상 자료를 합성한 조건부합성기법 토양수분자료는 더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여 모의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계측 유역에 대해 격자별 수문기상인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양한 수문분석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Savitzky-Golay filtering results for quality control of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Savitzky-Golay 필터링 적용결과 비교)

  • Lee, Yongjun;Kim, K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8-268
    • /
    • 2020
  • 토양수분량은 수문연구에 있어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며, 그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새로운 관측기기의 도입이나 수자원위성의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토양수분량 자료의 생산, 품질관리 및 배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에 해외에서는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ISMN)을 통해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 및 배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ISMN에서는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해 토양수분량 관측 자료를 품질관리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MN의 spike 검출 알고리즘에서 그래프 평활화(smoothing)를 위해 이용되는 Savitzky-Golay 필터의 window size와 polynomial order(filter order)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이를 설마천 관측소에서 측정한 토양수분량 원시자료에 적용하여 window size와 polynomial order별로 편의(bias), 변동(variation),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산정하였다. 통계산정 결과 원시자료와의 bias는 window size가 3이고 polynomial order가 2인 필터를 적용했을 때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variance는 window size가 3이고 polynomial order가 2인 필터를 이용했을 때가 원시자료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MSE는 window size가 5이고 polynomial order가 3일 때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추후 토양수분량 품질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필터 계수 값을 제시할 수 있는 논문으로 사료된다.

  • PDF

Diffusion of Salt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육포 제조시 염의 확산속도 및 건조 특성)

  • Lee Sin-Woo;Lee Bo-Su;Cha Woen-Suep;Park Joon-Hee;Oh Sang-Lyong;Cho Young-Je;Kim Jong-Kuk;Hong Joo-Heon;Lee Won-Young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4
    • /
    • pp.508-515
    • /
    • 2004
  • In this study, salting conditions and dehydra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Salting tim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could be considered to variables in salting conditions. The diffused salt amounts to beef jerky depending on time are sharply increased in two hours. This result is caused by the difference decrease of concentration gradient between bulk solution and beef jerky. The increase of salting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resulted also in the increase of a diffused salt. The deeper bulk concentration made diffusion to beef easily with the bigger driving force and the movement of molecules is more active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Dehydration is conducted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natural drying, cold air drying and hot air drying. Comparing with color and texture among the drying methods, cold air drying showed superior quality in color and texture. Beef jerky by cold air drying colored more reddish than other drying methods and good cutting shear stress and tensile strength. In case of hardness and chewiness, hot air drying method showed the highest value, which means the worst texture.

Flower water management system by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화초 수분관리 시스템)

  • Park, Sang-G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516-519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improve conventional methods, which measure moisture level in the soil and supply proper water by a hand operation. Our system use wireless sensor network between sensor node and host PC. The measurement system measure moisture level by use moisture sensor. The control system control electronic solenoid switch and supply proper water automatically.

  • PDF

Study on the Durability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 Kim, Je-Heon;Mun, Chang-Gw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5
    • /
    • pp.434-443
    • /
    • 1997
  • 유리섬유와 에폭시 수지와의 계면전단강도에 미치는 수분흡수, 섬유직경 및 섬유의표면상태 등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two fiber fragmentation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리섬유/에폭시 수지의 일방향 복합재료에서 수분흡수가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two fiber fragmentation시험에서 계면전단강도는 수분흡수량 및 섬유직경이 클수록 작게 나타났으며, sizing한 것이 desizing한 것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 수분흡습에 의해 감소되었던 계면전단강도는 건조에 의해서 처음의 값의 약 50-60%까지 회복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방향 복합재료의 인장강도는 수분흡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함을 보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AFKAE0.5) for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Using Daily Weather Data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한 농경지 물 수지 및 토양수분 예측모형 (AFKAE0.5) 개발)

  • Seo, Myung-Chul;Hur, Seung-Oh;Sonn, Yeon-Kyu;Cho, Hyeon-Suk;Jeon, Weon-Tai;Kim, Min-Kyeong;Kim, Min-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6
    • /
    • pp.1203-1210
    • /
    • 2012
  • As the area of upland crops increase, it is become more important for farmers to understand status of soil water at their own fields due to key role of proper irrigation. In order to estimate daily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with simple weather data and irrigation records, we have developed the model for estimating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called AFKAE0.5, and verified its simulated results comparing with daily change of soil water content observed by soil profile moisture sensors. AFKAE0.5 has two hypothesis before establishing its system. The first is the soil in the model has 300 mm in depth with soil texture. And the second is to simplify water movement between the subjected soil and beneath soil dividing 3 categories which is defined by soil water potential. AFKAE0.5 characterized with determining the amount of upward and downward water between the subjected soil and beneath soil. As a result of simulation of AFKAE0.5 at Gongju region with red pepper cultivation in 2005, the water balance with input minus output is recorded as - 88 mm. the amount of input water as precipitation, irrigation, and upward water is annually 1,043, 0, and 207 mm, on the other, output as evapotranspiration, run-off, and percolation is 831, 309, and 161 mm, respectivel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Powder Depending on Temperature Changes and Drying Methods (건조방법과 온도변화에 따른 감 분말의 흡습특성)

  • 이원영;김종국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1 no.6
    • /
    • pp.479-484
    • /
    • 2001
  •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powder rela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rsimmon powder by different drying methods displayed the largest amount of porosity in the freeze-dried sample, and the smallest in hot air dried sample. Equilibrium moisture was reached in 6 days. Monolayer moisture contents were predicted to 0.09687~0.19712(freeze drying), 0.07820~0.18617(vacuum drying) and 0.07715~0.18056(hot air drying) g H2O/g solid respectively using the BET equation. BET equation for isothermal absorption curve showed over 0.95 R-square for all dried methods. Monolayer moisture contents were increased as storage temperature was incremented because water molecular movement was more active and there was a greater chance to clash with the absorption surface area.

  • PDF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heat-moisture treated waxy rice starches (수분-열처리한 찹쌀 전분의 호화 성질)

  • Chang, Myung-Sook;Kim, Sung-K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3 no.3
    • /
    • pp.223-230
    • /
    • 1990
  •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heat-moisture treated Olchal(japonica) and Hankangchalbyeo(j x indica) waxy rice starches were compared. The blue value, light transmittance of starch suspension and viscosity in sodium hydroxide solution were similar between two starches. Olchal starch showed lower water binding capacity, swelling power md peak viscosity by amylograph than Hankangchalbyeo starch. Upon heat-moisture treatments all above parameters were decreased. The critical sodium hydroxide concentration for gelatinization was increased by treatments.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Olchal starch was higher than that of Hankarlgchalbyeo. All amylograph reference points increased by the treatments, except the maximum viscosity or 2l% moisture-treated Olchal starch. Starches treated at 18% moisture level showd the highest value of consistency index. The activation energy of consistency index for gelatinized Olchal starch was lower than that for Hankangchalbyeo starch. The heat-moisture treatments had no effect on activation ener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