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본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국립 고궁박물관 활옷 수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broidery Design Patterns of Hwal-ot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권혜진;홍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55-1263
    • /
    • 2008
  • Study on Hwal-ot, woman's wedding robe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limited to the Princess Bock-on's Hwal-ot and some folk remains. In this study, I tried to identify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wal-ot by studying embroidery design patterns in the royal Hwal-ot. On Mar 26, 2007, I inspected total of 15 pieces of embroidery design patterns for Hwal-ot hel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types of Hwal-ot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in embroidery design patterns as well as composition of embroidery design patterns held by the private. For the Hwal-ot embroidery design pattern type I, there is a calligraphy called "Embroidery Design Pattern of Red Long Robe for leo-dong Palace", which is presumed to be the embroidery design pattern of Princess Deok-on, the third daughter of King Sunjo and a little sister to Princess Bock-on. Its patterns are very similar to that of Princess Bock-on's, with similar flower patterns and treasure patterns, as well as overall stripy structure. The Hwal-ot embroidery design pattern type II maintains the same flower patterns and butterfly patterns as in the type I, but does not have the striped decorative. The Hwal-ot embroidery design pattern type III has illustrative design with waves and mountain at the background and a pair of water birds flying around lotus. In particular, the type III design has a nine phoenix pattern at the front part of the robe, illustrating nine baby phoenixes (four in the left, five in the right) under a mother phoenix, which is closer to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Hwal-ot embroidery design pattern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유채 종자의 수본확산계수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 ;홍상진;한재웅;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5호
    • /
    • pp.296-302
    • /
    • 2008
  •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and its dependence on drying temperature during drying of rapeseed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data were recorded from thin layer drying experiments at nine different combinations of drying air temperatures of 40, 50, and $60^{\circ}C$ and the relative humidities of 30, 45, and 60%. The moisture diffusion equation was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i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oisture diffusion equation for a spherical shape using Fick's second law. The effective diffusivities during the drying of rapeseed were $l.72{\times}10^{-11}$, $2.41{\times}10^{-11}$ and $3.31{\times}10^{-11}\;m^2{\cdot}s^{-1}$ at 40, 50 and $60^{\circ}C$,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for moisture diffusion during drying was $28.47\;kJ{\cdot}mol^{-1}$. The dependence of moisture diffusivity on temperature was described by an Arrhenius-type equation. Drying occurred in the falling rate period and the internal moisture diffusion phenomenon is the governing physical mechanism of the moisture movement in the particles.

한국에서의 포플러 모자이크 바이러스 검출(検出) (Detection of Poplar Mosaic Virus in Korea)

  • 라용준;이창근;여운홍;황재우;심상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2-33
    • /
    • 1980
  • 1980년(年) 9월(月), 수원(水原) 임목육종연구소(林木育種硏究所)의 포플러묘포(苗圃)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Populus deltoides 클론중(中)에서 잎에 모자이크병징(病徵)을 나타내는 개체(個体)가 수본(數本) 관찰(觀察)되었다. 모자이크병(病) 반조직(班組織)의 즙액(汁液)을 dip법(法)에 의(依)해 2% 인산(燐酸)텅스텐으로 Negative염색(染色)하여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검경(検鏡)한 결과(結果), 외국(外國)에서 포플러 모자이크 바이러스로 보고(報告)된 것과 같은 크기를 가진 길이 660~670nm되는 바이러스잎자(粒子)가 다수(多數) 관찰(觀察)되었다.

  • PDF

수본(數本)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전파증식(傳播増殖)중에 있는 리기다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Genetic Structure of Pinus rigida Mill. in an Expanding Population Originating from a Few Founder Trees)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6-26
    • /
    • 1986
  • 처음 8본의 리기다소나무 양친수로부터 전파 증식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AAT, GDH, LAP 등의 Allozyme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표본으로 선정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은 산의 남쪽 낮은 지대에 처음 식재되었던 8본의 양친수로부터 종자가 무더기 무더기로 군데군데 colony를 형성하면서 동쪽, 서쪽, 북쪽으로 전파 증식되어 산지의 각 부분 부분마다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가계군(家系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이주(移柱)와 colony 형성과정에서 부분적으로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결과 처음 리기다소나무 colony가 형성되었던 산의 남쪽지역과 나중에 colony가 형성되었던 북쪽 지역의 소집단 사이에 상당량의 유전자 빈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에 의해 소수 유전자좌(座)에 유전자 고정 현상이 나타났으나 기타의 유전자좌(座)에서는 유전자 Recombination이 일어났다. Gene Recombination에 의한 이형접합체(異型接合體)의 형성과 이들의 자연도태 현상에 의해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있어서도 상당량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형접합성(異型接合性)이 유지되고 있었다.

  • PDF

Bio-drying 공법 활용 공기 투입 및 예열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분해 특성 평가 (Estimation of Characteristics Treatment for Food Waste with Blast Volume and Preheating of Air using Bio-Drying Process)

  • 박세용;이원배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15-25
    • /
    • 2022
  • 수본 연구에서는 Bio-drying 공법 활용한 공기 송풍량 및 예열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의 수분 및 유기물의 처리 효율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시 온도, CO2의 평가를 통해 공기 송풍량 및 공기 예열이 Bio-drying 공법의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기 송풍량의 증가는 수분 제거율 및 제거 속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미쳤지만, Bio-drying 내부 온도를 저하 시켜 미생물 활성도의 감소를 야기시켰다. 미생물의 활성도 유지를 위해서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성상에 따른 적정 공기 송풍량을 주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15L/min으로 주입하였을 때가 최적이었다. 공기 예열 유무에 따른 유기물 및 수분 제거율을 평가한 결과 공기 예열을 하였을 때가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유기물 제거율 및 수분 제거율이 3~5% 가량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Bio-drying 내부에 응축수 발생에 의한 내부 뭉침 현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의 효과적인 Bio-drying을 위해서는 미생물 활성도 유지를 위한 적정 송풍량을 유지 해야 하며, 공기 예열을 통한 주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화당 원삼의 금사 분석과 원형복원 사례 (A Case Study on the Restoration to Designated State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Gold Threads of Gwanghwadang-Wonsam)

  • 안보연;이량미;이장존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4-153
    • /
    • 2021
  •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광화당 원삼은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다. 그러나 지정조사 시에는 없던 봉흉배가 부착되어 '봉흉배가 달린 유일한 자적원삼(紫赤圓衫)' 유물로 알려지면서 보존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지정문화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과학적 분석과 동시에 지정 상태로의 원형 복원도 요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광화당 원삼에 대한 유물 이력을 조사하고, 현전하는 봉흉배와 봉흉배 수본(繡本) 등의 유물 조사를 병행하여 원형 복원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직접적으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여, 봉흉배에 사용된 금속사가 은을 기본으로 티타늄 코팅한 것을 확인하였다. 티타늄으로 도금된 금사를 사용한 봉흉배는 1986년 광화당 원삼 사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TiN계 피막 도금법이 1990년대에는 여러 산업에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초중반에 봉흉배가 부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X선 형광분석을 활용한 금사의 과학적 분석 결과를 통해 보존처리의 핵심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하였다. 본고는 전세 유물 보존처리에 있어 유물 이력과 유사 유물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각성과 지정문화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는 원형복원의 선례로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