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문학적 인자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s of Hydrologic Characteristics on Sediment Discharge in Streams with Small and Medium Size Watersheds (중소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이 하천유사량에 미치는 영향)

  • 김활곤;서승덕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8 no.3
    • /
    • pp.127-13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ith information for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stream management planning, such as information on the sediment trensport, design of dam and water facilities, river improvement and flood plains management.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e field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hydraulic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 1. The rating curve formula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data collected are ; Q-=110.563 $(H-0.474)^2$ for 0.7m$(H-0.146)^2$ for 0.4m$Sr=aX{^2} {_1} X^{c}{_2}$, in the experimental watershed.

  • PDF

A Comparison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R Models for Monthly River Flow Series (월유량에 대한 일변량 및 다변량 AR모형의 비교)

  • 이원환;심재현
    • Water for future
    • /
    • v.23 no.1
    • /
    • pp.99-107
    • /
    • 1990
  •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past hydrologic data required to set up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 and design the hydraulic structres rationally. Because hydrologic events have random factors implied, the sotchastic analysis is necessary. In this paper, same order of stochastic models of monthly runoff data(multivariate AR(1) and AR(2) models, univariate AR(1) and AR(2) models) are applied to compare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onthly series, which is generat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models. By comparing and estimating of each simulated series, it is known that the multivariate models, including the time and spatial colinearity, are better in prediction than univariate models in the analysis of monthly flow at south Han river basin.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n the Major Water-level Station at Nakdong basin by rainfall pattern (강우 패턴에 의한 낙동강 유역 주요지점의 유출특성)

  • Kim, Sam-Eun;Im, Hyeok-Jin;Jung,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26-1232
    • /
    • 2010
  • 수문학적인 물의 순환은 여러 기상인자들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패턴에 의한 낙동강 본류 주요지점을 비교 분석하여 유출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년간 강우량 변화에 따른 유출률 비교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지점은 연속적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개발되어 안정적인 시계열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지점으로 낙동강권역의 유역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진동 지점과 도시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금호강유역에 위치한 동촌 지점 및 남강댐 하류에 위치하여 댐방류량에 의한 하천유지유량이 발생하는 정암 지점을 선정하여 유출률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지점의 2008년 순유출률은 30% 내외의 유출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요 호우사상이 집중된 3/4분기의 경우 2007년과 비교하여 약 50% 가량의 작은 유출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순유출량에 대한 순손실유량은 저 평수기로 대표되는 1, 2, 4분기에서 2007년에 비해 크게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저 평수기 토양 침투 및 증발에 의한 자연적인 손실과 가용하천유량이 적어짐에 따른 취수량의 유출량에 대한 양적 비율의 증가가 원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2008년 낙동강권역의 순유출률은 2007년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며 그 결과, 2008년 낙동강권역의 순유출률은 약 20%~40%의 순유출률을 나타내고 있다.

  • PDF

An inter-comparison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over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 토양수분 산출 위성 평가)

  • Kim, Hyunglok;SunWoo, Wooyeo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7-187
    • /
    • 2015
  •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의 측정은, 범지구적인 물순환 분석에 있어서, 수문학적인 인자들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예측,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어왔다. 현재 국/내 외 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수분 위성은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SMOS), Advanced SCATerometer (ASCAT)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불어 일본에서 최근에 발사 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ter 2 (AMSR2) 센서를 통한 토양수분도 데이터도 적극 활용 되고 있다. 각 위성은 토양수분을 산출 하는 알고리즘, 파장대 그리고 위성 통과 시간 등이 각기 다르므로, 이러한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점 데이터와의 검증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성 데이터와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와의 비교를 통해 각 위성데이터의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동아시아의 건조한 지역에서는 SMOS가 가장 좋은 토양수분 데이터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ASCAT이 우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반도 지역의 특정 지역에서는 AMSR2의 토양수분 값이 ASCAT을 뛰어넘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SMOS의 경우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의 영향으로 한반도지역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Soil Moisture Measurement System in the Mountainous Hillslope (산림 사면에서의 토양 수분 측정 시스템구축을 위한 사전연구)

  • Jin, Sung-Won;Kim, Sang-Hyun;Kwon, Kyu-Sang;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42-1146
    • /
    • 2008
  • 토양수분은 지표수의 유출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중요인자이며, 생태수문학의 핵심변수이자 기상모형의 결정적인 입력변수이다. 또한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강우 및 지하수와 토양수분간의 순환 구조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사면의 토양수분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및 사전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수한 토양 수분 측정 장비인 TDR 장비 매설에 앞서 대상유역 선정에 대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검토하고 수치지형 분석 등을 통한 사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유역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의 자료획득의 용이함, 지정학적, 시스템 운영적 측면에서의 가용성, 그리고 정밀측량 및 부수적요인 등 여러 요소의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내 감악산 범륜사 우측 산지 사면을 측정대상 사면으로, 지정학적 위치, 식생분포, 지질구조 및 심도 등의 토양특성의 고려를 통해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 사면에 흐름 발생 및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대상사면의 지표 및 기반암 표고를 정밀 측량하였으며, 기반암 또는 풍화대까지의 깊이를 실측하여 지표면 및 지하면의 수치지형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대상사면 및 지하면에 대하여 표고수치지형모형(Digital Elevation Model:DEM)으로 도식한 후 흐름 발생 공간 분포를 계산하였다. 흐름발생공간분포예측은 단방향 알고리즘, 다방향 알고리즘, 흐름 분배 알고리즘 그리고 다중무한방향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지형인자인 기여사면적과 지형습윤지수를 계산하였다. 각 분배알고리즘의 의해 도출된 지형인자들로 인한 흐름발생 공간적 분포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는 합리적인 토양수분 측정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future hydrologic variables of Asia using RCP scenario and global hydrology model (RCP 시나리오 및 전지구 수문 모형을 활용한 아시아 미래 수문인자 예측)

  • Kim, Dawun;Kim, Daeun;Kang, Seok-koo;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6
    • /
    • pp.551-563
    • /
    • 2016
  • According to the 4th and 5th assessmen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lobal climate has been rapidly changing because of the human activities since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ceived changes were appeared strongly in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_2$). Global average temperature has increased about $0.74^{\circ}C$ over last 100 years (IPCC, 2007) and concentration of $CO_2$ is unprecedented in at least the last 800,000 years (IPCC, 2014). These phenomena influence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which have an important role in hydrology, and that is the reason why there is a necessity to study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Asia region was selected to simulate primary energy index from 1951 to 2100. To predict future climate change effect, Common Land Model (CLM) which is used for various fields across the world was employed. The forcing data was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data which is the newest greenhouse gas emission scenario published in IPCC 5th assessment. Validation of net radiation ($R_n$), sensible heat flux (H), latent heat flux (LE) for historical period was performed with 5 flux tower site-data in the region of AsiaFlux and the monthly trends of simulation results were almost equaled to observation data. The simulation results for 2006-2100 showed almost stable net radiation, slightly decreasing sensible heat flux and quite increasing latent heat flux. Especially the uptrend for RCP 8.5 has been about doubled compared to RCP 4.5 and since late 2060s, variations of net radiation and sensible heat flux would be significantly risen becoming an extreme climate condition. In a follow-up study, a simulation for energy index and hydrological index under the detailed condition will be conducted with various scenario established from this study.

Development of the SWAT DWDM for Accurat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rom an Agricultural field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토양유실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SWAT DWDM 개발)

  • Jang, Won-Seok;Park, Youn-Shik;Kim, Jong-Gun;Kim, Nam-Won;Choi, Joong-Dae;Ok, Yong-Sik;Yang, Jae-E;Lim, K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2 no.1
    • /
    • pp.79-88
    • /
    • 2010
  • 준분포형 모형인 SWAT 모형은 소유역내 수문학적 반응단위 별로 유출, 유사 등의 발생을 평가하는데 이때 Hydrological Response Unit (HRU)의 지형정보가 활용된다. 현재 SWAT 모형의 인터페이스 구조는, 각 소유역의 평균 지형인자 값이 각 소유역내의 모든 HRU의 지형정보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각 소유역내의 HRU에 있는 지형인자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계를 자세하게 나누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더욱 자세한 소유역 수계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현재 SWAT 모형 인터페이스에서는 수계를 나눌 때 임계값의 최소값은 최대 flow accumulation 값의 0.1 %가 사용된다. 따라서 HRU의 지형인자를 추출하기 위해 아주 자세한 정도로 소유역의 수계를 나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계값과 농경지 경계를 근거하여 소유역 경계를 추가로 수계를 나눌 수 있는 Dual Watershed Delineation Module (DWDM) 을 개발하였다. 기존 SWAT의 수계추출 모듈로 유량을 모의한 결과 $27,219\;m^3$/month 가 산정되었고, DWDM 을 적용한 결과 $26,172\;m^3$/month 로 약 3.8 %의 미미한 차이가 생겼다. 하지만 유사의 경우 DWDM을 적용하기 전에는 0.779 ton/month, 적용 후에는 2.688 ton/month 로 약 245 %의 차이를 보였다. 즉 농경지를 추가적으로 수계를 나눌 때 유사의 가장 민감한 요소인 경사장을 실제지형에 맞게 고려함에 따라 좀 더 정확한 유사 산정을 할 수 있었다. 농경지에서의 정확한 수문 및 유사 평가 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듈이 적용 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Using Past Drought Cases of Taebaek and Sokcho (태백, 속초 과거 가뭄사례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비교 고찰)

  • Kang, Dong Ho;Nam, Dong Ho;Kim, Byu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735-742
    • /
    • 2019
  • Drought is a social phenomenon in which the degree of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ffected factors, and is defined as various relative concepts such as meteorological drought, hydrological drought, agricultural drought, and climatological drought.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rought among variously defined droughts was conduct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drought index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actual drought cases and the results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drought index, we us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China-Z Index (CZI), Modified CZI (MCZI) and Z-Score Index Respectively. Four drought indices were used for the Taebaek and Sokcho areas. The drought index was analyzed using the meteorological data from 1986 to 2015 for a duration of 3 month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I drought index was analyzed to be highly reproducible for the case of drought with past limited water series. In the case of CZI and MCZI drought indices, the number of extreme dry occurrences is similar to that of the past cases, but the reproducibility is low for the actual drought years. In the case of ZSI drought index, it i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occurrence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past cases are inferior in reproducibility. For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using precipitation,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SPI drought index with the highest reproducibility and the past drought case.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ought Indices for Drought Evaluation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 Ryu, Jae-Hea;Lee, Dong-Ryul;Ahn, Jae-Hyun;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4 s.129
    • /
    • pp.397-410
    • /
    • 2002
  • In order to quantitatively identify historical drought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ir variability, drought indices commonly used. The calculation method for the drought index based on the principal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and reservoir storage, can estimate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a drought. In this study the Palmer-type formula for drought index is derived for the Nakdong River basin by analyzing the monthly rainfall and meteorological data at 21 stations.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is used for dry land sectors to evaluate the meteorological anomaly in terms of an index which permits time and space comparisons of drought severity. The Surface Water Supply Index(SWSI) is devised for the use in conjunction with the Palmer index to provide an objective indicator of water supply conditions in Nakdong River basin. The SWSI was designed to quantify surface water supply capability of a watershed which depends on river and reservoir water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is evaluated for various time periods of 1 to 12 months in Nakdong River basin.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between drought indice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etween indices and appropriate SPI time period was selected as 10 months for Nakdong River basin. A comparative study is made to evaluate the relative severity of the significant droughts occurred in Nakdong River basin since 1976. It turned out that $'94{\sim}'97$ drought was the worst drought in it's severity. It is found that drought indices are very useful tools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everity of a drought over a river basin.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GCUH on Ungauged Small Basin (지형기후학적순간단위유량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Sang-Jin;Choi, Hyun;Lee, Bae-Sung;Jeong, Dong-K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15-22
    • /
    • 2006
  • Runoff Characteristics has been Analysis Using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IUH) and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about $5km^2$ scale in Kyungbuk gampo area. First, we estimated hydrology Factor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ol and then, calculated the characteristic velocity using the real rainfall-runoff data. It is compared with several velocities derived from GCUH theory and several other concentration time formulae. Kerby and Braby-Williams seems to be more applicable as characteristic velocity formula. Second, We compared the GCUH peak discharge with the probable flood, also compared the unit hydrograph as like the Clark, the Nakayasu and the S.C.S and GCUH with the observed discharge using the real rainfall events.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GCUH could be applicable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We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for estimation of a flash flood standard rainfall as well as emergency management pl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