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면증발량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utomation Survey Device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수면증발량 자동관측)

  • Lee, Hyun Seok;Kim, Yong Kuk;Cho, Hyoung Jin;Chae, Wo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1-541
    • /
    • 2015
  • 댐 물수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는 강수량, 유입 방류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등이 있다. 현재 육지에서의 증발산량은 대부분 에디공분산시스템에 의해 관측되고 있으며, 많은 전문가들이 양질의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하지만 수면에서의 증발량관측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기후특성상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됨에 따라 효율적인 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댐관리의 주요 인자인 수면증발량은 현재 용담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용담댐의 수면증발량 관측은 2013년부터 수행되고 있고, 수면위에 플랫폼을 설치하고 팬 내부에 수심이 1 m인 대형증발팬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관측된 수위자료는 호내 수온을 고려하여 수면증발량으로 환산된다. 관측항목으로는 팬 내 외부 및 저수지 표층 수온, 팬 내부 정밀 수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상요소들이 있다. 2013년에 생산한 수면증발량은 풍향풍속, 수온, 상대습도, 복사량, 강수량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Penman(1984)공식을 활용하여 실측 수면증발량과 추정 수면증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용담호에서 자동 관측되고 있는 수위변동 자료를 활용해 수면에서의 증발량을 분석하였다.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관측기간 중 최대 일증발량은 9.7 mm/day, 월 최대 일평균증발량은 3.5 mm/month(10월)로 나타났다. 수면에서 가장 많은 증발량이 나타난 시기는 10월 (증발량 : 107.6 mm, 강수량 : 122.9 mm)로 강수량의 약 88 %가 증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9월과 5월 순이었다. 증발량이 가장 많다고 예상되었던 7월과 8월의 경우는 각각 18일과 21일간 강수가 발생하였으므로 대기 중의 높은 습도로 인해 증발량이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면에서의 증발량이 기상환경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점에서의 수면증발 관측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 성분석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yearly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연도별 수면증발량 비교)

  • Kim, Yong Kuk;Yoon, Tae Seong;Cho, Hyoung Jin;Lee, H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7-397
    • /
    • 2017
  • 수면증발량은 수자원 계획 및 활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수면증발량관측 지점은 용담댐, 안동댐뿐이다. 이중 장기간 관측 자료가 축적된 용담댐 지점을 대상으로 연도별 수면증발량 관측 자료를 비교 검토 하고자한다. 용담댐에 부착되어 있는 수면증발량계는 0.03 mm 분해능을 가지는 부력식 수위계(BYL-EV250, 대한민국)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4 년도 2 월부터 17 년 현재까지 관측을 하고 있다. 관측 자료로 보았을 때, '14년도 가장 많은 증발량이 발생된 달은 9월(102.63 mm/month), 적은 달은 2월(22.99 mm/month) 이였으며, '15, '16년는 각각 100.91 mm/month, 114.38 mm/month로 8월이 높고, 29.11 mm/month, 25.83 mm/month로 2월이 가장 적었다. 아래 표는 14~16년도 월평균 일 증발량 및 총 수면증발량을 나타낸 것이다. 월별 일평균 증발량을 비교한 결과 0.92~3.08 mm/day로 나타났으며,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량(약 2.9 mm/day)이 증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월평균 일 증발량은 9 월이 3.08 mm/day 로 증발량이 많고, 2 월이 0.92 mm/day로 적은 증발량의 관측이 되었다. 총 수면증발량은 8 월이 92.73 mm/month 으로 증발량이 가장 높았으며, 2 월이 25.97 mm/month 로 가장 적은 증발량이 관측되었다. 저수지 수면에서의 증발은 풍속, 수온, 대기온도, 일사량 등에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 수온이 가장 낮은 2월에 증발량이 가장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Yongdam Dam using Empirical wind function (경험적 바람공식을 적용한 용담댐 내의 수면증발량 추정)

  • Minwoo Park;Sumiya Uranchimeg;Ho-Jun Kim;Min-kyu Jung;Hyun-Han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1-291
    • /
    • 2023
  • 증발량을 산정하는 방법 중 증발접시를 활용한 방법은 하천의 증발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장기간의 증발접시를 활용한 증발량 추정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대표적인 증발량 산정식으로는 에너지 수지 및 공기동역학적 원리의 혼합적용 방법(PCE, Penman combination equation)과 경험적 바람공식(PWF, Penman wind function)이 있다. PCE로 산정된 증발량의 경우 하천 내 바닥열(bed heat flux)과 물기둥의 열저장 변화율이 장기간 규모의 순 복사량에 비해 작은 값을 가져 식에서 제외되므로 전반적으로 증발량이 과대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PWF로 산정한 증발량에서는 광범위한 매개변수 범위와 기상자료의 부족으로 모형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하천 수로의 수면증발량을 추정하는 것이지만, 실제 하천 중심에서 증발량을 추정하기 위한 수문학적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에서의 증발량을 전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단위 수문학적 자료를 수집하여(flux tower 자료 활용) 유역단위의 증발량을 산정한다. 둘째, PCE와 PWF으로 산정한 증발량과 관측된 증발량을 이용하여 각 식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한다. 마지막으로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적용한 증발량과 관측값의 유사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단위의 증발량을 산정하기 위해 PWF을 적용하였으며 용담댐 내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한 증발량과 실제 용담댐 내의 수면증발량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성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천 주변에 증발량 추정을 위한 최소한의 기상정보가 존재하는 지역에서, 하천단위의 증발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증발량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undamental Study on the Evapo- transaration Requirements of Patty rice Plant (벼 용수량계획상의 엽면증발량 및 주간수면 증발량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 김철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11 no.2
    • /
    • pp.1651-1660
    • /
    • 196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sonabl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required for the paddy rice plant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So.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data concerning the evapo-transpiration form 1966 to 1968,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 results. 1) The leaf area index in the densely planted plo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ly planted one during the first half of growing season So, the coefficient of transpiration in the former plot is somewaht higher than in the latter, and the coefficient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under the plant cover has the inverse relation between both plots. 2) It is unreasonable that coefficient of evapo-transpiration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evapo-transpiration requirements of each growing stage, because a degree of variation in meteorological factors and in the thickness of the plant growth is involved in it. 3) It is most reasonable that the rate of transpiration and of the water surface evapoation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transpirated amount and evaporated one in each growing stage, because it shows almost constant value in spite of any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so far as the variety of rice, planted density and control of applying fertilizer are sanme and the disease and blight are negligible. 4) The ratio of the amount of transpiration to the weight of the whole air dried yields has the tendency of decreasing as that of the yields increases having almost constant value despite the amount of pan evaporation; and the value is about 210 when the weight of root parts is included to that the yields. 5) Although the required amount of transpiration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can be calculated with the above ratio, Fig. 7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piration and the weight of the yields is more reasonable and will be convinient to find it. And the requirements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during the same season can also be directly found witht theweight air dried straw refering to Fig. 8.

  • PDF

Estimation of evaporation from water surface in Yongdam Dam using the empirical evaporation equaion (경험적 증발량 공식을 적용한 용담댐 시험유역의 수면증발량 추정)

  • Park, Minwoo;Lee, Joo-Heon;Lim, Yong-kyu;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2
    • /
    • pp.139-150
    • /
    • 2024
  • This study introduced a method of estimating water surface evaporation using the physical-based Penman combination equation (PCE) and the Penman wind function (PWF). A set of regression parameters in the PCE and PWF models were optimized by using the observed evaporation data for the period 2016-2017 in the Yongdam Dam watershed, and their effectiveness was explored. The estimated evaporation over the Deokyu Mountain flux tower demonstrated that the PWF method appears to have more improved results in terms of correlation, but both methods showed overestimation. Further, the PWF method was applied to the observed hydro-meteorological data on the surface of Yongdam Lake. The PWF method outperformed the PCE in the estimation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erms of goodness-of-fit measure and visual evaluation. Future studies will focus on a regionalization process which can be effective in estimating water surface evaporation for the ungauged area by linking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gression parameters.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ree Water Evaporation at HaeNam Paddy Field (해남 농경지에서의 자유 수면 증발 관측과 해석)

  • Han Jin-Su;Lee Bu-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1
    • /
    • pp.91-97
    • /
    • 2005
  • Class A evaporation pan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world to measure free water evaporation mainly by manual observation once a day. In this study, a new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is used for understanding of free water evaporation and numerical analysis. This new technique measures the weight of buoyancy bar in water, and does not need calibration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water density change with water temperature. Field observations of evaporation were made near Haenam Meteorological Station over paddy field located in southwestern Korea from 20 April to 30 May 2004 and the data from ten clear days (16 - 25 May)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observed total evaporation was about 50.7mm during this period whereas the estimated from an empirical equation was 50.4mm. As expected, the pan evaporation is well correlated with wind speed and the vapor pressure deficit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the air.

Valid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Hypothesis Using In-situ Measurements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검증)

  • Eunji Kim;Boos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4-264
    • /
    • 2023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등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표면, 식생분포 등 다양한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일어나므로, 유역 단위에서 발생한 실제증발산(Actual evapotranspiration, AET)을 측정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증발산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CRE) 가설을 활용하면, 수문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링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AET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발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역 단위에서의 CRE를 검증하고자 하며, 플럭스 타워 등 다양한 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용담댐 유역 내 산지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증발산을 AET로 보았으며, 유역 인근에 위치한 전주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되는 팬 증발량(Epan)을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보았다. Epan 계측시, 증발팬의 가열 등 주변환경 변화로 인해 과다하게 추정되는 값을 보완하기 위해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해 팬 증발량 보정계수(Coefficient of pan evaporation, kp)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습윤증발산량(Wet evapotranspiration, WET)은 대기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발산량으로, 댐 수표면에서 계측되는 수면증발량을 WET로 보았다. CRE 검증을 위해 AET와 PET를 각각 WET로 나누어 AET+와 PET+로 무차원화하였으며,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AET를 PET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CRE 가설은 MI에 따른 AET+와 PET+가 서로 보완관계를 갖는다는 것인데, 용담댐 유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CRE를 검증한 결과 AET+와 PET+ 간의 비대칭계수(b)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평균제곱오차(MSE)는 0.599, 결정계수(R2)는 0.631로 나타나 CRE의 b가 적합하게 추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검증된 CRE를 통해 증발산 관측지점이 없거나, 조밀하지 않은 유역의 AET를 간접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댐의 장기유출 모의와 용수공급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xperiment for Various Soils on Economic Duty of Water in Paddy Fields (각종토성별 경제적용수량 결정시험연구)

  • Hwang, Eu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11 no.1
    • /
    • pp.1561-1579
    • /
    • 1969
  • In Korea, the duty of water in paddy fields was measured at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 in Suwon about 60 years ago. After that time some testing has been made in several places, but the key points in its experiment were the water depth of evapo-transpiration. Improved breeds, progress in cultiv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as well as development of measuring apparatus in recent years have necessitated the review of the duty of water in paddy fields.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conventional methods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as no source of information has been made available through survey of water utilization on a soil use basis which requires data on peculiar features of the water depth of evapo-transpiration. For example, the duty of water in paddy field is largely affected by the water depth of evapo-transpi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wetted paddy field, whereas in connection with the normal paddy fields without this characteristic the vertical percolation become the predominant factor in measuring the decreasing depth of water. Therefore, it becomes important. that not only the water depth of evapotranspiration but also the vertical percolation process should also be observed in order to arrive at a realistic conclusion. As the vertical percolation has aclose relationship to the height of the underground water, the change of the latter can be measured. As the conclusion of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subjects are indicated. 1. In order to determine the economic duty of water in paddy fields on a basis of varying soil features, the varying soil features in the benifited area should be investigated thoroughly. The water depths of evapo-transpiration(ET) ratio to evaporation in the evaporator(V) on a basis of the varying soil features are as follows: clay loam ET/V = 1.11, loam ET/V = 1.64, sandy loam ET.V = 1.63 2. The decreasing depth of water consists of the water depth of evapotranspiration, the vertical per colation and the percolation of foot path. Among these three, the percolation of foot path can be utilized again. 3.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shows the decreasing depth of water as follows. clay loam 9.3 mm/day, loam 13.5mm/daty, sandy loam 15.3mm/day 4. On a basis of the varying soil features and the height of the underground water, the vertical percolation varies. 5. The change of the vertical percolation on a basis of the varying soil features shows as follows: clay loam $1{\sim}2$ mm/day, loam $2{\sim}3$mm/day, sandy loam $3{\sim}4$mm/day 6. The level of the underground water changes sensibly by priority of clay loam, loam, sandy loam. When it rains, the level of the underground water rises fast and falls down slowly. 7. The level of the underground water changes within the scope of 25cm 8. The transpiration ratio is given in table 8 and their value are as follows: clay loam 168.8, loam 255.6, sandy loam 272.5

  • PDF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수문정보 추출

  • 채효석;김성준;고덕구
    • Water for future
    • /
    • v.37 no.3
    • /
    • pp.44-49
    • /
    • 2004
  • 지표 수문학(surface hydrology)은 강수에 의한 수자원의 발생, 육지나 하천, 그리고 해양에서 발생하는 증발이나 유출 등에 의한 수자원의 손실과 저수지나 댐에서 수위 상승, 토양수분이나 적설의 증가, 그리고 지하수면의 상승 등에 의한 저류량의 증가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과학이다. 수자원의 발생이나 손실, 그리고 저류량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질량보존의 법칙과 같은 단순한 물수지 방정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이나 식물에 의해서 발생되는 증산 등과 같은 증발산 작용은 에너지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문학적인 수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물수지와 에너지수지를 동시에 이용해야 한다.(중략)

  • PDF

Improvement of water balance equation considering evaporation and re-evaluation of dam inflow (소양강댐 유역의 증발을 고려한 물수지 방정식 개선 및 댐 유입량 재산정)

  • Yoo, Jiyoung;Lee, Dong Jin;Yoo, Do-Gue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6-106
    • /
    • 2022
  • 댐 유역의 수문자료는 댐의 효율적인 운영, 중장기 댐 운영 계획, 수자원 관리, 댐 저수량 예보 등을 위해 사용되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정밀한 댐 운영에 필요한 유량자료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의 주요 수문자료에는 유입량의 요소, 저수량 요소, 유출량의 요소로 구분된다. 현재까지 강수량, 저수위, 방류량 자료는 지속적인 계측 및 품질관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신뢰도가 점차 향상되고 있으나, 반면 증발량과 침투량 자료는 여전히 정확한 계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댐 유입량은 직접측정의 현실적 제약사항으로 인해, 방류량과 저수위 변화에 따른 저류량의 차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있어, 증발량 및 지하수 유출량 등과 같은 복잡한 자연현상을 고려하지 못한 채 저수지 수위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의 증발을 고려하는 개선된 물수지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댐 유입량 자료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증발을 고려한 물수지법 적용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댐 유입량 산정 시 고려하지 않는 다양한 유출 요인에 대한 과도한 누락은 음유입량 발생문제를 야기하며, 실제 복잡한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유출 요소(증발량)를 물수지 방정식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선된 물수지법을 적용할 경우, 직접적인 가용수자원을 구성하는 직접 유출량과 간접 유출량이 전체 유입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의 증발량은 유역 내 실측자료가 아님과 동시에 수면 증발량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도 높은 수문자료의 생산 및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