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면시

Search Result 7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Plunging Wave Breaking near Ship Bow (선수 주위의 플런징 쇄파 연구)

  • Koo, Bon-G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2 no.3
    • /
    • pp.122-127
    • /
    • 2021
  • Flow features near the ship bow such as wave breaking, small scale phenomena have been studied using numerical methods. In this study, the bow shaped wedge was adopted which is from previous paper [1, 2] and the conditions of simulation were Re = 1.64 × 105) and Fr = 2.93. Star CCM+, one of the commercial CFD programs has been used for the simulations. Simulation results such as wave profiles near the ship bow, shape of plunging jet, air entrainment, and wave breaking process have been compared with previous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veral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previous studies. Profiles of bow waves showed that overturning jet has been created and broken along the wedge. Plunging wave breaking has been observed along the wedge and four components of plunging wave breaking process were shown. It is confirmed that velocity near the overturing jet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plunging wave breaking.

Effects of Pregnant Woma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Kim, Jeong-Su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5
    • /
    • pp.50-56
    • /
    • 2021
  • This study was done develop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mong pregnant women supportive, stress and anxiety.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of 117 pregnant women residing in two regions D and S. Before the questionnaire,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were explained and proceeded SPSS 21.0 was used for the data,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are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time,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activity status and pregnancy cycle.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life were social support (β= .432, p= .000), pregnancy stress (β=- .407, p= .000), anxiety (β=- .182, p= .010). If pregnant women experience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the quality of life may be degrade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gnant women.

Development of Variable Air Mattresses for Shelter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방재디자인기반 구호소 가변식 에어매트 개발)

  • Noh, Hwang-Woo;Chung, Yo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80-87
    • /
    • 2022
  • Most of the disaster relief items provided to sufferers and temporary evacuees that are supposed to be victims in Korea are not suitable for the shelter environment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are not satisfactory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functions, proper size and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needs of emergency rescue relief items by presenting problems about the use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variable air mattresses which are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such as usability, convenience, and durability, research data are limited. However, the difficulty of mass spreading of conventional fiber mat and the functional disadvantages of foam plastic mat are solved by adopting variable air mattresses. The variable air mattresses are expected to help rehabilitate people by helping victims of physical tiredness, illness worsening, poor sleep, and life instability that can happen during long-term shelter life.

Development of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 (SRRI)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Method and Hydrodynamic Model (퍼지합성법과 동수역학 모형을 이용한 공간적 하천친수지수 (SRRI)의 개발)

  • Siyoon Kwon;Il Won Seo;Byungu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1-501
    • /
    • 2023
  • 하천에서의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친수활동에 대한 안전도 평가가 사고예방을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친수 활동의 안전은 수리 및 수질 인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기존 친수지수는 수질 인자에만 집중되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세일링, 패들링, 저동력보트 등 입수형 친수활동의 경우, 다양한 수리 현상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속, 흐름 방향, 수심 및 수면 폭 등의 수리인자를 친수지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수활동에 위험이 되는 수리적 조건은 유량 조건과 하천의 평면적 공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하기에 이를 공간적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천 친수 활동에 대한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친수활동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SRRI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를 제안하였다. SRRI의 개발을 위해 1단계에서는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EFDC 동수역학모형을 이용하여 수리 인자들의 공간적 분포를 재현한 후, 2단계에서는 퍼지합성법 (FSE)를 적용하여 수리인자의 모든 소속도와 가중치를 종합하여 하천 지점별 하천친수지수를 산정하였다. 개발한 SRRI를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에 적용한 결과, 유량 및 지형 조건에 따라 각 수리인자가 친수활동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유향(흐름 방향)은 합류지점 부근에서 친수활동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 사행구간에서는 수심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유량 조건에서는 유속이 세일링 및 패들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세일링은 유량 변화에 민감하여 고유량시에는 주흐름부와 합류부 부근을 제외하고 일부 공간에서만 안전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무동력 및 저동력보트는 유량 변화에 덜 민감하여 고유량 조건에서도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지만 사행구간의 고수심부에서는 위험 등급으로 권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RRI는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을 기반으로 공간적 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이용자들이 하천에서 보다 안전한 친수활동을 즐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ower Consumption Analysis of Asynchronous RIT mode MAC in Wi-SUN (Wi-SUN에서 비동기 RIT 모드 MAC의 전력소모 분석)

  • Dongwon Ki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4
    • /
    • pp.23-28
    • /
    • 2023
  • In a 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 asynchronous low power MAC is standardized and used according to IEEE 802.15.4e. An asynchronous MAC called RIT (Receiver Initiated Transmission)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delay time and power consumption are greatly affected by a check-in interval (RIT period). By waking up from sleep every check-in interval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data to be received, power consumption in the receiving end can be drastically reduced, but power consumption in the transmitting end occurs due to an excessive wakeup sequence. If an excessive wake-up sequence is reduced by shortening the check interval, power consumption of the receiving end increases due to too frequent wake-up. In the RIT asynchronous MAC technique, power consum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raffic load and operation of check-in interval is analyzed and applied to Wi-SUN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mote Lone-Senior Monitoring System Based on Heterogeneous IoT Sensors and Deep Learning (이종 사물인터넷 센서와 딥러닝에 기반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Yoon, Young;Kim, Hyunmin;Lee, Siwoo;Pouri, Safa Siavash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1
    • /
    • pp.387-398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a system that remotely monitors lone seniors at home and promptly alarms caregivers to recommend appropriate medical care services upon detecting abnormal behavior and critical conditions such as collapsing, excessive coughing, degradation of sleep quality, fever, and unusual indoor moving lines. Our system offers contactless monitoring techniques based on heterogeneous IoT sensors and deep learning to minimize the disruption to lone senior's daily life. In addition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ns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we share our experience in installation, deployment, configuration, maintenance of the system through the case study conducted on the actual lone senior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Based on our research, we recommend further development directions to prepare for the nationwide expansion of our system.

Factors of Hand Grip Strength in the Elderly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 - (노인의 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9년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 Kim, Seong Min;Park, Jeong M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46-54
    • /
    • 2022
  • This is a study using data from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ndgrip strength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1,470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crease in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lower for males, 70-74 or 65-69 years of age, and those who thought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rmal or good. The decrease in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less than elementary school or middle school, and when the sleeping time was more than 8 hours. Considering the variables affecting hand grip strength,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health policies for the elderly or health promotion policies to improve grip strength as a primary prevention activity.

Analysis of Numerical Results of 1-2D Link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홍수범람 수치해석을 위한 1-2차원 연계모의결과의 분석)

  • Kim, Hyung-Jun;Kim, Boram;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5-335
    • /
    • 2021
  • 하천의 홍수터는 평상시 수면위로 노출되어 국민의 여가생활을 위한 공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다 홍수기 수위가 상승하면 침수되는 하천공간이다. 홍수범람 면적 또는 홍수위 산정을 위한 수치모의 시, 홍수의 평면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1차원 모의결과와 지형정보를 연계하여 범람면적을 산정하거나 2차원 수치모형의 격자를 대상공간에 대하여 구축한 후 모의를 수행한다. 1차원 수치모형은 계산효율이 우수하고 지류의 합류에 의한 영향을 다수 반영하거나, 긴 구간의 하천단면 구축을 통하여 경계조건이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국부적인 유속변화와 유향의 평면적인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범람면적의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홍수범람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홍수위험지도는 2차원 수치모형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2차원 수치모형은 하도의 만곡, 제방의 형상 등과 같은 지형에 의한 유속장의 변화, 흐름영역의 수축 및 확대에 의한 유속의 변화 등을 자세히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수치격자 생성 및 계산결과 도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계산영역 설정의 한계로 인하여 경계조건이 흐름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기법을 연계하여 하나의 모형으로 구축한 1-2차원 수치해석 모형이 개발 또는 적용되고 있다. 1-2차원 연계해석기법은 1차원 해석영역과 2차원 해석영역을 연계함에 있어서 흐름방향 연계와 횡방향 연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을 연계하는 기법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치모의결과를 비교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리실험 관측결과가 있는 사례에 모형을 적용한 후, 한강지형에 수치모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한다. 또한,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격자의 해상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한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홍수위험지도 제작, 홍수위산정 및 홍수예보 등에 새로운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and application of STIV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통한 STIV(영상유속계)의 정밀도 및 적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 Jeong, Jae Hoon;Kim, Yeon Joong;Hasegawa, Makoto;Yoon, Jou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8-78
    • /
    • 2021
  • 영상유속분석법은 비접촉식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특히 홍수시 하천의 표면유속을 안전하게 계측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하천유속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STIV는 영상의 휘도 정보를 시간 방향으로 나열하여 작성된 STI(Space-Time Image)에 나타나는 패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특히 STIV(Space-Time Image Velocimetry)는 기존 입자군의 상호상관법에 기초한 입자영상유속계와 달리 표식자의 유무와 상관없이 유속을 측정할 수 있어 적용성과 안정성이 확보된다. 하지만 영상의 상태가 불량한 경우 정확한 유속 측정이 난해하며 야간에는 별도의 조명 추가 및 태풍과 같은 악기상에서는 빗방울이 카메라에 맺히거나 수면의 진동, 구조물의 진동에 의한 영상의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측정 정도가 떨어진다. 이처럼 영상을 이용한 유속 계측에 있어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을 이용한 정확한 유속측정을 위해 STIV와 인공지능을 융합하여 정확한 유속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존 STI에 의한 기울기 추정방법을 확장하여 딥러닝(CNN)에 의한 기울기 추정방법을 도입하였다. CNN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특성을 추출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서 STI의 2차원 Fourier변환 이미지를 사용하여 패턴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학습하였고 적용 결과 기울기에 대한 인식율은 매우 양호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제 관측 영상에 적용한 결과 유속에 대한 정밀도도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딥러닝을 적용한 STIV는 노이즈(진동, 화면 불량 등)가 있는 영상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속을 산정할 수 있으며 전파유속계를 이용한 실제 하천의 표면유속 관측치와 비교 검토 결과 매우 양호하게 유속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Outflow System at the Mangyeong River Basin (만경강 유역의 유출 체계 분석)

  • Lee, Ji Hun;Lee, Jung Hun;Kim, Seung Hyun;Kang, Noe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5-265
    • /
    • 2020
  • 지구상의 물 순환은 구름이 형성되어 비나 눈의 형태로 낙하하여 지표수를 형성하거나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지표면이나 수면, 식물의 입면을 통해서 대기중으로 증발되기도 한다. 대기중으로 소실되지 않은 물은 지표수나 지하수로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간다. 이와 같은 물 순환을 수문순환(hydrologic cycle)이라고 한다(Lee, 2008). 하지만 인구 증가 및 산업화로 인해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사용이 증가하며 하천에서 직접 물을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고 하수종말처리장, 농수로 등을 통해 회귀되는 유량이 많아 하천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하천 유출 체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에서 사용되고 유입되는 물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수계 및 제 1지류인 전주천에서 운영되고 있는 취·배수 시설에 대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천의 물 사용 체계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만경강 유역의 조사대상 구간은 대아댐 하류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의 구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주천 유역은 삼천합류점에서 만경강 본류 합류점까지와 삼천 유역의 구이저수지에서 전주천 합류점 까지를 조사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의 대상시설은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하수처리장 등이며, 조사대상은 하천의 유출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로 최소 하루 기준으로 일 취수량 0.20㎥/s, 일 방류량 0.20㎥/s 이상이 되는 시설에 대해서만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취·배수시설의 위치와 유입구의 위치, 도수로 등을 조사하였으며, 취·배수 시설의 유량 정확도 평가를 위해 현장에서 유량측정을 수행하여 허가량과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만경강은 농업용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상하류 유량반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이 연구를 통해 검토한 결과 만경강 유역내의 상하류 유량반전 시기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완주군(오성교)관측소와 완주군(용봉교)관측소의 손실고가 안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주시(미산교)관측소 또한 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취·배수영향을 고려하여 유출률을 산정한 결과 과거에 비해 손실고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역의 유출 체계 특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취·배수시설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하천 유출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