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쇠시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사천왕사 초석의 장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ration of Stone Base at Sachuwang-sa Temple)

  • 김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0
    • /
    • 2007
  • In the 7th century, Sachunwang-sa temple had two extra building-sites behind the Main hall. These two building-sites were found to be in peculiar form different from any another existing stone bases. The stone bases of northern put of these building-sites were decorated to molding as the protruding comers of eaves, which was pierced into a circular hole, and was carved into a form of Gomeck-ii(the stone bases lot supporting the wall). The northern building of sachunwang-sa temple was found to be used as the altar following munduru(文豆婁) method, through the observations of the archives of Samkukyusa(三國遺事) and the Abhiseka stura(skt. 灌頂經). The molding as the protruding cornets of eaves of stone bases was shaped as the roof of a building and the carving of Gomeck-ii gives a proof of the existence of the wall between columns in the altar. The hole of the stone bases protected the wooden cylinder of munduru from the exterior world. The author concludes,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altar of Schunwang-sa temple was used lot the religious service during the war for worthship and protecting from the enemies. Also he concludes that these buildings must have been in wooden pagodas constructed upon a square plan, that is with both front and side width equal, haying a quite small scaled and low floored building with its first floor closed on all sides, being different item the usual form.

전통조경 시설물의 역사적 수리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조선시대 관영공간을 중심으로 - (Basic Study on Historical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 Focusing on Government-managed Spaces in Joseon Dynasty -)

  • 김민선;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8-20
    • /
    • 2023
  • 전통조경 시설물은 역사성과 진정성을 가진 기법에 따라 수리되어야 하지만 현행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수리기준은 실무적 차원의 기본지침에 해당하며,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세부기법을 분석한 연구도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관영공간의 화계, 연못, 수로, 포장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수리기법을 시론하였다. 첫째, 화계는 석축 부재의 재료와 마감, 구조 강화와 뒤채움 재료, 상부 표토면 보호 조치를 분석하고, 기초보강용 석재와 교착용 미장재, 석재의 가공기법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쇠시리와 모접기를 통한 세밀한 장대석 가공법, 기초보강용 엄석과 유회의 사용은 화계의 독특한 수리기법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못의 경우 호안 석축의 재료와 구조, 기초부 보강과 누수 방지 기법을 살펴보면서 지정공사, 구부재 활용, 수질 관리 등에 관한 특징을 도출하였다. 고임쇠와 심석을 통한 내구성 강화, 기초부 강화를 위한 말뚝지정, 오물 유입 방지를 위한 사초 피복 등이 주목할 만한 수리기법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로는 축조 재료, 기초부 강화와 누수 방지 조치, 수해 예방 조치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면서 덮개돌 마감 방식, 지정과 뒤채움 재료, 유속 저감 방법 등의 수리기법을 파악하였다. 수량에 따른 다양한 바닥 재료, 누수 방지를 위한 강회 마감 등이 주요 수리기법으로 주목되며, 날개벽과 낙차공 등은 수로 내부의 충파와 유속 관리를 위한 조치로 확인되었다. 넷째, 포장은 기초부 구성, 부속 재료와 도구, 사초 활용 등에 관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초 피복을 통한 박석 고정, 세승으로 불린 기준실 사용 등이 주요 수리기법 중 하나였으며, 특히 방전장으로 불린 방전 포설 전문장인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전통조경 시설물의 수리기법 발굴을 위한 출발점이 되고, 향후 시방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