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 씻기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COVID-19 발생 전후 작업치료사의 감염관리 인식 및 수행도 비교 조사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infection control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주호연;차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1-103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전후에 작업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01명을 대상으로 손 씻기, 개인 보호 장비 사용, 주변 환경 정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을 비교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 크루스칼-왈리스 H 검정(Kruskal-wallis H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VID-19 발생 이전보다 발생 이후에 감염관리 교육을 더 잘 받았고 감염성 질환의 경험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VID-19 발생 이전보다 발생 이후에 손 씻기, 개인 보호장비 사용, 주변 환경정리에서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및 수행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질병관리청에서 권고하는 흐르는 물에서 40초 이상의 손 씻기와 치료실 청소 및 치료 도구의 소독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염성 질환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관리 교육을 정기적으로 반복해야 하며, 향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 교육 및 후속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운 경험과 손 씻기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Interaction Effect of Luck Experience and Hand Washing on Variety Seeking Behavior)

  • 양덕모;이국희;이병관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23-32
    • /
    • 2017
  •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사람들의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행운과 불운 그리고 체화된 인지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행운과 불운의 경험은 소비자의 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치며, 손 씻기에 의한 체화된 인지는 행운 불운의 경험을 역전시키는 요인으로 두 요인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과 제품구매를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자 행동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운 경험 (행운 vs. 불운)과 손 씻기 여부 (있음 vs. 없음)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은 행운과 불운을 경험한 후, 손을 씻거나, 씻지 않았고, 떠먹는 요구르트의 맛을 얼마나 다양하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운 점화와 손 씻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행운 조건의 경우, 손을 씻은 참가자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의 다양성 추구 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불운 조건에서는 손을 씻은 참가자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보다 다양성 추구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심리와 마케팅 분야에 폭넓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기관절개관 관리에 대한 지식, 술기 및 지각된 수행정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nursing skill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tracheostomy care)

  • 이선희;김순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463-475
    • /
    • 2016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지식, 간호술기, 지각된 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핵심간호술기 checklist와 질문지를 이용하여 D광역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90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4일부터 2014년 9월 22일까지 시행하였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손 씻기 지식은 간호술기, 지각된 수행 정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술기에서 손 씻기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수행이 잘 되는 항목은 [내관을 과산화수소수 용액 (과산화수소수: 생리식염수=1:2)에 담가놓는다]로 멸균제품과 환자로부터 오염된 제품을 제거하는 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멸균과 손 씻기 등의 감염에 대한 지식이 행위로 이어지도록 구체적 동기와 인지를 유발하는 경험적 학습이 요구된다.

고등학생의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의 성별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 김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7-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충남지역 16개 고등학교의 학년 당 30명씩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14 부(남 618, 여 596)에 대해 SPSS(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식품을 살 때 유통기한을 더 확인하고(3.78, 3.57), 가열했던 식품을 보관한 후 그대로 먹는다는 응답이 적었고(2.83, 3.02), 식품의 특성에 맞게 보관 저장한다(3.92, 3.72)고 하였다. 반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품포장 표시사항을 자세히 살피고(3.34, 3.22), 음식을 먹을 때 개인접시를 꼭 사용한다(3.43, 3.32)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 다녀온 후 항상 손 씻기(4.25, 3.94)를 잘하였고, 정수기 이용할 때 개인 컵을 더 사용(3.45, 3.32)하고, 손톱을 더 청결하게 관리(3.61, 3.49)하였으며, 식사도중에 돌아다니거나(2.14, 2.53) 화장실에 간다는(2.22, 2.57)응답이 낮았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사 전 손 씻기(3.64, 3.50)와 올바른 방법으로 손 씻기(3.58, 3.46)를 잘하고, 기침을 할 때 휴지, 손수건 또는 소매로 잘 막는 편(3.55, 3.37)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은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 부분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각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일부 중학생의 보건교육경험에 따른 칫솔질과 손 씻기 실천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oothbrushing and hand washing according to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유자혜;남용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1-17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brushing and hand washing according to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480 students of four middle schools in Y region. This is a cross sectional study and the study instrument was adapted from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and toothbrush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Jung. Cronbach's alpha was 0.87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5 questions of hand washing knowledge, 3 questions of hand washing behavior, 3 questions of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oothbrushing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questions of knowledge, 5 questions of behavior, 5 questions of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5 questions of d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ithin schools. Data were analyzed by PASW 20.0 program. Results: Toothbrushing more than three times a day accounted for 76.8%. Those who receiving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unted for 41.5% and those who had not accounted for 58.5%. Health education experience(75.8%) led to toothbrushing after meal(p<0.05). Those who receiving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ad 1.76 times of toothbrushing after meal than those who had not(p<0.01). Conclusions: Middle school students receiving health education had a tendency to do toothbrushing and hand washing frequently.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COVID-19 관련 염려와 우울이 손 씻기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Impact of COVID-19-related concerns and depression on handwashing practi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2020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 최수영;이정재;이문주;박정윤;윤용택;송효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41-4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and-washing practi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OVID-19-related concerns and depression on hand-washing practice.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extracted from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ing from August 10 to September 8, 2020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subjects comprised of 1,350 adults aged 65 or older living in Jeju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hand-washing practice among older adults were male older adults (β = -.18, p < .001), age (β = -.07, p = .001), no education (β = -.20, p < .001)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ion (β = -.15, p < .001) compared to a college or higher education, poor health perception (β = -.13, p < .001), COVID-19-related concerns (β = .08, p = .005), and depression (β = -.07, p = .001). To summarize, th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hand-washing practice included male gender, lower education level, poor health perception, and depression. In contrast,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nd-washing practice included COVID-19-related concern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se multifaceted determinants when designing targeted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hand-washing among older adults. Additionall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practice and COVID-19-related concerns and depression,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mental problems along with providing proper education are required.

부산지역 일부 중학생의 학교급식 위생에 대한 인식 평가 (Evaluation of Perception for Foodservice Hygiene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 김여경;최희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20-19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중학교 10개교에서 총 826명 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급식 위생 및 학교급식 위생에서의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통해 급식위생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급식 위생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개인급식 위생 전체 평균 점수는 중요도 3.81/5.00점, 수행도 3.60/5.00점이었고 학교급식 위생에 대한 총 평균 점수는 중요도 4.23점, 수행도 3.66점이었다. 개인급식 위생에서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은 항목은 '음식을 향해 기침이나 재치기 하지 않기'였고 가장 낮은 항목은 '배식시에 잡담을 하지 않기'였다. 수행도 점수가 가장 높은 항목 역시 '음식을 향해 기침이나 재치기 하지 않기'였고 가장 낮은 항목은 '올바른 방법으로 손 씻기'였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개인급식 위생의 중요도 수행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저학년인 경우 개인위생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가 높았다. 학교급식 위생의 중요도 점수와 수행도 평가 점수는 모두 음식위생> 기기 시설위생> 환경위생> 배식원위생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위생에 대한 중요도 평가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년별에서는 3학년이 1, 2학년보다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급식 위생의 수행도 평가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학년별 수행도 평가 점수는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격자도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서 가장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은 학생의 개인급식 위생에서 '식사 전 손 씻기'이며, 학교급식 위생에서는 '식판의 청결도'였다. 중학생들의 개인급식 위생의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가 학교급식 위생보다 낮으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손 씻기 실천, 올바르게 손 씻는 방법 등 개인위생 향상을 위한 정기적인 위생교육 실시가 필요하겠다. 또한 학교급식 위생에서 수행도 평가 점수가 낮은 식판의 청결, 식판의 건조 등과 같은 식기류의 위생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강구하여야 하며, 전반적인 배식원 위생 수행수준을 높이기 위한 철저한 지도가 요구된다.

중환자실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손 씻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specific Handwashing Practices of ICU Health Care Providers)

  • 이명해;강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7-30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regarding hand hygiene according to the profession of ICU health care provid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by recording of direct observations of 143 health care providers in 4 intensive care units. With SPSS/WIN 12.0 t-test, ANOVA, and ${\chi}^2-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handwashing among the nurses was higher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was shown compared to physicians. Overall handwashing compliance was low among all ICU health care providers, but nurses had better compliance than any other health care providers an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for handwashing before care and after care activities. All of professions had lower scores on the appropriate length of time for handwashing and areas that need to be scrubbed. The level for nurses was medium and for physicians, the lowest of all professions. The appropriate agent for handwashing and the method of drying for handwashing compliance was high in all profess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are needed to develop an environment for appropriate handwashing as well as to reinforce importance of handwashing compliance for health care providers.

  • PDF

서울지역 학생들의 손 씻기 의식과 학생들의 손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에 관한 연구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 이향;최성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8-286
    • /
    • 2009
  • The total of 181 students in Seoul were made up questions to analysis hand washing awareness from 2007 to 2008. And their hands were sampled to isolate Staphylococcus aureus for testing antibiotic resistance. The average of hand washing frequency was $2.8{\pm}2.6$ per day in their schools. The rates of the students washing hands before eating food, after outdoor activity and after using bathroom were 22.2%, 24.4% and 49.4%, respectively. The rate of students washing hand less than 20 seconds was 64.4%. The students of 43.3%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were washing hands well.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worse tha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ware of the frequency, duration and activity of hand washing. The isolation rate of S. aureus on the hands was 29.4%. The isolates were resitant to ampicillin (28.6%), chloramphenicol (6.1%), erythromycin (31.0%), gentamycin (2.0%), penicillin (79.6%) and tetracycline (6.1%) of 17 antibiotics tested. They were all sensitive to oxacillin and vancomycin.

한국 청소년의 위생습관 중 잇솔질과 손 씻기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hand washing in Korea adolescent)

  • 진혜정;이영은;안상헌;진명욱;최순례;송근배;최연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2-88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 washing management and tooth brushing frequency.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285 adul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third-year(2009) raw data of the fourth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Results : The mean frequency of daily toothbrushing was 3.35. Increases the frequency of both toothbrushing and hand washing with higher grade class. The higher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the intention of hand washing management at school and home was more increased. Conclusions :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