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도 예측

검색결과 839건 처리시간 0.029초

손상누적모델의 비교를 통한 플래퍼론 연결부의 피로수명 예측 (Comparison of Cumulative Damage Models by predicting Fatigue lives of Aircraft Flaperon Joint)

  • 박태영;박정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7-34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time prediction of Aircraft Flaperon Joint made of AISI 4130 steel. Reviews are performed on the published damage models at first. And three different damage models are used for predicting the fatigue life of the structure subjected to variable amplitude fatigue loading. These models require no increase in complexity of use, nor do they require additional material property or mission loading information to achieve the improved accuracy. Finally a comparison among the fatigue results is performed. It is observed that the Miner's rule could predict longer life than other cumulative damage models which take into account loads below the endurance limit.

  • PDF

금속라이너를 가진 후프 와인딩 복합재 연소관의 파열예측 (Burst Prediction of Hoop Winding Composite Case with Metal Liner)

  • 한혁섭;김형근;이영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8-83
    • /
    • 2015
  • 복합재 연소관은 적층구조이므로 한 층이 손상되면 손상이 진전되어 전체 연소관의 파손이 발생한다. 금속재 라이너 위에 복합재를 와인딩하면 한 층이 손상되어도 전체 연소관의 파손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재 연소관에 후프 와인딩한 하이브리드 연소관의 파열압력을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과 연소관의 파열시험을 통하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하이브리드 연소관의 파열압력 예측을 통하여 알루미늄 라이너의 두께를 결정하고 복합재료의 적층두께를 결정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연소관 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변형률과 탄성파를 이용한 암석 및 콘크리트 균열특성분석 (Analysis for the Crack Characteristics of Rock and Concrete using Strain and Elastic Wave)

  • 최영철;김진섭;박태진;김건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5호
    • /
    • pp.253-262
    • /
    • 2017
  • 본 연구는 암석 및 콘크리트 시편의 압축실험을 통해 균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는 변형률센서와 균열에 의해 발생한 탄성파를 측정하는 AE 센서를 시편에 부착하여 동시 측정함으로써 실험을 수행하였다. 측정된 시편의 변형률로부터 계산된 균열체적변형률은 암석과 콘크리트 시편에서 다른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재료의 취성정도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파괴 및 손상도와 관계되어 있는 균열체적변형률은 두 개의 시편결과가 유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AE 센서를 통해 측정한 시편의 누적 균열 신호에너지가 변형률센서로 예측한 균열체적변형률과 매우 유사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것은 AE 센서로도 구조물의 손상없이 실시간으로 손상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온손상된 GFRP 보강근의 장기 잔존 계면전단강도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Residual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rmally Damaged GFRP Rebar)

  • 김민철;문도영;김성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08-115
    • /
    • 2014
  • GFRP 보강근의 역학적 성능은 고온과 콘크리트의 알칼리 환경에서 크게 감소된다. 본 연구에서는 GFRP 보강근이 열손상 뒤, 알칼리 환경에 추가로 노출되었을 때의 계면전단강도변화를 고찰하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하여 GFRP 보강근 시편은 270도의 열에 1시간동안 노출된 후 알칼리 용액에 장기간 노출되었으며, 전단시험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비교를 위하여 열손상이 없는 시편도 같은 기간 동안 알칼리 용액에 노출된 후 전단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결과에서, 열손상을 받은 GFRP보강근의 계면전단강도의 감소가 열손상이 없는 보강근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근거로 하여, 열손상을 미리 받은 GFRP 보강근이 알칼리에 노출되었을 때, 장기 잔존계면전단강도의 예측을 위한 2차식을 제시하였다.

엔진 마모 및 손상의 원인과 처방

  • 홍흔;전상명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0권2호
    • /
    • pp.5-19
    • /
    • 1994
  • 일반적으로 상대운동을 하는 모든 물체에는 마찰이 존재하며 각 경우에 상응하는 적절한 윤활을 하고 있지만 마모(Wear)는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마찰 부위에 형성되는 마모정도에 따라 경 마모(Mild Wear), 평 마모(Normal Wear), 중 마모(Severe Wear) 등이 발생되며 이로인해 윤활유 속에는 다량의 마모 입자들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마모를 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손상(Failur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마찰부위의 마모 및 손상은 엔진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수명 및 성능과 관계가 있고 경제적인 문제와 직결되므로 상세한 분석 및 평가가 요망된다. 또한 엔진 설계 및 원활한 작동유지를 위해서 정확한 마모 예측과 그 평가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토대로 엔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설계과정에 마모정도를 고려한 가장 최적의 설계인자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손상부위에서 발생가능한 여러가지 마모형태를 분류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엔진의 마모 및 손상 등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엔진의 부품별 평가자료를 만드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MELCOR 1.8.2코드를 이용한 CORA-13 실험 분석

  • 허철;김무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363-368
    • /
    • 1996
  • 경수로형 원자로의 중대사고 진행시 압력용기내 노심의 용융현상 및 재배치과정 등에 대한 MELCOR 코드내 노심손상모델의 예측 및 분석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심손상 모의실험중 하나인 독일의 KfK에서 실시된 CORA-13 실험을 선정한 후 이 실험을 MELCOR 1.8.2 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와 계산결과를 비교분석하고 또한, MELCOR 코드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MELCOR 코드내 손상된 노심의 거동에 대한 열수력모델들을 검증하였다.

  • PDF

항공기 적용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의 충격 손상 거동 연구 (Study on Impact Damage Behavior of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for aircraft)

  • 박현범;공창덕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36-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 샌드위치 적층판의 저속 충격 해석을 수행하였다. 샌드위치 구조 형상의 스킨은 탄소/에폭시(Carbon-Epoxy) 재질이 채택되었고 코어(Core)의 재질은 폼(Foam)이 적용되었다.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관련 문헌에서의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실험 결과와 유한 요소 해석 결과의 비교가 선행되었다. 타당성 검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손상이 시작되는 충격체의 속도를 평가하고, 예측된 충격 속도에서 충격 거동을 분석하기위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충격 해석을 수행하였다. 샌드위치 복합재 적층판의 충격 해석 결과 예측된 충격 속도에서 손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시편 시험 결과와 수치 해석 결과의 비교 값이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설계 민감도 해석을 활용한 피로 손상도 예측방법 (Fatigue Damage Prediction Using Design Sensitivity Analysis)

  • 김찬중;이봉현;전현철;조현호;강연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3-129
    • /
    • 2012
  • It was previously suggested the design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transmissibility function to identify the most sensitive response location over a small design modification. On the other hand, energy isoclines were used to predict the fatigue damage with acceleration response only. Both of previous studies commonly tackle the engineering problem using the acceleration response alone such that it may be possibl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tivity analysis and accumulated fatigue damage.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e novel method of vibration fatigue prediction using design sensitivity analysis to enhance the accuracy of predicted accumulated fatigue. Uni-axial vibration testing is performed with a simple notched specimen and the prediction of fatigue damage is conducted using accelerations measured at different loc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ccuracy of predicted fatigue damage is proportional to the sensitivity index of the responsible location.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횡방향 철근에 따른 내진성능평가 : II. 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with Confinement Steel: II. Performance Assessment)

  • 김태훈;김영진;강형택;신현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A호
    • /
    • pp.351-36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횡방향 철근에 따른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이력거동의 예측에 근거한 손상지수를 제시하였다. 손상지수는 지진하중하의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손상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하는 방법으로서 제안되었다. 제안한 해석기법을 실험된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해석기법은 조사된 실험체에 대하여 하중단계에 따라 내진성능을 정확하게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