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목굽힘근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Early Hemiparetic Wrist)

  • 정이정;조상현;권오윤;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5-103
    • /
    • 2003
  •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을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원주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중 발병 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 시 3초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시간 지연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거울되먹임 융합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도와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Feedback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Effect of Muscle Activity and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 엄요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05-2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거울되먹임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육 활성도와 상지 기능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환자는 거울되먹임 치료군 8명과 동작관찰 훈련군 8명으로 나누어 총 8주간 주 5회, 30분간 시행하였고, 상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회복 평가와 도수 기능 검사를 이용하였다. 위등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노쪽손목굽힘근,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시스템을 이용하였고, 연구 결과 노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한 위등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와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 도수 기능 검사 점수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거울되먹임 치료가 동작관찰 훈련보다 상지 근활성도와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초음파 도자의 모양에 따른 손목굽힘근의 근전도 분석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Wrist Flexors by the Shape of Ultrasound Head)

  • 김원호;김종만;박형기;박은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1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and the flexor carpi ulnaris (FCU)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and performed ultrasound therapy with a round head and a long handled head during each 5-minute applicati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DS and FCU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uscular fatigue of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Without the shape of head, the mean power frequency decreased with the time. There also was no difference in %MVIC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but the force exerted exceeded 20%MVIC. There wa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umulative workload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ultrasound head (p<.05). The workload was however not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Constant static grasp of ultrasound transducer head during ultrasound therapy is considered a high risk factor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 PDF

전방머리자세 대상자에게 어깨관절 멀리건테이핑 적용이 손목굽힘근의 근활성도와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ulder Mulligan Taping and Repeated Measurements on Wrist Flexor Muscle Activity and Grip Strength in Forward Head Posture)

  • 오강오;박수형;김동우;백용현;최수홍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ligan taping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group on muscle activity and grip strength of adult with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Thirty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15 mulligan taping and repeat measurement groups. The mulligan taping group measured the pre-test and post-test muscle activity and the grip strength three times and compared the mean values. The repeat group was repeatedly measured and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ligan taping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group in changes of muscle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ligan taping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group in changes of grip strength. Conclusions: Mulligan taping was applied to an adult with forward head pos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uscle activity of flexor carpi radialis and palmaris longus, but it seems to improve hand function by re-aligned of nearby muscles by maintaining scapular stability.

반복적인 골프 스윙으로 인한 노쪽손목굽힘근 힘줄의 파열 (Flexor Carpi Radialis Tendon Rupture due to Repetitive Golf Swing)

  • 이상철;고성훈;장진혁;안재기
    • Clinical Pain
    • /
    • 제18권2호
    • /
    • pp.107-110
    • /
    • 2019
  • Flexor carpi radialis (FCR) muscle is located in the forearm anteriorly that runs through a synovial fibro-osseous tunnel in the forearm. We described a case of FCR tendon rupture due to repetitive overuse injury. A 55-year-old man, right-hand dominant, presented with right forearm pain and swelling which started 3 days ago while playing amateur golf. Focal tenderness and bruising over volo-ulnar region of the right forearm were examined. Plain radiographs showed soft tissue edema around lesion area and no detectable fracture. Ultrasonography showed multiple hypoechoic lesions suspected as hematoma of the flexor muscle group. After do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he was diagnosed with rupture of FCR tendon at proximal origin and strain of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and palmaris longus muscle. He received compressive dressing and restriction of wrist range of motion for three weeks. Two months later, remaining traces of lesions were observed at the follow-up ultrasonography and the pain disappeared.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과 과제 지향적 훈련의 동시 적용 효과: 단일 맹검 무작위대조군실험 (The Effects o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Peripheral Nerve Sensory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ingle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선호;원경아;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7-20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해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9명의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동시에 적용한 실험군은 14명, 과제지향적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은 15명으로 주5회, 회기당 30분씩, 총 4주간 진행하였다. 결과측정은 손목과 어깨근육의 자발적 근수축 비율과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잡기와 쥐기의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로 측정하였다. 결과 : 4주간의 중재 후 짧은노쪽손목폄근, 노쪽손목굽힘근의 근 활성도와 잡기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결론 :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은 과제지향적훈련만 하는 것보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드릴작업과 집기작업 시 손목 자세가 손가락굽힘근과 손가락폄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rist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Flexor Digitorum Superficials and Extensor Digitorum during Drilling and Pinch Grip)

  • 최지우;전혜선;권오윤;이충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3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wrist position on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ies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and extensor digitorum (ED) during drilling and pinch grip. Eighteen healthy subjects had been recruited and each subject performed two tasks (drilling and pinch grip) at three different wrist positions ($30^{\circ}$ flexion, neutral, $30^{\circ}$ extension). The EMG amplitude of each muscle was normalized to the amplitude in the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MVC). Repeated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MG across wrist positions. The FDS EMG activity in both drilling and pinch grip was lowest at $30^{\circ}$ wrist extension and the highest at $30^{\circ}$ wrist flexion. The ED EMG activity was lowest when the wrist was neutral in both task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desirable wrist positions for drilling and pinch grip tasks are slightly extended or neutral position. Therefore, flexed wrist position should be avoided to reduce the excessive work load on the finger muscles during the tasks.

기관사 상지 근육의 피로도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pper extremity muscle fatigue changes of train driver)

  • 장혜연;이융기;장재호;김태식;홍성준;한창수;한정수;안재용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576-581
    • /
    • 2007
  • 본 연구는 기관사가 지하철 가/감속 장치인 마스콘을 구동 할 때의 시간에 따른 근피로도 변화를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기관사들은 대부분 하루에 평균 4시간 정도를 상지를 이용하여 마스콘을 구동한다. 4개의 근전도 채널을 상지의 어깨세모근(deltoid muscle),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 위팔 두갈래근(biceps brachii muscle) 그리고 자쪽 손목 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muscle)에 부착하여 각 상황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중앙주파수(MF)를 구하여 그 피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행 30분 후 10명의 피험자(실제 기관사)의 80%이상의 중앙주파수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30분의 마스콘 구동만으로도 기관사의 상지 근육에 피로를 유발함을 의미한다.

주니어 투수들의 팔꿈치 안쪽 곁인대 손상이 상지 근육의 최대등척성수축력 차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bow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on Differences in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Upper body in Young Baseball Pitchers)

  • 장세홍;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28-634
    • /
    • 2016
  • 투수들의 경기력은 야구경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많은 투수들은 염좌 인대손상 등 많은 상해에 시달린다. 이러한 이유는 한 관절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주요한 두 가지 근육의 근력 차이가 클수록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팔꿈치 안쪽 곁인대 통증이 있는 선수들과 통증이 없는 선수들의 투구 동작에 관련된 최대 등척성 수축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2주간으로 모든 실험참가자들의 측정이 실시되었다. 실험참가자들(n=36)은 통증이 있는 통증군 (n=18)과 통증이 없는 정상군 (n=18)으로 나뉘어 최대 등척성 수축력을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 팔꿉굽힘근과 폄근, 손목굽힘근과 폄근에서 측정하였고 그후 근육그룹간 근력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18.0을 이용하여서 독립 t-test를 이용하여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통증군의 바깥돌림근 (p = 0.035), 팔꿉굽힘근 (p=0.031), 팔꿉폄근 (p=0.041)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손목폄근(p=0.047)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통증군의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p = 0.008), 팔꿉관절 굽힘근과 폄근(p = 0.002), 손목관절의 굽힘근과 폄근의 (p = 0.032)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통증군의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높게 나타나서 부상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근력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한다면 부상에서 회복하고 더불어 경기력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고 사료된다.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