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명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호통권285호
    • /
    • pp.22-45
    • /
    • 1993
  • PDF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0호통권294호
    • /
    • pp.18-59
    • /
    • 1993
  • PDF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3호통권275호
    • /
    • pp.18-47
    • /
    • 1992
  • PDF

진사탁(陳士鐸)의 장부오행병리(臟腑五行病理)와 잡병오행병리(雜病五行病理) -진사탁적장부오행병리급잡병오행병리(陳士鐸的臟腑五行病理及雜病五行病理)-

  • 이병직;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121-136
    • /
    • 2005
  • 통적연구진사탁적장부오행병리급잡병오행병리적운용연구(通適硏究陳士鐸的臟腑五行病理及雜病五行病理的運用硏究), 득출이하결론(得出以下結論) : 진사탁인위진관폐금극간목(陳士鐸認爲盡管肺金克肝木), 단시약간중지화왕성(但是若肝中之火旺盛), 칙폐무법극간차치간화극토사장토수손(則肺無法克肝且致肝火克土使將土受損), 종이사비위무법생금이치폐금갱가쇠약(從而使脾胃無法生金而致肺金更加衰弱), 폐불능생수이수무법극화(肺不能生水而水無法克火), 도치상중하삼초지화균과왕(導致上中下三焦之火均過旺). 타인위간희소설(他認爲肝喜疏泄), 당약울체회사기극비위(?若鬱滯會使其克脾胃), 비위수극칙토극수(脾胃受克則土克水), 이신수손무법생목(而腎受損無法生木), 사간울갱심심화무법화생(使肝鬱更甚心火無法化生), 차폐역무법극목(且肺亦無法克木). 차시(此時), 응이해울법내치료(應以解鬱法來治療). 타인위수연토극수(他認爲雖然土克水), 단시토생수여금생수적관계갱위밀절(但是土生水與金生水的關係更爲密切), 이폐여신우위밀절차유상생적관계(而肺與腎尤爲密切且有相生的關係), 고지유신중지수충족(故只有腎中之水充足), 방가수화기제(方可水火旣濟). 타인위심위군화시유형지화(他認爲心爲君火是有形之火), 가용수극지(可用水克之), 이신중지화위무형지화(而腎中之火爲無形之火), 차가양수(且可養水). 타인위명문지화가생비토(他認爲命門之火可生脾土), 단약과왕칙무법생비토반이극토(但若過旺則無法生脾土反而克土). 차시(此時), 여기직접보신수(與其直接補腎水), 불여보폐금사금생수(不如補肺金使金生水), 차위보수적근본지법(此爲補水的根本之法). 진사탁재설명오장적병리기제시인위(陳士鐸在說明五臟的病理機制時認爲), 오장지화과왕칙회사상생관계변성상극관계(五臟之火過旺則會使相生關係變成相克關係), 이적의적화칙능유지정상적상생관계(而適宜的火則能維持正常的相生關係), 차즉사화불족역가유지상생(且卽使火不足亦可維持相生). 진사탁인위제료외감(陳士鐸認爲除了外感), 기호소유적잡병도이장부오행적상생(幾乎所有的雜病都以臟腑五行的相生), 상극(相克), 이급상관적관계위중심내설명료기병리(以及相關的關係爲中心來說明了其病理), 저일점성위료기학술사상적중요특점(這一點成爲了其學術思想的重要特點).

  • PDF

방사선 투과촬영을 활용한 철불의 손상도 평가 및 제작기법 고찰 (Consideration of Making Techniques and Deterioration Assessment using Radiography for the Iron Buddha Statues)

  • 한나라;이찬희;이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93
    • /
    • 2014
  •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에 조성된 철불로서 균열, 탈락, 박리박락, 각종 오염물 등이 발생하였다. 방사선 투과촬영을 활용한 철불의 손상도 평가 결과, 철불 내부에서는 균열, 이격, 탈락, 주물공, 보수물질 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철의 강도로 보아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철불의 제작에는 내형과 외형을 철심과 못을 사용하여 고정하였으며, 표면의 이음선과 양각된 명문, 따로 주조되어 결합된 손으로 보아 초중자주조법으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