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

Search Result 30,76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tudies on the Flies in Korea 1. On the Unreported Species of " Sarcophagidae" and "Calliphoridae : (Diptera) in Korea (제일보 쉬파리과와 검정파리과의 미기록종에 대하여)

  • 박성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5 no.1
    • /
    • pp.1-8
    • /
    • 1962
  • 1. 대구인근산 Sarcophagidae와 Calliphoridae 약 6,000 여개체를 채집한 바 9 속 34종을 얻었는데 이중에는 Sarcophagidae 의 한국미기록 1 속 10종 과 Calliphoridae 한국미기록 2 속 2 종이있었다. 2 . 필자가 추가한 15종과 소림('18, '22, '24, '25, '29, '39, '40)와 굴('52) 에 의해 보고된 개지종과 합하면 한국산 Sarcophagidae 는 1 속 26 종 , Calliphoridiae 는 8 속 14 종이 된다.

  • PDF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Caloptilia Hbner in Korea (Lepidoptera ; Gracillariidae) (한국산 Caloptilia 속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박규택;한성식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 no.1
    • /
    • pp.25-36
    • /
    • 1986
  • Caloptiliza속은 굴나방류중의 가는 나방과(Gracillariidae)에 속하며 많은 종을 포함하는 큰 속으로 3-4 령까지의 어린 유충시에는 잎 조직속에 굴을 만들고 가해하나 4-5령이 되면 굴에서 나와 그 잎 또는 다른 잎의 가장자리로 옮아가 잎을 말고 가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속은 필자(1983)에 의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5 종이 보고된바 있으며 금번 조사에서 6 종이 미기록종으로 보고됨으로 우리나라 산 Caloptilia 속은 총 11 종이 된다.

  • PDF

촉수과 어류의 비교해부학적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I. 촉수과 어류는 단계통군인가\ulcorner

  • 김병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5-546
    • /
    • 2001
  • 촉수과 어류는 농어목의 농어아목에 속하며, 세계의 온대 및 열대해역에 비교적 널리 분포하는 저서성 어류이다. 본과에는 노랑촉수속 Upeneus, Mulloidichthys속, 촉수속 Parupeneus, Mullus속, Upeneichthys속, 그리고 Pseudupeneus속의 6속에 약 55종이 알려져 있으며, 산업적인 중요종도 포함되어 있다(Nelson, 1994). 본과 어류는 하악봉합부의 직후에 새조골에서 기원한 1쌍의 긴 수염이 있는 점, 등지느러미가 2개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점, 그리고 꼬리지느러미가 깊게 이차하는 점 등의 특징을 갖는다. (중략)

  • PDF

2속도 모형을 이용한 Draft 공정의 가시적 모의실험

  • 김지수;강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09-213
    • /
    • 1998
  • 방적공정중에서 섬유속의 선밀도 감소와 평행화도 증가를 위해서 행해지는 드래프트 공정은 섬유속의 선밀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불균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실제의 생산설비는 드래프트로 인해 발생되는 불균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기구를 사용한다. 드래프트 공정에서의 불균제도 증가는 드래프트 공정의 조건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하게 되는데, 최적의 공정조건은 공급되는 섬유속의 특성에 따라 변화시켜주어야 한다.(중략)

  • PDF

책의 존재와 사물의 존재(1)-책의 두께에 대하여

  • Kim, Sang-Hwa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42
    • /
    • pp.2-3
    • /
    • 1994
  • 책의 두께란 책 안의 현재 속에 책 밖의 과거와 미래가 응축되어 있는 모습이다. 책이 두껍다는 것은 그것이 자신의 현재 속에 끌어안고 있는 과거와 미래가 그만큼 두터운 시간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 두께는 단지 과거와 미래를 살아있는 현재 속에 보존하는 그릇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서 문명 전체를 자기 속에 담아내는 부피로 변해버린다. 문명적 사유란 책이 만드는 두께를 터전으로 하는 사유이다.

  • PDF

최근의 가변속시스템(1)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12 s.108
    • /
    • pp.102-108
    • /
    • 1985
  • 가변속시스템은 전력용 반도체소자의 발달, 마이크로엘렉트로닉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응용에 의한 제어의 고도화 등으로 지난 수년 사이에 크게 진보되었다. 여기서는 최근의 가변속시스템의 동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Wolchulsan National Park (월출산 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 Jang, Seog-Ki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2 no.1
    • /
    • pp.9-20
    • /
    • 2014
  • The result of the survey on higher fungi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1 is as follows. During the survey, total of 1 kingdoms 2 divisions 5 classes 18 orders 56 families 133 genera and 298 species were surveyed, Basidiomycota has 12 orders 47 families 120 genera 278 species, Ascomycota 6 orders 9 families 13 genera 20 species. As for Basidiomycota, Agaricomycetes has 46 families 118 genera 276 species. The most occurred fungi were Russulaceae with 37 species, followed by Boletaceae, Amanitaceae, Agaricaceae and Polyporaceae. Various species of most higher fungi occurred during the period with average temperature of 26.0~27.9, max. 32.0~34.9, min. 24.0~25.9, and over 100 mm of precipitation.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 Dokdo Islands (독도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진균의 다양성과 생장촉진활성)

  • You, Young-Hyun;Yoon, Hyeok-Jun;Lee, Gil-Seong;Woo, Ju-Ri;Rim, Soon-Ok;Shin, Jae-Ho;Lee, In-Jung;Choo, Yeon-Sik;Kim, Jong-G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7
    • /
    • pp.992-996
    • /
    • 2011
  •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growing naturally on the island of Dokdo. Plant samples, such as Miscanthus sinensis, Achyranthus japonica and Echinochloa crusgali were isolated from Dongdo, and those such as Honkenya peploides and Artemsia koidzumii were isolated from Seodo. Twenty one strains of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se plants. To identify the strains,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of the partial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was done with universal primers ITS-1 and ITS-4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ITS regions. Of the strains isolated from Miscanthus sinensis, 75% were Penicillium sp. and 25% were Aspergillus sp. Fifty five percent of strains isolated from Achyranthus japonica were Penicillium sp., 30% were Aspergillus sp. and 15% were Zygorhynchus sp. Strains isolated from Echinochloa crusgali were Penicillium sp. (50%), Aspergillus sp. (12%), Giberella sp. (13%), Talaromyces sp. (9%) and Umbelopsis sp. (8%). Of the strains isolated from Honkenya peploides, 76% were Penicillium sp. and 24% were Pestalotiopsis sp. Strains isolated from Artemisia koidzumii were Penicillium sp. (81%) and Mucor sp. (19%). As a result of bioassay, Ec-3-1 strain isolated from Echinochloa crusgalli showed plant growth-promotion activity. Of all the endophytic fungi isolated, Penicillium sp. was the most abundantly distributed fungal strain in all plants used in this study.

Pollen Morpholog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의 화분형태)

  • Song, Uns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7 no.2
    • /
    • pp.87-108
    • /
    • 2007
  • The pollen morphology of 31 taxa, representing all woody species from 12 genera of Fabaceae in Korea, was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ollen grains were monad and prolate spheroidal or rarely subprolate in equatorial view. The pollen grain aperture was trizonocolporate or rarely trizonooperculate, which does not occur in the other families of Fabales in Korea. The exine showed a great variety of sculpture pattern, i.e. psilate, microperforate, densely microperforate, perforate, polygonal perforate, macroperforate, macroperforate with granules in holes, polygonal macroperforate, verrucate with pitted perforate striae, verrucate-perforate, granulate, rugulate, reticulate or refined reticulate. The pollen morphological data supported the idea that the genera Echinosophora and Sophora were congeneric. Caragana (Galegeae) was quite close to the Sophora group (Maackia, Sophora and Echinosophora) of the Sophoreae in each measured pollen parameter and exine sculpture pattern. Eleven genera of Fabaceae were recognized based on differences in aperture type, pollen grain shape and exine pattern, and a generic pollen ke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was developed. A key to pollen types of Lespedeza was also suggested. The examined taxa of Coronilla and Wisteria were recognized by their exine patterns.

The Distribution of Dicotyledon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쌍자옆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 공우석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0 no.1
    • /
    • pp.1-18
    • /
    • 1996
  • 한반도 쌍자엽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을 식물화석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오래된 쌍자엽식물은 중생대 백악기의 Platanus, Viburnum, Populophyllum등이다. 당시에 남한에서는 17속의 쌍자엽식물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9속(버즘나무 Platanus, 분꽃나무 Viburnum, 버드나무 Salix, 사시나무 Populus, 녹나무 Cinnamomum 감탕나무 Ilex, 장구밤나무 Grewia, 두릅나무 Aralia, 생강나무 Lindera)은 현 재에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신생대 제3기 팔레오세와 에오세에 대한 화석정보 는 불분명하다. 올리고세의 쌍자엽식물은 황해 봉산에서 12속이 발견되며 그중 11속은 아직 도 자라고 있다. 마이오세에는 북한의 gkarud도와 강원도의 7곳과 남한의 경북과 강원의 4 곳에서 72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현했으며 16속(Engelhardtia, planera, Hamamelis, Porana, Sassafras, Parrotia, Comptonia, Hemitrapa, Nothofagus, Erica, Pasania, Cryptocary, Phoebe, Entada, Carpites, Trochodendron)을 제외한 나머지 56속은 현생한다.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복한 전역의 7곳과 남한 전역의 10곳에서 53속의 쌍자엽식물이 산출되었 으며 그 중 Engelhardtia, raphidephis, Sapium등 3속을 제외한 모든속이 아직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홀로세에는 남한의 14곳에서 29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토되었는데 Lespidobalanus 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금도 잘 자라고 있다. 요약하면 한반도에 중생대 백악기에 쌍자엽식 물이 출현한 이래 신생대 제3기 올리고세와 마이오세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까지 큰 변화없이 식물상과 식생이 지속적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번성하였다, 이는 한 반도가 여러 차례가 기후 변화에 따라 식생대의 이동은 있었으나 식물상의 멸종을 가져올 정도의 환경적 격변을 겪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후가 변화할 때마다 식물들리 서식, 생존할수 있는 다양한 피난처가 한반도의 도 처에 산재되어 있었음을 뜻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