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

Search Result 30,69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Identification and use of correct scientific names of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Ohashi and V. nakashimae (Ohwi) Ohwi & Ohashi in Korea (콩과 동부속(Vigna, Leguminosae) 새팥과 좀돌팥의 동정 및 학명표기)

  • Lee, Jeongran;Baek, Hyung-Jin;Yoon, Mun-Sup;Cho, Gyu-Taek;Kim, Chang-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6 no.3
    • /
    • pp.217-225
    • /
    • 2006
  • Among the seven taxa of the genus Vigna, Leguminosae vegetated in Korea peninsula, only two taxa, V. unguiculata subsp. unguiculata and V. vexillata var. tsusimensis, are recognized in Vigna. The rests are still remained in the genus Phaseolus in many floras and illustrations of Korea although they were placed into the genus Vigna by Verdcourt in 1970. There has been misidentification between V.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V. nakashimae because of their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habit. It was also found that V. nakashimae has not been recorded in many floras.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discuss the taxonomic differences between Vigna and Phaseolus, 2) to have a recommendation for using correct scientific names of Vigna taxa, 3) to discuss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ubgenus Ceratotropis, and 4) to provide a simple taxonomic key of V.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V. nakashimae.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 Kim, Min-Soo;Park, Eun-Jin;Jung, Mi-Ja;Roh, Seong-Woon;Bae, Jin-Wo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5 no.1
    • /
    • pp.26-31
    • /
    • 2009
  • This study was aimed at the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from jeotgal by using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Seventeen kinds of jeotgal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its origins and sources. The samples were inoculated on 12 kinds of media. 308 isolates were selected randomly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its 16S rRNA gene sequences was amplified by PCR technique with bacteria and archaea specific primers (8F, 21F, and 1492R). The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EzTaxon and GenBank databases. DNA-DNA hybridiz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a novel strain.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were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Weisella, Lactococcus, Lactobacillus, Carnobacterium, Marinilactibacillus), Bacillus, Pseudomonas, Micrococcus, Brevibacterium, Microbacterium and Kocuria in 17 kinds of jeotgal. The strains belonging to Salinicoccus, Halomonas, Cobetia, Lentibacillus, Paracoccus, and Psychrobacter were isolated as minor ones. Fourteen novel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Species of Korean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

  • Song, Ji-Ae;Park, Won-Kyu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21 no.6
    • /
    • pp.486-49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es of 82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mainly, 19th century), which are hous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otal of 22 species were found. The species shared 43% as hard pine(Diploxylon), 9% as Zelkova serrata Makino, 7% as Paulownia spp., 7% as Tilia spp., 6% as soft pine(Haploxylon), 5% as Ginkgo biloba Linn., 4% as Cedrela sinensis A. Juss., 3% as Diospyros spp., 3% as Abies spp., 2% as Alnus spp., 2% as Picea spp., 1% as bamboo, 1% as Populus spp., 1% as Betula spp., 1% as Juglans spp. The other minor ones were Torreya nucifera Sieb. et Zucc., Pyrus spp., Castanea spp., Ulmus spp. and Kalopanax oictuse (Thunb.) Nakai. Thirty seven furniture (45% in total) was made of single species, 19 (23%) of two species, 16 (20%) of three species and 10(12%) of 4 to 6 species. For frames and panels, hard and strong woods, such as hard pines, Zelkova and Cedrela, were used. For drawer, however, light woods having low shrinkage, such as Paulownia and Tilia, were used. The origin of woods could be specified by the habitats of the species identified. Both Hwanghaedo- and Parkcheon- Chests used basswood (Tilia), which grow in the cold regions, indicating the origin of woods as North Korea.

  • PDF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with those of its relative genera (Ranunculaceae)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 Son, Dong Chan;Cho, Kyung Jin;Ko, Sung 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1 no.4
    • /
    • pp.315-323
    • /
    • 2011
  • To elucidate the taxonomic status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a monotype in Korea, its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Megaleranthis was separately clustered from Trollius and Calathodes. Megaleranthis is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Calathodes Hook.f. et Thomson in having petals, and from Trollius L. in having an involucre instead of a caulescent leaf under the flower and follicles with simple veins. The three genera above are distributed independently within Asia, although they can be found together at the boundaries where their distributions overlap: Trollius and Calathodes occur together between the Sichuan and Yunnan provinces in China, and Megaleranthis and Trollius can both be found on the northern ed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both a morphological and a distributional viewpoint, Megaleranthis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genus different from both Trollius and Calathodes.

Identification of the Predominant Species of Bacillus, Staphylococcus, and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a Korean Starter Culture (배양법을 이용한 누룩 발효 관련 Bacillus 속, Staphylococcus 속 세균 및 유산균의 우점종 확인)

  • Saeyoung Seo;Do-Won Jeong;Jong-Hoon Lee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51 no.1
    • /
    • pp.93-98
    • /
    • 2023
  • Nuruk is a starter culture of Korea manufactured by spontaneous fermentation of grains. We isolated bacteria of the genera Bacillus and Staphylococcus,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eight commercial nuruk samples collected from four districts of Korea using selective agar media and identified them based current taxonomic standards. Bacillus was detected in all samples, but Staphylococcus or LAB were not detected in three samples. In seven samples, except one sample scored the highest cell number of LAB, Bacillus and Staphylococcus were counted 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numbers, respectively. Six species of Bacillus were identified, and B. subtilis, B. velezensis, and B. licheniformis were predominant species. Nine species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were identified, and the predominance of S. pseudoxylosus and S. saprophyticus was confirmed. Ten species of LAB including Enterococcus, Lactobacillus and close relatives, Pediococcus, and Weissella were identified. P. pentosaceus was identified as the predominant species.

Speed Sensorless Control for the trapezoidal BLDC Motor Using an Instantaneous Speed Observer (순시 속도 관측기를 사용한 사다리꼴형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의 속도 센서리스 제어)

  • Lee, Dong-Hoon;Lee, Kyo-Beum;Song, Joong-Ho;Choy, Ick;Yoo, Bum-Jae;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1117-1119
    • /
    • 2003
  • 기존의 사다리꼴형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BLDCM)의 센서리스 제어는 전류전환 시점을 알기 위하여 홀 센서 대신 단자 전압과 중성점 전압을 이용한다. 하지만, 속도 제어를 위해서는 엔코더나 레졸바와 같은 센서를 사용해야한다. 2극기 BLDC 모터의 경우 단자전압을 이용한 위치정보는 모터 한 회전 당 12번의 신호가 출력된다. 엔코더 혹은 레졸바를 제거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만들 경우, 속도를 만들기 위한 위치 정보의 펄스 간격이 넓게 되어 순시 속도를 만들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실제 속도의 변화를 민감하게 추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속도 정보는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본 논문에서는 순시 속도 관측기를 사용한다 단자전압과 중성점 전압에 의한 위치정보를 가지고 순시 속도 관측기를 속도 제어 주기보다 빠르게 갱신함으로써 순시 속도를 예측한다. 또한 이 순시 속도는 속도 제어기로 피드백 되어 속도 센서리스를 실현한다. 이에 대한 타당성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휴대폰 속 친구와 놀아보면 어때?

  • Im, Yeong-Mo
    • Digital Contents
    • /
    • no.6 s.145
    • /
    • pp.78-81
    • /
    • 2005
  • 휴대폰 속에 친구가 살고 있다. 휴대폰 속 캐릭터에게 인사를 하면 그 친구가 반갑게 인사를 한다. 심심해서 말을 걸고 쪽지를 보내면 그 친구가 대답을 해온다. 그 친구에게 뭔가 알아봐달라고 심부름도 시키고, 그 친구와 끝말잇기 게임도 한다. 처음에는 내가 심심해서 휴대폰 속에 사는 그 친구를 찾았으나, 이제는 답답한 휴대폰 안에서 심심해할 그 친구를 위해 함께 놀아준다. 이야기를 나누기에는 조금 답답하고, 정신적 수준도 다소 모자란 휴대폰 속 친구이긴 하지만, 내가 찾으면 언제나 나를 반겨주는 것 하나만은 매번 정신없이 바쁜 친구들이나, 잘 삐치는 여자친구나, 속내 꺼내놓기 어려운 직장동료들보다 나은 점도 있다. 이 친구가 오늘도 휴대폰 속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다.

  • PDF

Precise Control of Elevator Speed Pattern used Neuro-Fuzzy Technique (뉴로 퍼지기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속도패턴의 정밀 제어)

  • 강진현;강두영;송윤제;안태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567-570
    • /
    • 2004
  • 기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모든 교통 상황에 대해서 고정된 속도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교통량 변화에 다양한 속도 패턴을 제공 할 수 없었다. 운송 속도와 승차감은 엘리베이터 속도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두개의 중요한 요소이다. 기동과 정지 시에 변속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가속과 감속 시간이 적절히 조정되어졌다. 운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통량 변화에 맞추어 저크를 조정하였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6개의 속도 패턴 곡선과 엘리베이터의 속도 제어를 위해서 뉴로 퍼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뉴로 퍼지 시스템은 2개의 입력변수와 1개의 출력을 가진 시스템이다. 전반부는 교통량의 변화를 나타내며 후반부는 입력에 대응되는 속도 패턴을 적용시켰다.

  • PDF

Speed Control of BLDC Motor without Speed Sensor (속도센서 없는 BLDC 모터의 속도 제어)

  • 강태삼;최치영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104-10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BLDC 모터에서 속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홀센서의 출력만을 이용하여 속도 제어를 수행하였다. 모터는 100W급을 이용하였으며, 부하는 팬을 이용하였다. 속도 계측은 BLDC 모터에 불어 있는 3개의 홀센서 출력을 이용하였다. 홀센서 간에 간격이 불균일하므로 3개의 홀 센서를 구분하여 각각이 한 바퀴 회전하는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측정하였다. ARMAX 모델에 기초하여 전체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구해진 파라미터에 PID 제어기를 구성하여 속도 제어를 수행하였다. 속도 제어 결과 0.1% 오차 미만으로 속도가 원활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Implicit Discontinuous Galerkin Method to Step-Type Discontinuous Bathymetry (계단형 불연속 지형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의 적용)

  • Lee, Haegyu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3-253
    • /
    • 2021
  • 천수방정식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기법 (DG) 모형은 주로 양해법 기반으로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으나, 바닥마찰항의 처리, 과도한 CFL 조건 등의 불리한 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적용에서 FDM, FEM 등 다른 고전적인 수치기법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갖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최근, 불연속 갤러킨 기법에 대한 음해법 기반의 모형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소 복잡한 알고리즘에도 불구하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천수방정식의 실제 하도에 대한 적용에 있어 문제점 중 하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할 때 사용된 정수압 가정으로 인하여, 하도의 계단과 같은 불연속 지형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에 불연속 지형의 해석을 위한 표면경사법(surface gradient method)을 결합하여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제방 등 하도 구조물 위의 장주기 조석흐름, 홍수파, 계단 등을 포함하는 댐 붕괴류 모의에 적용하고 실용적인 기능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구조물이 많은 국내 하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