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화활동시간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 김원욱;김창제;채양범
    • 선박안전
    • /
    • 통권29호
    • /
    • pp.16-25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Improving Fire Response Ability)

  • 김은애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4
    • /
    • 2023
  • 본 연구분석결과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율, 관심도 및 화재대응자세가 많이 향상되고 훈련계획시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초고층 복합빌딩의 방재센터의 방재정보센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ying of the Disaster Information Center of High-rise Complex Building)

  • 김정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16
    • /
    • 2023
  •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건설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초고층 복합빌딩의 계획과 건설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거주자의 대피 및 소방공무원의 화재진압 활동이 어려워 국가적 재난으로 확대될 위험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하기 위한 방재정보센터의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의 개념과 문제점에 분석하고, 방재정보센터의 특성 및 향후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 김원욱;김창제;채양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60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채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strea gigas) 소화맹낭 세포 내 리소솜 활동 측정에 관한 연구 (Cytochemical Measurement of Lysosomal Responses in the Digestive Cells of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정희도;이지연;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51-163
    • /
    • 2012
  • 이매패류의 소화맹낭은 고도로 발달된 리소솜 시스템을 지니고 있어 소화작용과 함께 오염물질의 해독과 배출작용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화맹낭의 리소솜 시스템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결절편을 이용한 조직학적 방법으로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 소화맹낭의 리소솜 활동을 측정하였다. 참굴은 2010년 6월 광양만 내만의 초남대교, 차면리와 외만의 신덕리, 평산리 조간대에 서식하는 굴을 채집하였다. 제작된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lysosomal membrane stability(LMS) 및 lipofuscin(LF) 축적, neutral lipid(NL) 축적, 소화맹낭 위축도(digestive gland atrophy, DGA)를 평가하였다. 비만도 및 소화맹낭 위축도는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MS는 내만이 외만에 비해 짧은 리소솜 막 불안정화 시간을 보였지만 지역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LF 축적은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지만(P<0.05), NL 축적의 경우 외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다(P<0.05). DGA와 LF의 경우 내만과 외만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환경오염의 수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분석항목은 연안환경평가에서 좋은 biomark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Fire Safety Standard of the Fire Department Connection)

  • 장경남;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7-76
    • /
    • 2018
  • 소화활동설비 중 연결송수관설비는 출동한 소방대가 소화용수를 공급하는데 화재현장 활동에서 그 어떤 설비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을 바탕으로 연결송수관설비가 설치된 아파트에 대한 연결송수구 설치 위치를 조사하였다. 소방대원이 아파트에 설치된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고 있는 경우 그리고 주간과 야간을 나누어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발견 시간을 측정하여 보았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소방대가 출동하여 활용하는 본격 소화설비인 연결송수관설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연결송수관 설치 위치에 대한 명확화 및 위치안내도 표지판 설치 등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옥내소화전 방수구에 부착되는 감압오리피스의 감압성능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of Decompression Orifices Attached to Indoor Hydrant Discharge Outlets)

  • 박봉래;이맹로;장경남;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6-12
    • /
    • 2015
  • 소화설비는 초기소화를 목적으로 설치하여 소방대의 본격소화활동이전에 사용하는 소방설비로서 소화성능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여야 한다.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건축물에 많이 설치된 소화설비로서 화재 시 사용자가 밸브조작 및 호스와 노즐을 수동으로 사용해야하는 설비이다. 따라서 방수압력이 0.70 MPa보다 높은 경우 조작과 호스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사용되는 감압방식 중 옥내소화전방수구인 앵글밸브에 오리피스형태인 감압밸브를 부착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감압밸브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압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3단계의 초기압력을 기준으로 감압오리피스의 직경별 감압성능을 측정하여 적용 가능한 압력범위를 선정하고 이를 자료로 시간경과에도 감압성능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안정적인 감압밸브 모델을 제시하였다.

섬유소 공급원이 면양의 반추위 pH, Buffering Capacity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ber Sources on Ruminal pH, Buffering Capacity and Digestibility in Sheep)

  • 서인준;김명화;김동식;이상락;맹원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7-184
    • /
    • 2005
  • 본 연구는 섬유소공급원 7종, alfalfa hay cube (AHC), corn cob (CC), corn silage (CS), cotton seed hull (CSH), peanut hull (PHL), rice straw(RS), sugar cane bagasse(SCB)의 반추위에서의 반추활동, pH, 완충능력과 전소화기관 내 소화율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평균체중 37.1kg인 Corridale종 수 면양 5두 (3두는 반추위 fistula 부착)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기간동안 공시동물에게 급여한 사료는 각각의 조사료원 $45\%$와 corn-based 사료 $55\%$의 비율로 하여 1일 2회 (09:00, 21:00) 총 800g(dry matter basis)을 급여하였다. Ruminal pH는 급여 후 4시간까지는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8시간 후 타 조사료원$(6.24\~6.61)$과 RS(5.78)간에는 차이가 있었다(p<0.05). 반추위 내 완충능력은 SCB구, CC구와 비교하여 CS구에서 사료급여 후 0시간(p<0.05), 2시간(p<0.05)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사료급여 후 12시간 경과 시 AHC구를 제외한 CC구, CS구, SCB구와 RS구 보다 PHL구(p<0.01)에서 높게 나타났다. DM 소화율은 CS구에서 $78.19\%$로 타처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DNF 소화율은 CC구, CS구, CSH구와 RS구가 다른 조사료원 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01).

해저터널 구난역 열차화재시 압축공기포 소화용수의 해수 적용성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applicability of compressed air foam fire water using seawater in train fire at subsea tunnel rescue station)

  • 박병직;신현준;유용호;박진욱;김휘성;김양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705-7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저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해저유출수를 소화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압축공기포(CAF) 소화설비의 소화용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KS B ISO 7203-1(비수용성 액체에 적용되는 상부주입식 저팽창 포원액 사양) 규격에 따라 포수집기를 제작하였으며, 소화용수를 담수로 19회, 해수로 15회로 총 34회 실험을 하였다. 포 환원시간은 담수는 평균 237.73초, 해수는 평균 215.60초로 측정되어, 해수의 압축공기포(CAF) 소화용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열차 내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창문 파괴장치를 제작하고, 3차례 실물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3차 실험에서는 2초만에 유리를 파괴하고 소화활동을 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었으며, 이동식 압축공기포(CAF) 소화기를 사용하여 3초 만에 화재를 진압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ween 80의 첨가가 반추위 혼합 미생물에 의한 in vitro 가스발생량, 건물소화율, 효소활력 및 미생물 성장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ionic Surfactant Tween 80 on the in vitro Gas Produc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Enzyme Activity and Microbial Growth Rate by Rumen Mixed Microorganisms)

  • 이신자;김완영;문여황;김현섭;김경훈;하종규;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60-1668
    • /
    • 2007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 NIS) Tween 80의 첨가가 gas 발생량, 각종 기질의 건물 소화율,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력, 미생물 성장률 그리고 미생물의 기질 부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볏짚, 알팔파 건초, filter paper 그리고 톨페스큐 건초를 공시하여 in vitro시험을 수행하였다. NIS Tween 80을 0.05% (v/v) 수준으로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in vitro 건물 소화율, cumulative gas 생성량, 미생물 성장량 그리고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력 등 조사항목 모두가 모든 공시된 기질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볏짚, 알팔파 건초, filter paper 및 톨페스큐 건초로부터 발생된 in vitro 48시간 배양후의 가스량이 NIS의 첨가로 인하여 무처리구에 비하여 각각 274.8, 235.2, 231.1 및 719.5%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Tween 80을 0.05% 수준으로 알팔파 건초 기질에 첨가하여 배양 36시간 후에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력을 측정하였을 때, Avicelase의 경우는 무첨가구와 비교하여 변화가 없었지만 CMCase, xylanase 및 amylase의 활력은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38.1, 121.4 및 38.2%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기성 미생물에서와는 달리 Tween 80을 0.05% 수준으로 배지에 첨가하면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률을 감소시키지 않고 오히려 증가시키며 여러 종류의 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가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전자현미경(SEM) 관찰결과 NIS Tween 80의 첨가가 미생물의 기질 부착성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NIS Tween 80의 첨가로 가스발생량과 in vitro건물 소화율 그리고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력이 증가한 이유는 미생물의 기질 부착성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불감체중손실과 온열 생리 요인들 간에는 약한 상관이 존재했으나, 피험자들이 온열 쾌적을 유지하는 경우 착용한 의복 종류 및 노출 기온에 상관없이 불감체중손실량은 좁은 범위를 유지했다.것으로 판단된다.$4^{\circ}C$로 저장한 경우 치커리 고유의 초록색과 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고 있어 저온냉수 세척과 tray 포장이 세척 청경채의 선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sim}1459.4ppm(303.1{\pm}324.2)$으로 나타났다.다. 4.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생교육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위생교육 내용은 4가지 원칙 -개인위생확보, 교차오염방지, 시간온도관리, 냉장관리- 으로 구성하였고, 8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교육 설계방식은 강의식 교육을 위주로 하고, 주제별로, 실연식 교육, 시청각 교육, 토의식 교육을 위한 강의 자료를 마련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 준 레스토랑에서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생관리 활동 내용으로 실천율이 낮은 활동을 규명하고 이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활동을 전개한다면 레스토랑의 식중독 예방에 크게 도움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위생교육 자료를 활용한다면, 외식업체의 전반적인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 외식업계에서 발생되고 있는 식중독 사고는 이상 기후의 영향이나 시설미비도 그 원인이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경영층의 위생에 관한 인식부족,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양적으로 과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외식업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외식업체는 위생교육의 지속적인 실천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그 결과를 인사고과시스템에 반영하는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야 하고, 검사관리를 통해 원재료와 최종제품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납품업체들의 검사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시설의 구비와 장비의